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독립영화 2세대의 영화미학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6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독립영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특정한 활동을 하였다. 당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연대하는 한편 새로운 영화 비평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를 1970년대 독립영화 활동과 구분하기 위하여 독립영화 2세대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 시기 활동은 영화운동론과 영화미학론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자는 영화 ‘운동’으로 후자는 ‘영화’운동으로 부르면서, 이러한 운동을 주도한 사람들을 이 글에서는 편의상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으로 부르기로 한다. 하지만 이 글은 영화운동론을 거의 다루지 않을 것이며, 영화미학론을 주로 다룰 것이다.
      독립영화 2세대의 활동은 『프레임 1/24』, 『열린영화』, 『레디고』, 『민족영화』, 『영화언어』 등의 잡지와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등의 번역서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영화미학론은 15호까지 발간된 『영화언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은 서로 경쟁하거나 협력하면서 이 시기 한국영화의 개혁을 위해 활동하였다. 영화언어는 영화학과 영화비평 영역에서 작가주의, 신형식주의, 스타일 비평 등을 추구하였다. 반면 민족영화 등은 리얼리즘 비평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리얼리즘과 관습적인 영화에 대한 두 진영의 생각은 서로 달랐다.
      이러한 이 시기의 활동은, 이후 『영화언어』 리더들이 부산국제영화제 창설 활동에 집중하게 되고, 민족영화 주도 인물들 또한 활동의 변화를 보이면서, 1990년대 초반 한국영화계의 변화와 함께 막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세대 비평가들이 대중영화와 장르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비평의 축을 옮기면서 한국 영화비평계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번역하기

      한국 독립영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특정한 활동을 하였다. 당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연대하는 한편 새로운 영화 비평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를 1970년대 독립영화 활동...

      한국 독립영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특정한 활동을 하였다. 당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연대하는 한편 새로운 영화 비평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를 1970년대 독립영화 활동과 구분하기 위하여 독립영화 2세대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 시기 활동은 영화운동론과 영화미학론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자는 영화 ‘운동’으로 후자는 ‘영화’운동으로 부르면서, 이러한 운동을 주도한 사람들을 이 글에서는 편의상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으로 부르기로 한다. 하지만 이 글은 영화운동론을 거의 다루지 않을 것이며, 영화미학론을 주로 다룰 것이다.
      독립영화 2세대의 활동은 『프레임 1/24』, 『열린영화』, 『레디고』, 『민족영화』, 『영화언어』 등의 잡지와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등의 번역서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영화미학론은 15호까지 발간된 『영화언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은 서로 경쟁하거나 협력하면서 이 시기 한국영화의 개혁을 위해 활동하였다. 영화언어는 영화학과 영화비평 영역에서 작가주의, 신형식주의, 스타일 비평 등을 추구하였다. 반면 민족영화 등은 리얼리즘 비평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리얼리즘과 관습적인 영화에 대한 두 진영의 생각은 서로 달랐다.
      이러한 이 시기의 활동은, 이후 『영화언어』 리더들이 부산국제영화제 창설 활동에 집중하게 되고, 민족영화 주도 인물들 또한 활동의 변화를 보이면서, 1990년대 초반 한국영화계의 변화와 함께 막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세대 비평가들이 대중영화와 장르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비평의 축을 옮기면서 한국 영화비평계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had specific activities from the mid 1980s to the early 1990s. At the time, it was pursuing a new film criticism while being in solidarity with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called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independent movie activity in the 1970s.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film movement theory and film aesthetics. In addition, the former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e latter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ose who have led these movements are referred to as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for convenience. This article, however, will hardly deal with the theory of film motion, and will deal mainly with film aesthetics.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can be grasped through magazines such as Frame 1/24, Yeolrin Younghwa(Open Cinema), Ready Go, MinJock Younghwa(National Cinema), (A Film Quarterly of Theory & Practice, Film Language). In particular, film aesthetics should be analyzed for Younghwa Eoneo.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competed or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worked for the reform of Korean films during this period. Younghwa Eoneo pursued new formalism, Authorism and style criticism in the fields of film and film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MinJock Younghwa pursued realism criticism. But the two group’ thoughts on realism and conventional narrative and style were different.
      Since 1992, the leaders of Younghwa Eoneo have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leaders of MinJock Younghwa quit thei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ended in the mid-1990s with changes in the film industry. And as the next generation of critics shift their focus to the attention of popular films and genre films, Korean film critics are entering a new stage.
      번역하기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had specific activities from the mid 1980s to the early 1990s. At the time, it was pursuing a new film criticism while being in solidarity with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called the second generation of in...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had specific activities from the mid 1980s to the early 1990s. At the time, it was pursuing a new film criticism while being in solidarity with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called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independent movie activity in the 1970s.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film movement theory and film aesthetics. In addition, the former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e latter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ose who have led these movements are referred to as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for convenience. This article, however, will hardly deal with the theory of film motion, and will deal mainly with film aesthetics.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can be grasped through magazines such as Frame 1/24, Yeolrin Younghwa(Open Cinema), Ready Go, MinJock Younghwa(National Cinema), (A Film Quarterly of Theory & Practice, Film Language). In particular, film aesthetics should be analyzed for Younghwa Eoneo.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competed or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worked for the reform of Korean films during this period. Younghwa Eoneo pursued new formalism, Authorism and style criticism in the fields of film and film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MinJock Younghwa pursued realism criticism. But the two group’ thoughts on realism and conventional narrative and style were different.
      Since 1992, the leaders of Younghwa Eoneo have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leaders of MinJock Younghwa quit thei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ended in the mid-1990s with changes in the film industry. And as the next generation of critics shift their focus to the attention of popular films and genre films, Korean film critics are entering a new s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영화번역서, 『열린영화』와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 3. 『영화언어』와 『민족영화』
      • 4. 비평기획 - 작가정책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영화번역서, 『열린영화』와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 3. 『영화언어』와 『민족영화』
      • 4. 비평기획 - 작가정책
      • 5. 리얼리즘 비평과 신형식주의 비평
      • 6.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영, "해설 : 『영화언어』 눈물과 축제의 현장" 시각과언어 1 (1): 1997

