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 서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근대의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논의하는 것은 최근 유의미한 연구 경향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1900년대 초반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간된 한국문학 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1854
2018
-
<다시 꽃 핀 고목> ; <조선설화> ; <거울 ; 불행의 원인> ; 근대 한국문학 번역 ; 심청 ; Le Bois sec refleuri ; Contes Coré ; ens ; Miroir ; Cause de Malheur! ;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 Simcheong
810
KCI등재
학술저널
301-332(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전 서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근대의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논의하는 것은 최근 유의미한 연구 경향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1900년대 초반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간된 한국문학 텍...
한국 고전 서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근대의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논의하는 것은 최근 유의미한 연구 경향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1900년대 초반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간된 한국문학 텍스트들을 범주화하고, 번역 및 기술의 지향을 통해 어떠한 특질이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다시 꽃 핀 고목Le Bois Sec Refleuri>(1895), <조선설화 ontes Coréens>(1925), <거울, 불행의 원인Miroir, Cause de Malheur!>(1934)으로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판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시 꽃 핀 고목>은 홍종우의 창작물에 가깝고 <조선설화>는 가린의 러시아어판 <조선설화>(1889)를 페르스키가 재번역한 것 이며 <거울, 불행의 원인>은 서영해가 엮은 설화집으로 모두 한국고전서사물을 대상으로 한 외국어 기술(記述)의 특질을 보여준다. 본고의 연구대상이 되는 세텍스트는 동일한 언어로 기술된 한국문학 텍스트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기술, 혹은 번역의 맥락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수록된 ‘심청’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구현하는 의미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will analyze the three representative frenc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in 1900s as the difference of translation signify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The objects of study include Le Bois sec refleuri, Contes Coréens and Mir...
This essay will analyze the three representative frenc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in 1900s as the difference of translation signify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The objects of study include Le Bois sec refleuri, Contes Coréens and Miroir, Cause de Malheur! In these books, Simcheong is the only narrative choosen in common. It is divided in two different levels of transformation in modern translation: content-formation and language-formation. From these elements, individual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is completed and Simcheong demonstrates their own signification with certain adaptation as well as translation itself. Therefore, these specified perspectives represents how modern subjects cognized and present this strong and unfamiliar time, modern tim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윤선, "한국설화 영역본(英譯本)의 현황과 특징 일고찰 -<견묘쟁주설화(犬猫爭珠說話)>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1) : 207-239, 2011
2 신상필, "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 Grammaire Coréenne(1881)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7) : 349-380, 2014
3 서유경, "초기 <심청전> 연구" 판소리학회 (37) : 79-106, 2014
4 불레스텍스, 프레데릭, "착한 미개인 동양의 현자" 청년사 1-335, 2007
5 미하일로프스키, "조선설화" 한국학술정보 1-262, 2006
6 권혁래, "일제 강점기 호랑이`토끼 서사의 양상과 문학교육" 온지학회 (22) : 185-210, 2009
