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지훈련에서의 체력훈련 프로그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96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플라이오메트릭과 줄넘기 복합트레이닝
      • Ⅲ. 전지훈련에서의 훈련도구
      • Ⅳ. 논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플라이오메트릭과 줄넘기 복합트레이닝
      • Ⅲ. 전지훈련에서의 훈련도구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창순, "플라이오메트릭과 줄넘기의 복합훈련이 펜싱 선수의 순발력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박운찬,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효과에 관한 문헌적 연구" 3 (3): 1991

      3 안정훈,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풍출판사 1995

      4 김상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의 유용성" 13 (13): 77-82, 1995

      5 김창국, "트레이닝 방법론" 대경출판사 1997

      6 최일규, "태권도의 익숙도가 선택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6 (6): 1993

      7 조덕복, "코칭이론" 형설출판사 1981

      8 유재하, "줄넘기 운동이 행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1987

      9 김명곤,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남학생의 기초체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10 김유집, "줄넘기 운동이 청소년기 학생 체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대학원 1995

      1 박창순, "플라이오메트릭과 줄넘기의 복합훈련이 펜싱 선수의 순발력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박운찬,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효과에 관한 문헌적 연구" 3 (3): 1991

      3 안정훈,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풍출판사 1995

      4 김상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의 유용성" 13 (13): 77-82, 1995

      5 김창국, "트레이닝 방법론" 대경출판사 1997

      6 최일규, "태권도의 익숙도가 선택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6 (6): 1993

      7 조덕복, "코칭이론" 형설출판사 1981

      8 유재하, "줄넘기 운동이 행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1987

      9 김명곤,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남학생의 기초체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10 김유집, "줄넘기 운동이 청소년기 학생 체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대학원 1995

      11 백용현, "줄넘기 운동이 중학생의 행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4

      12 김병문, "줄넘기 운동이 제자리멀리뛰기, 수직높이뛰기 및 오래달리기에 미치는 효과"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9

      13 박석규, "줄넘기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대학원 1990

      14 문성훈, "줄넘기 운동이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15 김기진, "줄넘기 운동의 적정 강도 설정" 1 (1): 54-80, 1990

      16 박찬교,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17 박평순, "줄넘기 백과" 새뜻글방 1980

      18 채홍원, "운동생리학" 형설출판사 1992

      19 구본태,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연령별 체격, 체력 및 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20 김창규, "스포츠 트레이닝의 주기화" 대한미디어 2000

      21 손영범, "리듬줄넘기 운동이 중학생들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대학원 2003

      22 연세대학교 교재편집위원, "대학체육" 연세대학교 출판국 1986

      23 윤성원, "근력 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2

      24 김기영, "각근력 향상을 위한 훈련모형의 실험적 연구" 22 (22): 203-209, 1994

      25 Hedrick, A, "Training for hypertrophy" 17 (17): 22-29, 1995

      26 Doherty, K., "Track and Field omnibook" Tafnew press 212-214, 1980

      27 Wilk, K. E., "Stretch-shortening drills for the upper extremities : Theory and clinical application" 17 : 225-239, 1993

      28 Hickson, R., "Strength training effects on aerobic power and short-term endurance" 12 : 336-339, 1980

      29 Aaberg, E., "Resistance training instruction" Human Kinetics 1999

      30 정헌채, "Plyometric Training이 태권도 선수의 순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9

      31 김시석, "Plyometric Training이 중학교 축구선수 각근 파워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1997

      32 최대우, "Plyometric Training이 농구선수의 순발력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40 (40): 749-758, 2001

      33 권영환, "Plyometric Training이 고교 육상선수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1994

      34 김대기, "Plyometric Training을 통한 고교 레슬링 선수의 각근 Power 향상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7

      35 정상현, "Plyometric Training과 Weight Training이 육상선수들의 순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36 김은숙, "Plyometric Training과 Repetition Training이 무산소성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37 문성현, "Plyometric Training 방법차이가 순발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1997

      38 Fred, W., "Plyometric" 76-90, 1980

      39 Montgomery, D. L., "Physiology of ice hockey" 5 (5): 99-126, 1988

      40 Kraemer, W. J., "Muscle strength training: Techniques and considerations" 2 : 54-68, 1992

      41 Wilt, F., "International Track and Field Coaching Encyclopedia" Parker Publishing Co 1970

      42 Bloch, M. W., "Heart rate, activity, duration and affect in added-purpose versus single-purpose jumping activities" 43 (43): 25-30, 1989

      43 Poliquin, C., "Five steps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your strength training program" 10 : 34-39, 1988

      44 Petterson, U., "Effect of high impact activity on bone mass and size in adolescent females" 67 (67): 207-214, 2000

      45 Brown, M. E., "Effect of Plyometirc Training on Vertical jump performance i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 26 : 44-47, 1986

      46 Bosco, C., "Combined effect of elastic energy and myoeletrical potentiation during stretch-shortening cycle exercise" 3 : 565-577, 1982

      47 Verkhoshanski, Y., "Are Depth Jumps Useful?" 75-78, 1967

      48 Benesh, T. A., "A Comparison of Two Plyometric Training Techniques"

      49 Bonetto, M. J., "A Comparison of Plyometric Programs on Sprint Speed and Vertical Jump Heigh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7-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4 0.952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