      2 "합본호 『영화언어 1』, 『영화언어 2』"

      3 이용관, "할리우드 영화의 고전적 스타일" 한국영화학회 1990

      4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5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6 이순진, "한국영화사 연구의 현단계 - 신파, 멜로드라마, 리얼리즘 담론을 중심으로" 10 (10): 2004

      7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독립영화의 모든 것 1970-2000" 한국독립영화협회 2000

      8 조재홍,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와 독립제작의 현 주소, <파업전야>의 경제적 측면과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6) : 1990

      9 문재철, "한국 영화비평의 어떤 경향" (15) : 1995

      10 이순진, "한 편의 멜로드라마, 그 성취와 한계 -<걸어서 하늘까지>에 대한 단상" (11) : 1992

      1 김소영, "해설 : 『영화언어』 눈물과 축제의 현장" 시각과언어 1 (1): 1997

      2 "합본호 『영화언어 1』, 『영화언어 2』"

      3 이용관, "할리우드 영화의 고전적 스타일" 한국영화학회 1990

      4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5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6 이순진, "한국영화사 연구의 현단계 - 신파, 멜로드라마, 리얼리즘 담론을 중심으로" 10 (10): 2004

      7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독립영화의 모든 것 1970-2000" 한국독립영화협회 2000

      8 조재홍,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와 독립제작의 현 주소, <파업전야>의 경제적 측면과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6) : 1990

      9 문재철, "한국 영화비평의 어떤 경향" (15) : 1995

      10 이순진, "한 편의 멜로드라마, 그 성취와 한계 -<걸어서 하늘까지>에 대한 단상" (11) : 1992

      11 전양준, "작은영화는 지금" (1) : 1984

      12 이용관, "작가론과 텍스트의 대화-<안녕하세요 하나님>의 장면화 분석을 중심으로" (3) : 1989

      13 김영진, "임의적인 거리두기와 비판적인 거리두기 - <경마장 가는 길>" (11) : 1992

      14 로버트 스탬, "영화이론" K-books 2012

      15 "연간 한국영화학회지"

      16 전양준, "압운의 장면들, 그리고 롱 테이크의 미학적 모험" 한국영화학회 1989

      17 염찬희,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이론과 실천 1988

      18 이효인,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이론과 실천 1988

      19 김용태,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이론과 실천 1988

      20 이효인, "민족영화의 평가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하여(1)" (8) : 1991

      21 이효인, "민족영화 1" 친구 1989

      22 이용관, "미국의 작가주의 1" 한국영화학회 1989

      23 "무크 『한길영화 1』, 『한길영화 2』"

      24 "무크 『민족영화 1』, 『민족영화 2』"

      25 "무크 『레디고』 2집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26 "무크 『레디고』 1집"

      27 김소영, "모성의 멜로 드라마 <미워도 다시 한번>" (3) : 1989

      28 김소연, "매혹과 혼돈의 시대 : 50년대 한국영화에 대하여" 소도 2003

      29 김재호, "광주민중항쟁의 반미의식 성장의 개인주의적 굴절" 친구 (2) : 1989

      30 "계간 『영화언어』 1∼15호"

      31 "계간 『열린영화』 1∼4호"

      32 이용관, "<파업전야>, 민족민중영화의 현주소와 미래" 친구 (2) : 1990

      33 이언경, "<오! 꿈의 나라>에 대한 짧은 논평" 친구 (2) : 1989

      34 이용관, "<바보선언>에서 드러나는 대안적 측면" (2) : 1989

      35 김영진,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의 성공과 실패" (5) :

      36 이용관,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의 구조분석" (4) : 1989

      37 정성일, "80년대 한국영화⋅이데올로기⋅비평" (1) : 1989

      38 문관규, "1970년대 실험영화집단 카이두 클럽과 한옥희 감독 연구" 현대영화연구소 7 (7): 141-172, 2011

      39 이선주, "1950, 60년대 한국영화의 리얼리즘 비평사 연구" 대중서사학회 (16) : 195-223, 2006

      40 김소연,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이행기적 성찰성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