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Perceived Involvement of the Father in Pare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9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involvement of the father inparenting o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with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inding ways to improve the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95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ublic kindergarten in the areaof 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raising childrenwith disabilities had high scores in affective attitude and positive scores inevaluation on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control attitude. Second, the father’s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wa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with disabilities, but routine daily-life guida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Third,as the father’s perceived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s, the mother’saffective attitude increases, while her control attitude decreases. Therefore, it isimportant to find ways to get fathers involved in raising their children withdisabilities by providing parenting information, so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the mother will improve.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order to help mothers develop apositive perception of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involvement of the father inparenting o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with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inding ways to improve theparenting attitudes of m...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involvement of the father inparenting o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with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inding ways to improve the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95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ublic kindergarten in the areaof 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raising childrenwith disabilities had high scores in affective attitude and positive scores inevaluation on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control attitude. Second, the father’s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wa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with disabilities, but routine daily-life guida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Third,as the father’s perceived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s, the mother’saffective attitude increases, while her control attitude decreases. Therefore, it isimportant to find ways to get fathers involved in raising their children withdisabilities by providing parenting information, so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the mother will improve.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order to help mothers develop apositive perception of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A지역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장애유아의 어머니 95 명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태도와 양육태도의 긍정적 평가 부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준수 등 통제적인 태도도 높았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는아버지가 장애유아들과 시간을 함께 자주 보낸다고 지각하고 있었지만 유아의 생활지도부분에서는 참여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증가하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높게 인식할수록애정적 양육태도는 높게 나타났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낮았다. 애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양육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직접적인 양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방안을 모색하...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A지역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장애유아의 어머니 95 명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태도와 양육태도의 긍정적 평가 부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준수 등 통제적인 태도도 높았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는아버지가 장애유아들과 시간을 함께 자주 보낸다고 지각하고 있었지만 유아의 생활지도부분에서는 참여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증가하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높게 인식할수록애정적 양육태도는 높게 나타났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낮았다. 애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양육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직접적인 양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자경,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태도, 그리고 가족탄력성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5-125, 2012

      2 徐美多壽, "정상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3 심자형, "전반적 발달장애(PDD)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8 : 235-251, 2005

      4 백설아,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5 金炯來,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단국대학교 1998

      6 김국민, "장애유아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이한우,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9

      8 김호영,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7) : 309-321, 2002

      9 손재익,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 비장애아동 가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10 이명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 김자경,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태도, 그리고 가족탄력성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5-125, 2012

      2 徐美多壽, "정상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3 심자형, "전반적 발달장애(PDD)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8 : 235-251, 2005

      4 백설아,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5 金炯來,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단국대학교 1998

      6 김국민, "장애유아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이한우,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9

      8 김호영,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7) : 309-321, 2002

      9 손재익,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 비장애아동 가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10 이명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1 표윤경,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장재홍,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123-1390, 2002

      13 이영환,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양육의 관점에서-"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189-210, 2008

      14 허영림,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관한연구" 26 (26): 97-116, 2006

      15 이정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0, 2003

      16 이영환,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참여시간 비교"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471-495, 2012

      17 황경열,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도정신지체아동의 자기 결정력과의 관계" 8 (8): 151-163, 2005

      18 김고은,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