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작품에 대한 깊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그 특유의 서사문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설화의 언어는 일반 언어와 다르다. 그 언어는 모호하고 다의적이며, 비사실 적이고 허구적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설화작품에 대한 깊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그 특유의 서사문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설화의 언어는 일반 언어와 다르다. 그 언어는 모호하고 다의적이며, 비사실 적이고 허구적이...
설화작품에 대한 깊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그 특유의 서사문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설화의 언어는 일반 언어와 다르다. 그 언어는 모호하고 다의적이며, 비사실
적이고 허구적이다. 상상적 자유로움을 마음껏 구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잘 짜인
틀거리를 이룬다. 개별성과 자유로움, 변격의 낯섦과 개방적 모호성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가 확산을 지향하는 가운데 원심력을 발휘한다면, 총합성과 규칙성, 정격의 익숙
함과 명확성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구조는 수렴을 지향하면서 구심력을 발휘한다. 그
서로 다른 운동성이 역동적으로 맞물리는 가운데 미적 질서와 긴장을 구현하는 것이
설화의 본질적 특징이다.
그간의 설화분석은 화소와 순차구조를 축으로 한 양항적 지향을 효과적으로 매개
하는 길을 잘 찾아내지 못했었다. 심리학적 분석이나 원형적 상징 분석 등은 화소의
의미를 깊고 다양하게 짚어내는 대신 서사구조적 정합성을 놓친 쪽이었다. 반대로 순
차구조 중심 설화론은 형태적 규칙성을 찾아낸 대신 화소들이 발현하는 의미상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놓친 측면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양자를 매개할 분석 축
으로서 ‘서사적 화두’ 개념을 설정하고 민담 <신바닥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분석을
수행했다. 설화에서 ‘서사적 의미 축을 이루는 쟁점적 문젯거리’를 핵심적으로 찾아내
고 그를 통한 순차구조 분석과 화소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자를 형태적·의미적으로
통합한 보다 정합적이고 입체적이며 풍성한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 것이었다. 논의의
말미에는 서사적 화두 중심 설화분석 프로세스도 제시했거니와, 본 연구에서 제출한
분석 모델은 설화 외에 현대 문화예술 분석에 널리 적용되는 한편 스토리 관련 기획과
창작에도 유효하게 원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구비문학대계"
2 정재민, "한국 운명설화 연구" 제이앤씨 2009
3 조동일, "한국 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4 나주연, "한국 민담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모티프" 비교민속학회 (37) : 183-202, 2008
5 나지영, "인지역동 스키마 이론과의 연계를 통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 발전 방향 연구" 건국대 2016
6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2) : 59-104, 2016
7 최용호, "의미의 설화성" 인간사랑 2006
8 신동흔,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샘터 2014
9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2" 시공주니어 1998
10 조지프 제이콥스, "영국 옛이야기" 현대지성사 2005
1 "한국구비문학대계"
2 정재민, "한국 운명설화 연구" 제이앤씨 2009
3 조동일, "한국 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4 나주연, "한국 민담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모티프" 비교민속학회 (37) : 183-202, 2008
5 나지영, "인지역동 스키마 이론과의 연계를 통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 발전 방향 연구" 건국대 2016
6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2) : 59-104, 2016
7 최용호, "의미의 설화성" 인간사랑 2006
8 신동흔,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샘터 2014
9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2" 시공주니어 1998
10 조지프 제이콥스, "영국 옛이야기" 현대지성사 2005
11 김정은,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박사 2016
12 신동흔, "설화와 소설의 장르적 본질 및 문학사적 위상" 국어국문학회 (138) : 235-276, 2004
13 제랄드 프랭스,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1999
14 신동흔, "삶을 일깨우는 옛이야기의 힘" 우리교육 2012
15 김태환, "문학의 질서" 문학과지성사 2007
16 그림형제, "그림형제 민담집" 현암사 2012
17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대 출판부 1985
18 신동흔, "국어시간에 설화 읽기 1 : 꿈과 환상, 경이의 이야기들" 휴머니스트 2016
19 임봉길, "구조주의 혁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0 장덕순, "구비문학 개설" 일조각 1971
21 우진옥, "고전문학 속 ‘나쁜 엄마’의 유형과 자녀의 대응에 대한 연구" 건국대 2015
22 강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강원의 설화Ⅰ"
23 김정은, "‘길장가 든 총각’ 설화에 나타난 고립의 문제와 관계 전복의 서사문법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3) : 5-35, 2016
24 Dundes, Alan, "The Morphology of North American Indian Folktales" SuoMalainen Tiedeakatemia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5) : 1980
25 Donghun Shin, "Oral Literature and Oracy: Focusing on the Cognition System and Meaning Structure of Folktales"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Communication null (null): 59-92, 2016
26 Thompson, Stith,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a classification of narrative elements in folktales, ballads, myths, fables, mediaeval romances, Vol 1 to 6" Indiana University Press 1960
27 Propp, Vladimir, "Morphology of the Folklore" American Folklore Society 1968
28 kang Hyen-Mo, "A study on the Yeong-gyu Daesa's tales - Focusing in the Aspects of local-tradition & the Narration-grammar of the Folktales -" The Association for Korea Culture Studies null (null): 283-312, 2009
29 Donghun Shin,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Tales about Samyeongdang-Consideration through the Narrative Customs of Historic Figures Tal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null (null): 279-310, 2010
30 Lee, Seunghwan, "A Review of Story Grammers" 서울대 어학연구소 20 (20): 275-298, 1984
<심청가>를 통해 본 고통의 연대와 국가 역할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