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병근, 9 : 375-390, 1970
2 김명신, "樂善齋本 ?紅樓復夢?의 飜譯樣相" 한국중국소설학회 21 (21): 129-155, 2005
3 홍봉선,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1" 박이정 2000
4 민현식, "한글본 ‘이언’ 연구" 서울대 출판부 2008
5 고영근,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6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7 역사학회, "한국사 자료 선집 5(최근세편)" 일조각 1975
8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9 최경옥, "한국 개화기 근대 외래한자어의 수용 연구" J & C 2003
10 최명옥, "평북 의주지역어의 통시음운론" 서울대 어학연구소 23 (23): 65-90, 1987
11 이필영,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국어학회 26 : 1-32, 1995
12 김상대, "중세국어 구결문의 국어학적 연구" 한신문화사 1985
13 송민, "조선 통신사의 일본어 접촉" 국민대 5 : 37-52, 1986
14 송민, "전기근대국어음운론연구" 탑출판사 1986
15 송민, "일본 수신사의 신문명 어휘 접촉" 국민대 7 : 51-65, 1988
16 윤치호, "윤치호 일기, 1916-1943 : 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 시기" 역사비평사 2001
17 이진호,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 연구" 한샘 567-598, 1987
18 리의도, "우리말 이음씨끝의 통시적 연구" 어문각 1990
19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정음문화사 1992
20 백두현, "영남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21 송민, "언어의 간섭과 접촉 유형에 대하여" 성심여대 10 : 29-62, 1979
22 송민, "어휘 변화의 양상과 그 배경" 국어연구소 22 : 42-57, 1990
23 김남돈, "신소설 말뭉치와 깜짝새 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최근세 국어 문법의 연구 방안" 국어국문학회 (143) : 123-152, 2006
24 이한섭, "서유견문에 받아들여진 일본의 한자어에 대하여"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6 : 85-107, 1987
25 채? 완, "불교 용어의 일상어화에 대한 고찰, 이기문 교수 정년기념퇴임논총" 신구문화사 754-773, 1996
26 김완진, "번역 박통사와 박통사 언해의 비교 연구" 단국대 5 : 15-28, 1975
27 신용하, "독립협회연구" 일조각 1976
28 김광수, "독립신문의 광고 분석" 성곡언론문화재단 15 : 62-84, 1997
29 이기문, "독립신문과 한글문화" 주시경연구소 4 : 7-21, 1989
30 민현식, "농가월령가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한글학회 10 : 31-70, 1996
31 김완진, "노걸대의 언해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원 1976
32 홍윤표, "근대국어자료,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국립국어연구원 192-234, 1997
33 홍윤표, "근대국어연구(Ⅰ)" 태학사 1994
34 홍종선, "근대국어문법의 이해" 박이정 1998
35 이광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
36 이익섭, "근대 한국어 문헌의 표기법 연구" 일본 천리대 114 : 1-36, 1985
37 이익섭, "근대 국어 표기법의 성격과 특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0 : 3-17, 1993
38 이주행, "근대 국어 표기법에 대한 형태론적 해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0 : 35-53, 1993
39 김태준, "근대 계몽기의 교과서와 어문교육"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2 : 5-27, 2004
40 홍윤표, "규장각 소장 근대국어 문헌자료의 종합적 연구" 태학사 1994
41 윤치호, "국역 윤치호 일기" 연세대출판부
42 고영근, "국어학연구사" 학연사 1985
43 정승철,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9
44 이기문,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972
45 홍윤표, "국어사 문헌 자료 연구(근대편 1)" 태학사 1993
46 고영근, "국어문법의 연구" 1983
47 김중진, "국어 표기사 연구" 태학사 1999
48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2
4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2
50 홍종선, "국어 문법사의 시대 구분" 한국어학회 29 : 285-308, 2005
51 허웅,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 샘문화사 1987
52 신창순, "국어 근대 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2003
53 이병근,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 서울대 9 : 151-167, 1970ㄴ
54 이응호, "개화기의 한글 운동사" 성청사 1975
55 고영근, "개화기의 한국어문운동" 25 : 5-21, 2000
56 이병근, "개화기의 언어정책과 표기법 문제" 국어연구소 4 : 24-45, 1986
57 송민, "개화기의 어휘 개신에 대하여" 국민대 11 : 41-61, 1992
58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연구" 일조각 1970
59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5 : 65-84, 1984
60 강윤호,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교육출판사 1975
61 고영근, "개화기와 한국어학" 어문연구학회 37 : 275-297, 2001
62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이언(易言)≫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국어학회 (49) : 277-314, 2007
63 석주연, "개화기 초기 국어의 형태와 통사- 도교 관계 문헌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1 : 113-133, 2007
64 김인선, "개화기 이승만의 한글운동연구" 연대 국학대학원 1999
65 송민, "개화기 신문명 어휘의 성립과정" 국민대 8 : 69-88, 1989
66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67 신중진, "개화기 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태학사 2007
68 박영섭, "개화기 국어어휘 자료집" 서광학슬자료사/박이정 1-5, 1994
69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 출판부 1997
70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에 대한 종합적 연구(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5 (85): 101-123, 1994ㄷ
71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에 대한 종합적 연구(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3 (83): 113-152, 1994ㄴ
72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1 : 37-61, 1994ㄱ
73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박이정 1999
74 김인선, "갑오경장 전후의 국문 한문 사용 논쟁" 국립국어연구원 4 (4): 155-170, 1994
75 김인선, "갑오경장 전후 개화파의 한글 사용" 주시경연구소 8 : 3-32, 1991
76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77 國史編纂委員會, "尹致昊日記" 19 : 1-11, 1973
78 고영근, "兪吉濬의 國文觀과 社會思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05-426, 2004
79 김동언, "‘텬로력뎡’과 개화기 국어" 한국문화사 1998
80 김상욱, "‘농가월령가’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담론 분석,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집문당 451-464, 1994
81 이기문, "19세기말의 국문론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19·20 : 169-178, 1977
82 정재영,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의 한국어문"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8 : 1-31, 1996
83 김형철, "19세기말 국어의 문체·구문·어휘의 연구" 경북대 1987
84 최명옥, "19세기 후기국어의 자음음운론" 진단학회 78 : 343-375, 1992ㄴ
85 최명옥, "19세기 후기국어의 연구: 모음음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3 : 55-90, 1992
86 최전승,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 현상과 그 역사성" 한신문화사 1986
87 최명옥,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론"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7 (7): 713-746, 1985
88 최명옥,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 체계, in: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749-763, 1986
89 최임식,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모음체계" 계명대 1984
90 이현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주로 문법사적 기술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41 : 1-40, 2007
91 송민, "19세기 천주교 자료의 국어학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72 (72): 291-295, 1976
92 고영근, "19세기 전반기의 서양인의 국어 연구 자료" 3 : 27-40, 1979
93 정길남, "19세기 성서의 우리말 연구" 1992
94 백두현, "19세기 국어의 음운사적 고찰:모음론" 서울대 20 : 1997
95 이현희, "19세기 국어의 문법사적 고찰"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5 : 57-81, 1994
96 이병근, "19세기 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국어국문학회 72·73 : 1-14, 1976
97 곽충구, "18세기 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1980
98 전광현, "17세기 국어의 연구" 서울대 1967
99 이경우, ""최근세국어경어법연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