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new subject < Language and Media > are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what the grammar education has to focus on is to reconfirm the essence of grammar principle. To prepare the principles of textbook < 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87025
2016
-
700
KCI등재
학술저널
237-286(50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new subject < Language and Media > are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what the grammar education has to focus on is to reconfirm the essence of grammar principle. To prepare the principles of textbook < L...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new subject < Language and Media > are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what the grammar education has to focus on is to reconfirm the essence of grammar principle. To prepare the principles of textbook < Language and Media >, three achievement standards are discussed. [12-eonmae-01-03]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types and the features of media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12-eonmae02-11]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language norm through the various Korean material, and live a correct, effective and creative life in language use. [12-eonmae02-10]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features of Korean material by various genre type and produce the effective Korean text. For [12-eonmae-01-03],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ntext should be reflected, the stylistic selection should be replaced by the individuality in respect of spoken - written language. Furthermore, the grammar and the text should be deeply related material in textbooks. For [12-eonmae02-11], the criteria should be revised about the widely represented grammatical error. It might be grammatical reform of native speakers. For [12-eonmae02-10], meaning and function of linguistic item should closely link the generic feature of genre.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세형,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한국어교육학회 (130) : 173-204, 2009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태학사 2000
3 남길임, "한국어 정형화된 표현의 분석 단위에 대한 연구: 형태 기반 분석과 어절 기반 분석의 비교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13-136, 2013
4 안소진, "학술논문 문형의 문법적 특징과 담화 기능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분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어문연구학회 73 : 87-107, 2012
5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6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소 (34) : 57-86, 2014
7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4 : 179-206, 2013
9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10 Brinker, K.,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역락 1996
1 주세형,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한국어교육학회 (130) : 173-204, 2009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태학사 2000
3 남길임, "한국어 정형화된 표현의 분석 단위에 대한 연구: 형태 기반 분석과 어절 기반 분석의 비교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13-136, 2013
4 안소진, "학술논문 문형의 문법적 특징과 담화 기능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분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어문연구학회 73 : 87-107, 2012
5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6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소 (34) : 57-86, 2014
7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4 : 179-206, 2013
9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10 Brinker, K.,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역락 1996
11 이성범,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2002
12 고영삼, "전자감시사회와 프라이버시" 도서출판 한울 1998
13 Knapp, "장르, 텍스트, 문법: 쓰기를 위한 문법" 박이정 2007
14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5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 "잊혀질 권리" 지식의날개 2015
16 장경현, "인문언어학의 구상과 전망: 구어와 문어 문법 연구의 현황과전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6 : 97-120, 2010
17 주세형,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매체 식별 교육 내용의 변천 양상과 국어교육사적 함의" 국어국문학회 (143) : 457-484, 2006
18 신선경, "언어사용적 측면에서의 문법 기술의 의의와 방향- 학술텍스트의 문어체 선호를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385-408, 2012
19 최지현, "사적 언어는 국어교육의 공적 담론장에 들어오게 될 것인가"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29-69, 2013
20 오장근, "사건 보도, 사태 보도, 르포르타주" 텍스트언어학회 10 : 189-211, 2001
21 이용주, "발신자의 ‘선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 : 1-13, 1992
22 장경현, "문어/문어체·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의미학회 13 : 143-166, 2003
23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24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25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203-239, 2012
26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27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7) : 173-211, 2012
28 신명선,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32) : 69-103, 2013
29 윤여탁,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19) : 45-70, 2007
30 김대행,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28) : 5-36, 2007
31 김대행, "매체 언어 교육론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97 : 7-44, 1998
32 박인기, "독서 현상 연구와 독서 정책의 방향" 한국독서학회 (17) : 9-35, 2007
33 김광희, "대용 표현" 국어학회 (60) : 360-388, 2011
34 Beaugrande, "담화 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1991
35 이원표, "담화 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례" 한국문화사 2001
36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19) : 99-140, 2007
37 주세형, "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 창의성과 균형 잡기" 한국어교육학회 (119) : 397-429, 2006
38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국어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16
39 김봉순, "국어교육에는 어떤 문법이 필요한가: 시제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26 : 447-466, 2007
40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회 (37) : 137-158, 2010
41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회 (37) : 137-158, 2010
42 김은성, "국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처리의 문제" 국어교육학회 (33) : 333-365, 2008
43 신지연, "국어 대명사의 품사론" 한국어학회 38 : 33-56, 2008
44 김경주, "구어적 텍스트의 문체적 특성과 쓰기 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회 11 : 73-106, 2000
45 Ronald, N. G., "과학적 추론의 이해" 소화 2008
46 주세형, "‘통일성과 응집성’ 관련 성취 기준에 대한 검토" 한말연구학회 (40) : 315-357, 2016
47 제민경, "‘장르’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49 (49): 393-426, 2014
48 박나리, "‘-는 것이다’ 구문 연구 -문법기능과 담화기능 그리고 화자의 담화전략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65) : 251-279, 2012
49 Halliday, M. A. K., "The Language of Early Childhood" Continuum 2003
50 정현선,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2) : 79-114, 2013
51 Halliday, M. A. K., "An Instruction to Functional Grammar" Hodder Arnold 2004
한국어 문법의 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어 문법 교사를 위하여 -
한국어 교사 교육을 위한 문법 중심 한국어 교수 설계 원리 - `-느라고`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1 | 0.96 | 1.791 | 0.3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언어와 매체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소현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2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1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