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는 앞으로 더 많은 신종 바이러스의 형태로 발발하며 유행병으로 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되는 이런 바이러스부터 우리를 지키는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20088
2020
-
코로나19 ; 생명윤리 ; 연구윤리 ; 탈정상과학 ; 위험사회 ; 중국 ; covid-19 ; bioethics ; research ethics ; post normal science ; risk society ; china
KCI등재
학술저널
301-324(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는 앞으로 더 많은 신종 바이러스의 형태로 발발하며 유행병으로 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되는 이런 바이러스부터 우리를 지키는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는 앞으로 더 많은 신종 바이러스의 형태로 발발하며 유행병으로 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되는 이런 바이러스부터 우리를 지키는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며 이런 차원에서 적절한 연구윤리와 생명윤리가 요청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사태에 대해 과연 어떻게 중국이 대응했으며, 적절하게 대응했는지 교훈과 성찰을 살피고자 하였다. 특별히 탈정상과학의 시대, 위험사회란 맥락 속에서 중국의 사례를 천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더욱 요구되는 연구 진실성과 투명한 데이터의 확보에 실패하였으며, 신종 감염병의 특성에 맞는 생명·연구윤리의 실행에서 선제적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했음을 살펴보았다. 헌신적인 의료인들의 돌봄 및 덕의 윤리가 있었지만 전체주의적 생명정치적 상황에서 과학자들의 사회적 책임감이 잘 발현되지 않았으며, 민주적 대응을 억압하는 관료적·과학기술적 대응의 문제와 함께 이해갈등의 해결 및 바람직한 내부고발과 언론· 미디어의 역할 제고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ruses such as Covid-19 may break out in the form of more new viruses in the future and outbreak as a pandem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systematically to protect us from these viruses tha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nd appropriate re...
Viruses such as Covid-19 may break out in the form of more new viruses in the future and outbreak as a pandem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systematically to protect us from these viruses tha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nd appropriate research ethics and bioethics are required at this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lessons and reflections on how China responded to the Covid-19 incident and how appropriate that response was. In particular, in the era of post normal science, in the risk society, it has failed to secure more required research truthfulness and transparent data amidst scientific uncertainty. Although there was an ethic of care and virtue of dedicated medical personnel,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was not well expressed in a totalitarian bio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of bureaucratic and scientific technological responses that suppressed democratic responses. And I suggested the need for resolu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desirable whistleblowing, and the role of the media.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정원, "중국 정부, 배아 유전자편집 논란 허젠쿠이에 자금 지원했나"
2 유상철, "중국 교수 “코로나, 우한 시장 인근 실험실서 유출"
3 베이트슨, "죽을 때까지 삶에서 놓지 말아야 할 것들" 청림출판 2013
4 장지연, "조직간 의사소통과 지식상호보완성이 정보시스템 감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주감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5
5 에릭 에릭슨,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2014
6 울리히 벡, "위험에 처한 세계: 비판이론의 새로운 과제" 한국이론사회학회 (12) : 7-36, 2008
7 공병혜, "생명윤리" 현문사 2017
8 김기흥,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백서를 통해 재구성된 구제역과 과학기술정치"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133-171, 2015
9 김은성,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91-109, 2015
10 실라 제서노프, "누가 자연을 설계하는가"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9
1 허정원, "중국 정부, 배아 유전자편집 논란 허젠쿠이에 자금 지원했나"
2 유상철, "중국 교수 “코로나, 우한 시장 인근 실험실서 유출"
3 베이트슨, "죽을 때까지 삶에서 놓지 말아야 할 것들" 청림출판 2013
4 장지연, "조직간 의사소통과 지식상호보완성이 정보시스템 감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주감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5
5 에릭 에릭슨,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2014
6 울리히 벡, "위험에 처한 세계: 비판이론의 새로운 과제" 한국이론사회학회 (12) : 7-36, 2008
7 공병혜, "생명윤리" 현문사 2017
8 김기흥,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백서를 통해 재구성된 구제역과 과학기술정치"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133-171, 2015
9 김은성,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91-109, 2015
10 실라 제서노프, "누가 자연을 설계하는가"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9
11 김기흥,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 불확실성의 다중성" 한국환경사회학회 20 (20): 317-351, 2016
12 송동근,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0 (20): 61-90, 2016
13 Cauchemez, S., "Transmission scenarios fo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MERS-CoV) and how to tell them apart" 18 (18): 16-18, 2014
14 De Vries, G., "The taming uncertainty: The WRR approach to risk governance" 14 (14): 485-499, 2011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A safer future: globoal public health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16 Jasanoff, S., "Technologies of Humility: Citizen Participation in Governing Science" 41 : 223-244, 2003
17 Anthony, M. C., "SARS in Asia: Crisis, Vulnerabilities, and Regional Responses" 45 (45): 475-495, 2005
18 Beck, U.,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Sage 1992
19 Perrow, C., "Normal accidents: Living with high-risk technologies" Basic Books 1984
20 Omrani, A.,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MERS-CoV): What lessons can we learn?" 91 (91): 188-196, 2015
21 Sturdy, S., "Medicine, Health and the Public Sphere in Britain, 1600-2000" Routlege 2013
22 MacKenzie, D., "Inventing Accuracy: a Historical Sociology of Nuclear Missile Guidance" MIT Press 1990
23 BBC news, "He Jiankui defends ‘world’s first gent-edited babies’ Vol. 28"
24 Fidler, D. P.,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hallenges for international, national and state law" 31 (31): 1-33, 1997
도덕과 교육의 시민성 학습생태계 - 학교민주시민교육법(안)에 대한 도덕과공동체의 비판적 의견을 기초로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 교과서 분석 - 공자·맹자·순자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6 | 1.6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