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ckdrop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oogwansi (求官詩: a poem to ask for an official post) by Lee Gyu Bo (李奎報) that has not been relatively noticed thus far in the domain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21413
배규리 (부산대학교)
2020
Korean
李奎報 ; 求官詩 ; 張自牧 ; 百韻詩 ; 무인정권 ; Lee Gyu Bo(李奎報) ; Googwansi(求官詩) ; Jang Ja Mok(張自牧) ; Baekwoonsi(百韻詩) ; Military Regime
KCI등재
학술저널
49-82(3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ckdrop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oogwansi (求官詩: a poem to ask for an official post) by Lee Gyu Bo (李奎報) that has not been relatively noticed thus far in the domain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ckdrop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oogwansi (求官詩: a poem to ask for an official post) by Lee Gyu Bo (李奎報) that has not been relatively noticed thus far in the domain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thereby, shedding a light on the period that Lee Gyu Bo had lived and newly elucidating his literary value.
Although Lee Gyu B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or the government posts at the times, he was not granted as an officer for several years, and therefore, he created about 22 poems of Googwansi until being nominated as the very first official post. Googwansi was typically composed for those who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and in particular, he composed the <呈張侍郞自牧一百韻> for Jang Ja Mok (張自牧) who was in the position of Sirang (侍郞: a position of a vice-minister class) to demonstrate his literary competency.
This poem well illustrates his literary competency and skill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e poem was structured with 4 paragraphs to persuade the counterpart, for instance, ‘praise of the counterpart – reminding of a special connection between himself and the counterpart – appealing for his position – emphasizing that the existence of the counterpart is essential’, and he used a strategy that gradually stimulates the emotion of the counterpart. In a formality aspect, <呈張侍郞自牧一百韻> was composed of utilizing ‘Woo (虞)’ rhyme on top of Baeyulsi (排律詩: a Chinese poem with violated rules). Since Baeyulsi has a relatively tricky form, it is suitable for showing off his skills and ‘Woo (虞)’ rhyme is also appropriate to conveys his complicated feelings. In this context, it can be speculated that Lee Gyu Bo chose the Baeyul (i.e. violated rules) and ‘Woo (虞)’ rhyme intentionally in composing the poems. Finally, he disclosed his knowledge level and hard efforts on studying through utilizing the broad and deep grounds, and he seemed to take advantage of those broad grounds to properly disclose his feelings rather than just listing them.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Lee Gyu Bo completely demonstrated his literary competence to other parties through <呈張侍郞自牧一百韻>.
This study investigated 「jeong jang sirang jamok ilbaekwoon」(meaning of the 100 verses for Jang Ja Mok in Sirang position). It is the first step to trace and to harmoniously examine a figure named Lee Gyu Bo with a trajectory of life as the life cycle. It is expected to have an opportunity that can exhibit his different aspects and shed light on his entire life through more researches in the future.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그 동안 한문학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되지 못했던 李奎報 求官詩의 창작배경 및 문학적 특징을 밝혀, 청년기 이규보의 삶과 문학을 새롭게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학은 전근대 ...
이 글은 그 동안 한문학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되지 못했던 李奎報 求官詩의 창작배경 및 문학적 특징을 밝혀, 청년기 이규보의 삶과 문학을 새롭게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학은 전근대 문인의 주요한 삶의 방편이었으며 특히 구관시는 문인의 문학적 능력이 최대한 응축된 대표적인 형식이었으므로 구관시의 창작은 만연했던 풍조였다. 한편 무인정권이 들어서자 다수의 고려 지식인들이 환로가 막혀 곤궁에 처했고 따라서 그들은 문학을 통하여 절망적인 현실에 대응하려 하였다. 이규보의 구관시 창작도 이러한 맥락 속에 있다. 수십 편의 이규보 구관시 가운데 <呈張侍郞自牧一百韻>은 그의 문학적 역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구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방의 칭송–상대방과 자신의 특별한 인연 환기-자신의 입장 호소-상대방 존재의 필수부가결성 강조’라는 4단락의 설득구조를 갖추는 전략을 썼다. 또 형식적인 면에서 기교를 자랑하기에 알맞은 까다로운 排律詩라는 형식에다, ‘虞’韻만을 사용하여 자신의 변화하는 감정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博深한 전거 활용을 통해 자신의 지식수준을 드러냈는데 이는 단순한 전거의 나열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드러내는데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규보는 <呈張侍郞自牧一百韻>에서 구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용과 형식 모두에 걸쳐 자신의 문학적 능력을 총체적으로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탁봉심, "「東明王篇」에 나타난 李奎報의 歷史意識" 44 : 1-17, 1984
2 김주순, "李奎報와 陶淵明 詩의 비교문학적 고찰" 동방한문학회 (35) : 215-253, 2008
3 이희영, "李奎報 漢詩의 內面意識 硏究" 고려대학교 2016
4 이희영, "李奎報 排律 硏究(1): 求官活動 時期를 中心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0 : 479-511, 2018
5 황위주, "한시란 무엇인가" 지성인 1-164, 2018
6 유점순, "이규보의 현실인식과 환로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배상우, "이규보의 구관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경수, "이규보 시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246, 1986
9 김현,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 문학과지성사 1-494, 1999
10 하정승,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 여말선초 학맥의 형성" 동방한문학회 (82) : 167-200, 2020
1 탁봉심, "「東明王篇」에 나타난 李奎報의 歷史意識" 44 : 1-17, 1984
2 김주순, "李奎報와 陶淵明 詩의 비교문학적 고찰" 동방한문학회 (35) : 215-253, 2008
3 이희영, "李奎報 漢詩의 內面意識 硏究" 고려대학교 2016
4 이희영, "李奎報 排律 硏究(1): 求官活動 時期를 中心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0 : 479-511, 2018
5 황위주, "한시란 무엇인가" 지성인 1-164, 2018
6 유점순, "이규보의 현실인식과 환로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배상우, "이규보의 구관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경수, "이규보 시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246, 1986
9 김현, "김현 예술 기행/반고비 나그네 길에" 문학과지성사 1-494, 1999
10 하정승,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 여말선초 학맥의 형성" 동방한문학회 (82) : 167-200, 2020
11 김승룡,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지식을 만드는 지식 1-641, 2013
12 김효섭, "고려 무신집권기 李奎報의 관료생활과 교유관계" 성균관대학교 2018
13 "高麗史, 권99"
14 신동욱, "韓國現代文學論" 博英社 1-334, 1981
15 李德懋, "靑莊館全書, 권33"
16 이성기, "雲田 이창용박사 華甲 기념호 : 이규보의 作詩觀과 도연명수용의 양상" 8 : 289-310, 1983
17 "論語"
18 許穆, "記言, 권18"
19 林椿, "西河集, 권2"
20 李仁老, "破閑集, 권上"
21 노명호, "東明王篇과 李奎報의 多元的 天下觀" 83 : 293-315, 1997
22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권1"
23 姜求鈴, "杜甫의 求官詩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4 金容煥, "李奎報의 現實意識과 求官詩"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25 李東喆, "李奎報 詩의 硏究: 主題와 構造 分析을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8
26 "李太白集, 권25"
27 "全唐詩"
허균(許筠)과 한중문학교류 : -만명(晩明)시기 우순희(虞淳熙)를 중심으로-
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주생전> 연구 : -배도와 선화의 형상에 반영된 주생의 욕망-
홍낙순 문학론 연구-18세기 중반 청류계 문인들의 문예론과 관련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7 | 1.6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