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비속어(卑俗語)는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이란 의미로 쓰인다. ‘비속어’는 ‘저속하다’ 즉 ‘품위가 낮고 속되다’란 속성이 있지만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말을 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3666
2015
Korean
비속어 ; 비어 ; 속어 ; 욕설 ; 용인성 ; coarse language ; slang words ; vulgar words ; swearing ; acceptability
KCI등재
학술저널
59-80(22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비속어(卑俗語)는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이란 의미로 쓰인다. ‘비속어’는 ‘저속하다’ 즉 ‘품위가 낮고 속되다’란 속성이 있지만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말을 의...
일반적으로 비속어(卑俗語)는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이란 의미로 쓰인다. ‘비속어’는 ‘저속하다’ 즉 ‘품위가 낮고 속되다’란 속성이 있지만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말을 의미한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어도 비속어는 공식적인 자리 또는 격식을 갖추어야 할 자리에서는 쓰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비속어 관련 연구 중에는 비속어를 욕설과 같은 부류로 보아, 쓰지 말아야 할 대상으로 처리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비어와 속어는 욕설과는 다른 특징이 있으며 그 의미에서도 차이가 있다. 비속어는 비어와 속어를 아우르는 개념인데, 비어(卑語)는 ‘대상을 낮추거나 낮잡거나 얕보는 말’로 평어(平語)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속어(俗語)는 ‘통속적으로 쓰는 속된 말’의 의미로 보통어(普通語)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욕설(辱說)은 ‘남을 모욕하거나 저주하는 말’이나 ‘화가 났을 때 혼자 감탄조로 하는 말’로 비속성이 있기는 하나 비속어와는 달리, 대응하는 보통어나 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비속어는 사용을 금지해야 할 말로 처리되는 경우가 있으나 그 금지 대상은 실상 욕설이며 비속어, 특히 속어는 생생한 느낌을 주는 말로 단어에 따라 그 용인성에 차이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slang and vulgar words in Korean. In general, coarse or colloquial language refers to popularly used lowbrow words. Although colloquial language is commonly known, it is hard to use in an of...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slang and vulgar words in Korean. In general, coarse or colloquial language refers to popularly used lowbrow words. Although colloquial language is commonly known, it is hard to use in an official meeting or formal affair. Some studies treat slang, vulgar words, and swearing without discrimination. However, slang and vulgar words ha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at differ from swearing.
Vulgar words mean, “look down on others or belittle opponent.” Their relative concept is normal words. Slang words mean, “lowbrow words that are popularly used.” Their relative concept is ordinary words. Swearing means, “to insult or curse others.” Unlike slang and vulgar words, swearing has no relative concept. In some cases, colloquial language is treated as a taboo, but the real taboo is swearing. Sometimes, vividly expressive slang words are considered acceptable and acceptability differs according to each slang wor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신항, "현대국어 어휘 사용의 양상" 태학사 1991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2002
3 양명희,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욕설 사용 실태와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회 (111) : 57-87, 2011
4 김정선, "청소년의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와 공격적 언어 표현 사용 실태 조사" 한국어교육학회 (140) : 153-181, 2013
5 강희숙,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한국언어문학회 (79) : 255-282, 2011
6 김태경, "청소년의 비속어․욕설․은어․유행어 사용 실태와 언어 의식 연구" 국제어문학회 (54) : 43-93, 2012
7 이윤지,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현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박예진,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와 의식 연구" 연세대 2015
9 장경희,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 강신항, "현대국어 어휘 사용의 양상" 태학사 1991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2002
3 양명희,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욕설 사용 실태와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회 (111) : 57-87, 2011
4 김정선, "청소년의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와 공격적 언어 표현 사용 실태 조사" 한국어교육학회 (140) : 153-181, 2013
5 강희숙,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한국언어문학회 (79) : 255-282, 2011
6 김태경, "청소년의 비속어․욕설․은어․유행어 사용 실태와 언어 의식 연구" 국제어문학회 (54) : 43-93, 2012
7 이윤지,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현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박예진,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와 의식 연구" 연세대 2015
9 장경희,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0 고은영, "청소년 비·속어 특징과 순화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辛基相, "우리말 辱說 硏究" 한국국어교육연구회 (79) : 15-46, 1992
12 김상윤,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한국화법학회 (4) : 271-290, 2002
13 박갑수, "비속어 판치는 방송언어" 월간 한국논단 (66) : 218-225, 1995
14 전은진, "문자 언어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 실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3) : 371-406, 2011
15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16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2008
17 장경희, "국어 욕설의 본질과 유형"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401-427, 2010
18 김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19 심재기, "국어 어휘론 개설" 지식과 교양 2011
20 김동언, "국어 비속어의 개념과 특징"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229-244, 1998
21 김동언, "국어 비속어 사전" 프리미엄북스 1999
22 조남호, "국어 대우법의 어휘론적 이해" 국어학회 (47) : 377-405, 2006
23 허재영, "경멸적 평가어로서의 비속어 형성 과정과 요인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111-134, 2011
24 黃浿江, "卑俗語․隱語 流行과 그 社會深層的 意義" 語文敎育硏究會 4 (4): 203-208, 197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