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파찰음 발음 오류에 대한 음운・음성학적 연구 = Phonological and Phonetic Study of Affricative Pronunciation Error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affricative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specific to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nunciation samples gathered from 2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four Korean native speakers were compar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different patterns of phonological and phonetic errors. The greatest difficulty encounter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volves the fortis-lenis distinction of Korean affricative. Beginners are particularly prone to fortis errors because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Chines voiceless non-aspirated affricative is closer to Korean lenis. In uttering aspirated stops, advanced learners are prone to phonetic errors while having lower phonological error rates compared with beginners. Such phonetic errors committed by advanced learners are considered fossilized errors due to mother tongue interference. Advanced learners are more prone to word-internal errors than word-initial. At beginner’s level,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Korean fortis stops. Advanced learners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Korean aspirated stops, focusing on the pronunciation of word internal position. To achieve accuracy in the phonation of the closure duration and pitch of subsequent vowel,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enseness between lenis and fortis stops.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affricative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specific to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nunciation samples gathered from 2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four Korean native speakers were compared for the purpose of analy...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affricative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specific to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nunciation samples gathered from 2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four Korean native speakers were compar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different patterns of phonological and phonetic errors. The greatest difficulty encounter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volves the fortis-lenis distinction of Korean affricative. Beginners are particularly prone to fortis errors because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Chines voiceless non-aspirated affricative is closer to Korean lenis. In uttering aspirated stops, advanced learners are prone to phonetic errors while having lower phonological error rates compared with beginners. Such phonetic errors committed by advanced learners are considered fossilized errors due to mother tongue interference. Advanced learners are more prone to word-internal errors than word-initial. At beginner’s level,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Korean fortis stops. Advanced learners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Korean aspirated stops, focusing on the pronunciation of word internal position. To achieve accuracy in the phonation of the closure duration and pitch of subsequent vowel,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enseness between lenis and fortis sto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하는 한국어 파찰음의 발음 오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 20명과 한국인 4명의 발화를 비교하여 음운, 음성학적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파찰음의 평음과 경음을 구분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초급이 경음의 오류율이 높은 이유는 중국어 무기 파찰음이 한국어의 경음보다는 평음과 가까운 음향적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고급은 초급에 비해 격음의 음운론적 오류율은 낮으나 음성적 오류율이 높고 화자 간 편차도 크다. 고급의 음성적 오류는 모국어 영향에 의해 화석화되는 현상으로 파악된다. 고급은 어중의 오류율이 어두보다 높다. 초급은 한국어 경음의 음향적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급은 한국어의 격음에 대한 음향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어중 위치의 발음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무성구간보다는 후행 모음의 음높이를 조절하여 평음과 격음을 구분하도록 한다. 초급과 고급 모두 무성구간과 후행 모음의 정확한 발음을 위해 완전 폐쇄와 개방의 조음 절차를 이해하고 한국어의 연음(lenis)과 경음(fortis)의 긴장성 차이를 인식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하는 한국어 파찰음의 발음 오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 20명과 한국인 4명의 발화를 비교하여 음운, 음성학적...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하는 한국어 파찰음의 발음 오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 20명과 한국인 4명의 발화를 비교하여 음운, 음성학적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파찰음의 평음과 경음을 구분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초급이 경음의 오류율이 높은 이유는 중국어 무기 파찰음이 한국어의 경음보다는 평음과 가까운 음향적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고급은 초급에 비해 격음의 음운론적 오류율은 낮으나 음성적 오류율이 높고 화자 간 편차도 크다. 고급의 음성적 오류는 모국어 영향에 의해 화석화되는 현상으로 파악된다. 고급은 어중의 오류율이 어두보다 높다. 초급은 한국어 경음의 음향적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급은 한국어의 격음에 대한 음향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어중 위치의 발음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무성구간보다는 후행 모음의 음높이를 조절하여 평음과 격음을 구분하도록 한다. 초급과 고급 모두 무성구간과 후행 모음의 정확한 발음을 위해 완전 폐쇄와 개방의 조음 절차를 이해하고 한국어의 연음(lenis)과 경음(fortis)의 긴장성 차이를 인식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희,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 대조 연구 : 변이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 정명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8 : 345-369, 2008

      3 신지영,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글파크 2014

      4 박진원, "한·중 여성화자의 한국어 발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5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6 Lei Lei, "중국인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에 대한 실험음향음성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7 레이레이,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한국음운론학회 16 (16): 383-400, 2010

      8 위원징,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발음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평음·경음·격음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55-191, 2013

      9 주림결, "중국인 KFL 학습자의 학습기간에 따른 파찰음 발음 연구" 한말연구학회 (32) : 339-362, 2013

      10 주림결, "중국인 KFL 학습자의 학습기간에 따른 파열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 이건희,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 대조 연구 : 변이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 정명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8 : 345-369, 2008

      3 신지영,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글파크 2014

      4 박진원, "한·중 여성화자의 한국어 발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5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6 Lei Lei, "중국인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에 대한 실험음향음성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7 레이레이,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한국음운론학회 16 (16): 383-400, 2010

      8 위원징,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발음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평음·경음·격음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55-191, 2013

      9 주림결, "중국인 KFL 학습자의 학습기간에 따른 파찰음 발음 연구" 한말연구학회 (32) : 339-362, 2013

      10 주림결, "중국인 KFL 학습자의 학습기간에 따른 파열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1 여학봉, "중국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파열음, 파찰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위원회 40 : 63-78, 2007

      12 추이진단,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교육" 이중언어학회 (20) : 309-344, 2002

      13 장향실, "중국어 모국어 화자의 한국어 학습시 나타나는 발음상의 오류와 그 교육 방안" 한국어학회 15 : 10-228, 2002

      14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도서출판 박이정 2006

      15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 음성학·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