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실제성 논의의 새로운 방향 = A New Direction of Exploring “Authenticity” in Korean Language Textbo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roughly examine the main concept of ‘authentic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n propose a fresh direction to explore it. Although ‘authenticity’ is a frequently-used important term i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roughly examine the main concept of ‘authentic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n propose a fresh direction to explore it. Although ‘authenticity’ is a frequently-used important term in language education, it doesn’t seem that there is any explicit theoretical consensus on this concept. Currently it is high time to critically examine previous research on authenticity and clarify its meaning.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practical aspects of authenticity. The range of the review articles are as follows: 1)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other tongu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2) research conducted overseas as well as in Korea. Mostly the main focus is given to the trends and issues surrounding authenticity.
      Through the review, this study verifies that there have not yet been sufficient inquiry on authenticity and many articles on authenticity have been narrowly considered with linear and one-dimensional approach.
      Based on these examinations, this study proposes an invigorating way of exploring authenticity as follows: Firstly, authenticity should be regarded as a relative concept with various degrees; secondly, authenticity should be explored with multi-dimensional approach, especially with ‘construct-interpretation’ fra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주, "한국어교육에서의 실제성 연구를 위한구어의 특징 재고"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57-194, 2016

      2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3 조경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80) : 359-385, 2012

      4 전은주, "한국어 말하기 듣기교육에서 ‘실제성 원리’의 적용 층위와 내용"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53-576, 2012

      5 박미경, "한국어 듣기 자료의 음성‧음운론적 고찰 - 발음과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72) : 431-460, 2016

      6 김서형, "한국어 대화문 종결 형태의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 교재 대화문의 실제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57-79, 2013

      7 이소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구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8 이민아, "한국어 교재 대화의 화용적 분석:실제성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21, 2015

      9 김서형,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전형성과 구성 요건" 한국언어문학회 (83) : 425-450, 2012

      10 이미향,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서 대화 참여자의 상호작용성 연구" 한국화법학회 (31) : 213-246, 2016

      1 백승주, "한국어교육에서의 실제성 연구를 위한구어의 특징 재고"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57-194, 2016

      2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3 조경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80) : 359-385, 2012

      4 전은주, "한국어 말하기 듣기교육에서 ‘실제성 원리’의 적용 층위와 내용"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53-576, 2012

      5 박미경, "한국어 듣기 자료의 음성‧음운론적 고찰 - 발음과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72) : 431-460, 2016

      6 김서형, "한국어 대화문 종결 형태의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 교재 대화문의 실제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57-79, 2013

      7 이소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구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8 이민아, "한국어 교재 대화의 화용적 분석:실제성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21, 2015

      9 김서형,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전형성과 구성 요건" 한국언어문학회 (83) : 425-450, 2012

      10 이미향,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서 대화 참여자의 상호작용성 연구" 한국화법학회 (31) : 213-246, 2016

      11 권성미,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 포함된 조언의 실제성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21-43, 2013

      12 김수영, "한국어 교육의 실제성 구현을 위한 디지털 교재 현황 및 설계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8 (8): 243-273, 2014

      13 임칠성, "한국·중국·미국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비교 연구: 『연세한국어 6』, 『韩国语 4』, 『Integrated Korean - Advanced Intermediate 1』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1 (51): 185-219, 2016

      14 권은선, "토론 수업에서의 실제성에 대한 질적 탐구: 대안교육 특성화고 국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31) : 1-44, 2016

      15 천경록, "초등 국어활동 교과서의 실천학습에 대한 고찰"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285-311, 2015

      16 이병규, "초등 국어 문법 영역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원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8) : 231-258, 2012

      17 이소영, "초급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대화 원형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 (7): 161-187, 2013

      18 김정화, "초급 단계에서의 듣기 자료의 실제성" 이중언어학회 (20) : 69-92, 2002

      19 김서형,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모음의 발음 설명" 한민족어문학회 (72) : 93-122, 2016

      20 심재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 구어 텍스트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17 (17): 143-173, 2000

      21 김호정, "예보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8) : 27-65, 2016

      22 지현숙, "실세계 접근을 통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의 설계 방안" 우리어문학회 (33) : 583-614, 2009

      23 신희성, "문법교육에서 실제성의 구인 분석과 측정 연구 : 교과서의 텍스트 판단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4 고춘화, "문법교육 텍스트의 변화 양상과 특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5) : 115-154, 2014

      25 이성영,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한국독서학회 (28) : 52-81, 2012

      26 김창원,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메타적 접근-"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7-34, 2014

      27 남가영, "국어과 교재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 예비 국어교사들의 교재 평가기준 적용 양상 분석을 토대로 -" 한국어교육학회 (154) : 165-198, 2016

      28 정혜승, "국어과 교과서 채택 기준과 채택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5) : 347-383, 2011

      29 박진용, "국어 교과서 정책의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학회 (42) : 5-40, 2011

      30 이성영,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회 (36) : 71-98, 2009

      31 김주환, "국어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국어교육학회 (42) : 347-378, 2011

      32 이정란, "구어 교육을 위한 간접 인용 구문의 실제성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1-151, 2016

      33 이성진, "공익 광고를 통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연구학회 5 : 63-81, 2016

      34 이윤진, "‘실제성’ 제고를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 활용의 원리 고찰 - 『세종한국어』의 대화문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72) : 49-76, 2017

      35 Tatsuki, D., "What is authenticity?" 16 (16): 17-21, 2006

      36 Harmer, J., "The practic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Longman 1991

      37 Widdowson, H.,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8 Byram, M,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68-69, 2004

      39 Pinner, R. S., "Reconceptualising authenticity for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Multilingual Matters 2016

      40 Tomlinson, B., "Materials development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5 (45): 143-179, 2012

      41 Widdowson, H., "Learning purpose and language use"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42 Chavez, M., "Learner's perspectives on authenticity" 36 (36): 277-306, 1988

      43 Rogers, C. V., "Language with a purpose: Using authentic materials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21 (21): 467-478, 1988

      44 van Lier, L., "Interaction in the language curriculum" Longman 1996

      45 Taylor, D, "Inauthentic authenticity or authentic inauthenticity?" 1 (1): 1994

      46 Morrow, K.,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Modern English Publications 13-17, 1977

      47 Jordan, R. 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for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8 Mishan, F., "Designing authenticity into language learning materials" Intellect 2005

      49 Brown, S, "Defining authentivity"

      50 Lee, W. Y., "Authenticity revisited" 49 (49): 323-328, 1995

      51 Breen, M., "Authenticity in the language classroom" 6 (6): 66-70, 1985

      52 Kilickaya. F., "Authentic materials and cultural content in EFL classrooms" 10 (10): 1-6, 2004

      53 Gilmore, A., "Authentic materials and authenticit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40 : 97-118, 2007

      54 Rings, L., "Authentic language and authentic conversational texts" 19 (19): 203-208, 1986

      55 Shomoossi, N., "A critical look at the concept of authenticity" 4 (4): 149-15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