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모험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9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교육계의 관심을 크게 받지 못했던 극기 훈련, 야영, 자연권 수련활동 등을 모험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영역의 하나로 인식하면서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6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정한 16편의 국내 모험교육 관련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로 ‘표준화된 평균 차’를 산출하였다. 동질성 검정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국내 모험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35였다. 이는 중간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효과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국내 모험교육 영역의 연구들이 보고한 효과의 종류는 100여 가지가 넘어서 이들을 총 5가지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복합적, 신체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복합적 특성 영역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으로는 정의적 특성 영역이었다. 이들 영역에서의 모험교육의 효과는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국내와 국외의 모험교육을 비교하여 국내 모험교육분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교육계의 관심을 크게 받지 못했던 극기 훈련, 야영, 자연권 수련활동 등을 모험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영역의 하나로 인식하면서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교육계의 관심을 크게 받지 못했던 극기 훈련, 야영, 자연권 수련활동 등을 모험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영역의 하나로 인식하면서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6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정한 16편의 국내 모험교육 관련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로 ‘표준화된 평균 차’를 산출하였다. 동질성 검정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국내 모험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35였다. 이는 중간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효과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국내 모험교육 영역의 연구들이 보고한 효과의 종류는 100여 가지가 넘어서 이들을 총 5가지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복합적, 신체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복합적 특성 영역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으로는 정의적 특성 영역이었다. 이들 영역에서의 모험교육의 효과는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국내와 국외의 모험교육을 비교하여 국내 모험교육분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adventure education in Korea. This meta-analysis analyzed 16 studies and calculat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 effect size. As the result of homogeneity test, random-effects model was chosen. The overall effect size(d) of adventure education was positive with 0.335, which means a little lower than ‘moderate’. It was educationally significant. The studies in the area of adventure education reported over 100 kinds of effect variables. This study assorted them into cognitive, emotional, social, complex, and physical domains and calculated each effect size.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ose domains, complex domain had the biggest effect size and next was emotional domain. They were educationally significant. By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abroad adventu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develop Korean adventur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adventure education in Korea. This meta-analysis analyzed 16 studies and calculat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 effect size. As the result of homogeneity test, random-effects m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adventure education in Korea. This meta-analysis analyzed 16 studies and calculat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 effect size. As the result of homogeneity test, random-effects model was chosen. The overall effect size(d) of adventure education was positive with 0.335, which means a little lower than ‘moderate’. It was educationally significant. The studies in the area of adventure education reported over 100 kinds of effect variables. This study assorted them into cognitive, emotional, social, complex, and physical domains and calculated each effect size.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ose domains, complex domain had the biggest effect size and next was emotional domain. They were educationally significant. By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abroad adventu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develop Korean adventur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운, "청소년의 야영수련활동 경험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11

      2 이요환, "청소년의 수련활동을 통한 의식변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1995

      3 정대용, "청소년수련활동의 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해병대캠프활동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2012

      4 최건규, "청소년단체의 자연권 체험활동이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2008

      5 오경숙, "청소년 수련활동의 학교폭력 예방 및 치유 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3

      6 정부교, "중학생의 야영활동 참여와 인성발달의 관계" 한서대학교 2006

      7 이용남, "인간 특성과 교육" 학지사 2013

      8 김경미,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2013

      9 이정탁, "야영활동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01

      10 김우철, "야영수련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09

      1 조정운, "청소년의 야영수련활동 경험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11

      2 이요환, "청소년의 수련활동을 통한 의식변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1995

      3 정대용, "청소년수련활동의 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해병대캠프활동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2012

      4 최건규, "청소년단체의 자연권 체험활동이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2008

      5 오경숙, "청소년 수련활동의 학교폭력 예방 및 치유 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3

      6 정부교, "중학생의 야영활동 참여와 인성발달의 관계" 한서대학교 2006

      7 이용남, "인간 특성과 교육" 학지사 2013

      8 김경미,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2013

      9 이정탁, "야영활동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01

      10 김우철, "야영수련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09

      11 吳在寬, "야영 수련활동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1998

      12 김소희, "수련활동 체험이 청소년의 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2008

      13 이정은, "모험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2014

      14 강보영, "극기훈련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02

      15 오성식, "고등학생의 야영수련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대학교 2007

      16 노형철, "고등학교 야영활동 참여가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13 : 155-163, 2000

      17 정순승, "고등학교 야영수련활동 참여가 인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1999

      18 任龍彬, "野營修練活動이 中學校 學生들의 自我實現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1991

      19 송태욱, "心性啓發 修練活動의 效果에 關한 硏究 : 자연권 수련시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1998

      20 Duval, S. J., "Trim and fill :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56 : 455-463, 2000

      21 Sheard, Michaed., "The efficacy of an outdoor adventure education curriculum on selected asp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development" 29 (29): 187-209, 2006

      22 Hlasny, Jason G., "The effects of an outdoor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on a student's self-concept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The Graduate College University of Wisconsin-Stout 2000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4 Hedge, L. V.,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25 Cooper, Harris M.,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162-217, 1998

      26 Buchanan, David., "Outward bound goes to the inner city" 50 (50): 38-41, 1993

      27 Begg, C. B.,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rank correlation test for publication bias" 50 : 1088-1101, 1994

      28 Wolf, F. M.,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Sage 1986

      29 Shin, In-Soo.,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3 (33): 1937-1947, 2012

      30 Borenstein, Michael.,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Std 21-312, 2009

      31 Harper, Nevin J., "Future paradigm or false idol : A cautionary tale of evidence-based practice for adventure education and therapy" 33 (33): 38-55, 2010

      32 Higgins, J.,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John Wiley & Sons Ltd 2008

      33 Nassar-McMillan, Sylvia C., "Building self-esteem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adventure-based counseling" 36 (36): 59-67, 1997

      34 Gillis, H. L., "Bringing adventure into marriage and family therapy : An innovative experiential approach" 19 (19): 273-286, 1993

      35 Egger, M.,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315 (315): 629-634, 1997

      36 Gillis, H. Lee, "Are challenge(ropes)courses an effective tool? A meta-analysis" 31 (31): 111-135, 2008

      37 Lee, KoFan., "Adventure programs and diverse family styles" 36 (36): 123-138, 2013

      38 Prouty, D., "Adventure education-theory and applications" Human Kinetics 2007

      39 Hattie, John., "Adventure education and outward bound : Out-of-class experiences that make a lasting difference" 67 (67): 43-87, 1997

      40 Howell, Jack N., "Adventure boosts empowerment" 16 (16): 45-4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09 2.5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