7 최윤정, "우리 옛이야기,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 - 1920년대 『조선동화대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14, 2013
8 장정아, "외국문학텍스트로서 고소설 번역본 연구(Ⅱ) : 홍종우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와 볼테르 그리고 19세기 말 프랑스문단의 문화생태" 한국프랑스학회 95 : 83-111, 2016
9 최지지, "알렌『토끼전』 영역(英譯) 과정에서의 변개지점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회 (180) : 421-454, 2017
10 김광식, "심의린의 이력과 『조선동화대집』 발간에 대한 재검토 -1926년까지 간행된 한글 설화집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42) : 443-471, 2014
1 오윤선, "한국설화 영역본(英譯本)의 현황과 특징 일고찰 -<견묘쟁주설화(犬猫爭珠說話)>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1) : 207-239, 2011
2 신상필, "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 Grammaire Coréenne(1881)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7) : 349-380, 2014
3 서유경, "초기 <심청전> 연구" 판소리학회 (37) : 79-106, 2014
4 불레스텍스, 프레데릭, "착한 미개인 동양의 현자" 청년사 1-335, 2007
5 미하일로프스키, "조선설화" 한국학술정보 1-262, 2006
6 권혁래, "일제 강점기 호랑이`토끼 서사의 양상과 문학교육" 온지학회 (22) : 185-210, 2009
7 최윤정, "우리 옛이야기,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 - 1920년대 『조선동화대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14, 2013
8 장정아, "외국문학텍스트로서 고소설 번역본 연구(Ⅱ) : 홍종우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와 볼테르 그리고 19세기 말 프랑스문단의 문화생태" 한국프랑스학회 95 : 83-111, 2016
9 최지지, "알렌『토끼전』 영역(英譯) 과정에서의 변개지점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회 (180) : 421-454, 2017
10 김광식, "심의린의 이력과 『조선동화대집』 발간에 대한 재검토 -1926년까지 간행된 한글 설화집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42) : 443-471, 2014
11 김경희, "심의린의 동화 운동 연구 : 옛이야기 재구성을 통한 조선어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6
12 김미영, "심의린 『조선동화대집』 의 특징과 문학사적 위상" 한민족어문학회 (58) : 79-109, 2011
13 백민정, "수록 민담의 유형 분포 분석을 통한 일제 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 고찰" 한국구비문학회 (35) : 33-69, 2012
14 권혁래, "손진태 조선민담집 연구 - 설화의 성격과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63) : 27-57, 2013
15 김은영, "서양인이 읽은 조선-조불조약 체결(1886) 전 프랑스에서 생산된 출판물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99) : 201-237, 2008
16 홍종우, "번안소설 2권" 박문사 2017
17 안상훈, "백두산 설화의 전승과 연행양상 - 가린-미하일로프스키의 조선 기행문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1 : 251-284, 2015
18 이상현, "묻혀진 <심청전> 정전화의 계보 -알렌(H. N. Allen), 호소이(細井肇), 게일(J. S. Gale) <심청전> 번역본의 연대기-" 한국고소설학회 (32) : 405-456, 2011
19 전성희, "러시아에서 최초로 번역·출판된 『한국설화』의 성격과 특징" 한국민속학회 48 : 261-297, 2008
20 강재철, "러시아 N.G. 가린의 개화기 한국설화자료의 수집과 채록방법 - 조사자와 제보자 및 후원자에 주안하여" 동아시아고대학회 (18) : 237-284, 2008
21 황인순, "근대 프랑스어설화집의 기술 체계 연구-<거울, 불행의 원인>을 대상으로" 한국구비문학회 (45) : 305-338, 2017
22 최성윤, "근대 초기 서사 텍스트의 저작, 번역, 번안 개념에 관한 고찰 - 근대 초기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19-240, 2013
23 신동흔, "구술담화의 서사적 지향과 그 역사적 가치- 전설에 깃든 역사적 진실과 각성의 힘" 인문학연구원 57 : 37-62, 2014
24 장정아,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번역본과 시선의 문제 - 홍종우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109) : 167-193, 2017
25 So yong-hae, "Mirior, cause de malheur!" 새문사 1977
26 HONG-TJYONG-OU, "Le Bois Sec Refleuri"
27 Persky, Serge, "Contes Coréens"
28 성현경, "<沈淸歌>의 형성과 변모 과정" 한국고전문학회 9 : 237-263, 1994
29 전상욱, "<춘향전> 초기 번역본의 변모 양상과 의미- 내부와 외부의 시각 차이 -" 한국고소설학회 (37) : 119-147, 2014
30 최진형, "<심청전>의 전승양상 - 출판문화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9) : 181-212, 2005
31 오윤선, "19세기말~20세기초 영문(英文) 한국설화의 자료적 가치 연구" 우리문학회 (41) : 145-179, 2014
32 김준형, "19세기 말~20세기 초 야담의 전개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21) : 165-208, 2005
33 권혁래, "1920년대 민담의 동화화(童話化)와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 민족문학사학회 (39) : 90-121, 2009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7 | 1.6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