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19세기 국어에 대한 종합적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7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special features of the latter modern times Korean language and shifted to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hat cover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the 20th century. The texts of former part of the 19th century language are not many, but the latter part shows a lot of texts. Phonological history has the issues of the disappearance of the spelling of under-a/ㆍ/ and the period of vowel simplification of /ㅚ, ㅟ/. In the orthography history,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the main development of morphophonemic spelling with phonemic spelling and overl apping spelling. Spelling of fortis tried to change over an initial s(ㅅ) to the same double consonant. There was competition of style among Chinese char acter style, Korean character(Hangeul) style, and Korean-Chinese mixed style that imitates Japanese-Chinese mixed style. In the grammatical history, an honorific was divided into the six level honorific system and the modern tense-aspect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use of a quotation marker '-ko' was increased. Lexical history shows rapid increase of borro wing words especially Japanese-Chinese technical terms. Ronggawoll yeongga, Ryuneum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show a new style of communication which requires new research approach by text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time was a special period in terms of awakening of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번역하기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special features of the latter modern times Korean language and shifted to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hat cover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the 20th century. Th...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special features of the latter modern times Korean language and shifted to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hat cover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the 20th century. The texts of former part of the 19th century language are not many, but the latter part shows a lot of texts. Phonological history has the issues of the disappearance of the spelling of under-a/ㆍ/ and the period of vowel simplification of /ㅚ, ㅟ/. In the orthography history,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the main development of morphophonemic spelling with phonemic spelling and overl apping spelling. Spelling of fortis tried to change over an initial s(ㅅ) to the same double consonant. There was competition of style among Chinese char acter style, Korean character(Hangeul) style, and Korean-Chinese mixed style that imitates Japanese-Chinese mixed style. In the grammatical history, an honorific was divided into the six level honorific system and the modern tense-aspect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use of a quotation marker '-ko' was increased. Lexical history shows rapid increase of borro wing words especially Japanese-Chinese technical terms. Ronggawoll yeongga, Ryuneum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show a new style of communication which requires new research approach by text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time was a special period in terms of awakening of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근, 9 : 375-390, 1970

      2 김명신, "樂善齋本 ?紅樓復夢?의 飜譯樣相" 한국중국소설학회 21 (21): 129-155, 2005

      3 홍봉선,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1" 박이정 2000

      4 민현식, "한글본 ‘이언’ 연구" 서울대 출판부 2008

      5 고영근,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6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7 역사학회, "한국사 자료 선집 5(최근세편)" 일조각 1975

      8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9 최경옥, "한국 개화기 근대 외래한자어의 수용 연구" J & C 2003

      10 최명옥, "평북 의주지역어의 통시음운론" 서울대 어학연구소 23 (23): 65-90, 1987

      1 이병근, 9 : 375-390, 1970

      2 김명신, "樂善齋本 ?紅樓復夢?의 飜譯樣相" 한국중국소설학회 21 (21): 129-155, 2005

      3 홍봉선,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1" 박이정 2000

      4 민현식, "한글본 ‘이언’ 연구" 서울대 출판부 2008

      5 고영근,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6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7 역사학회, "한국사 자료 선집 5(최근세편)" 일조각 1975

      8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9 최경옥, "한국 개화기 근대 외래한자어의 수용 연구" J & C 2003

      10 최명옥, "평북 의주지역어의 통시음운론" 서울대 어학연구소 23 (23): 65-90, 1987

      11 이필영,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국어학회 26 : 1-32, 1995

      12 김상대, "중세국어 구결문의 국어학적 연구" 한신문화사 1985

      13 송민, "조선 통신사의 일본어 접촉" 국민대 5 : 37-52, 1986

      14 송민, "전기근대국어음운론연구" 탑출판사 1986

      15 송민, "일본 수신사의 신문명 어휘 접촉" 국민대 7 : 51-65, 1988

      16 윤치호, "윤치호 일기, 1916-1943 : 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 시기" 역사비평사 2001

      17 이진호,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 연구" 한샘 567-598, 1987

      18 리의도, "우리말 이음씨끝의 통시적 연구" 어문각 1990

      19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정음문화사 1992

      20 백두현, "영남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21 송민, "언어의 간섭과 접촉 유형에 대하여" 성심여대 10 : 29-62, 1979

      22 송민, "어휘 변화의 양상과 그 배경" 국어연구소 22 : 42-57, 1990

      23 김남돈, "신소설 말뭉치와 깜짝새 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최근세 국어 문법의 연구 방안" 국어국문학회 (143) : 123-152, 2006

      24 이한섭, "서유견문에 받아들여진 일본의 한자어에 대하여"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6 : 85-107, 1987

      25 채? 완, "불교 용어의 일상어화에 대한 고찰, 이기문 교수 정년기념퇴임논총" 신구문화사 754-773, 1996

      26 김완진, "번역 박통사와 박통사 언해의 비교 연구" 단국대 5 : 15-28, 1975

      27 신용하, "독립협회연구" 일조각 1976

      28 김광수, "독립신문의 광고 분석" 성곡언론문화재단 15 : 62-84, 1997

      29 이기문, "독립신문과 한글문화" 주시경연구소 4 : 7-21, 1989

      30 민현식, "농가월령가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한글학회 10 : 31-70, 1996

      31 김완진, "노걸대의 언해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원 1976

      32 홍윤표, "근대국어자료,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국립국어연구원 192-234, 1997

      33 홍윤표, "근대국어연구(Ⅰ)" 태학사 1994

      34 홍종선, "근대국어문법의 이해" 박이정 1998

      35 이광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

      36 이익섭, "근대 한국어 문헌의 표기법 연구" 일본 천리대 114 : 1-36, 1985

      37 이익섭, "근대 국어 표기법의 성격과 특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0 : 3-17, 1993

      38 이주행, "근대 국어 표기법에 대한 형태론적 해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0 : 35-53, 1993

      39 김태준, "근대 계몽기의 교과서와 어문교육"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2 : 5-27, 2004

      40 홍윤표, "규장각 소장 근대국어 문헌자료의 종합적 연구" 태학사 1994

      41 윤치호, "국역 윤치호 일기" 연세대출판부

      42 고영근, "국어학연구사" 학연사 1985

      43 정승철,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9

      44 이기문,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972

      45 홍윤표, "국어사 문헌 자료 연구(근대편 1)" 태학사 1993

      46 고영근, "국어문법의 연구" 1983

      47 김중진, "국어 표기사 연구" 태학사 1999

      48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2

      4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2

      50 홍종선, "국어 문법사의 시대 구분" 한국어학회 29 : 285-308, 2005

      51 허웅, "국어 때매김법의 변천사" 샘문화사 1987

      52 신창순, "국어 근대 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2003

      53 이병근,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 서울대 9 : 151-167, 1970ㄴ

      54 이응호, "개화기의 한글 운동사" 성청사 1975

      55 고영근, "개화기의 한국어문운동" 25 : 5-21, 2000

      56 이병근, "개화기의 언어정책과 표기법 문제" 국어연구소 4 : 24-45, 1986

      57 송민, "개화기의 어휘 개신에 대하여" 국민대 11 : 41-61, 1992

      58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연구" 일조각 1970

      59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5 : 65-84, 1984

      60 강윤호,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교육출판사 1975

      61 고영근, "개화기와 한국어학" 어문연구학회 37 : 275-297, 2001

      62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이언(易言)≫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국어학회 (49) : 277-314, 2007

      63 석주연, "개화기 초기 국어의 형태와 통사- 도교 관계 문헌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1 : 113-133, 2007

      64 김인선, "개화기 이승만의 한글운동연구" 연대 국학대학원 1999

      65 송민, "개화기 신문명 어휘의 성립과정" 국민대 8 : 69-88, 1989

      66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67 신중진, "개화기 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태학사 2007

      68 박영섭, "개화기 국어어휘 자료집" 서광학슬자료사/박이정 1-5, 1994

      69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 출판부 1997

      70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에 대한 종합적 연구(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5 (85): 101-123, 1994ㄷ

      71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에 대한 종합적 연구(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3 (83): 113-152, 1994ㄴ

      72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1 : 37-61, 1994ㄱ

      73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박이정 1999

      74 김인선, "갑오경장 전후의 국문 한문 사용 논쟁" 국립국어연구원 4 (4): 155-170, 1994

      75 김인선, "갑오경장 전후 개화파의 한글 사용" 주시경연구소 8 : 3-32, 1991

      76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77 國史編纂委員會, "尹致昊日記" 19 : 1-11, 1973

      78 고영근, "兪吉濬의 國文觀과 社會思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05-426, 2004

      79 김동언, "‘텬로력뎡’과 개화기 국어" 한국문화사 1998

      80 김상욱, "‘농가월령가’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담론 분석,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집문당 451-464, 1994

      81 이기문, "19세기말의 국문론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19·20 : 169-178, 1977

      82 정재영,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의 한국어문"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8 : 1-31, 1996

      83 김형철, "19세기말 국어의 문체·구문·어휘의 연구" 경북대 1987

      84 최명옥, "19세기 후기국어의 자음음운론" 진단학회 78 : 343-375, 1992ㄴ

      85 최명옥, "19세기 후기국어의 연구: 모음음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3 : 55-90, 1992

      86 최전승,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 현상과 그 역사성" 한신문화사 1986

      87 최명옥,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론"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7 (7): 713-746, 1985

      88 최명옥,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 체계, in: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749-763, 1986

      89 최임식, "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모음체계" 계명대 1984

      90 이현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주로 문법사적 기술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41 : 1-40, 2007

      91 송민, "19세기 천주교 자료의 국어학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72 (72): 291-295, 1976

      92 고영근, "19세기 전반기의 서양인의 국어 연구 자료" 3 : 27-40, 1979

      93 정길남, "19세기 성서의 우리말 연구" 1992

      94 백두현, "19세기 국어의 음운사적 고찰:모음론" 서울대 20 : 1997

      95 이현희, "19세기 국어의 문법사적 고찰"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5 : 57-81, 1994

      96 이병근, "19세기 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국어국문학회 72·73 : 1-14, 1976

      97 곽충구, "18세기 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1980

      98 전광현, "17세기 국어의 연구" 서울대 1967

      99 이경우, ""최근세국어경어법연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