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9차년(2016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464명과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75137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1-274(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9차년(2016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464명과 그...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9차년(2016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464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및 아동의 학교적응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및 아동의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중 분위기제공 및 친구관계에서 성적중시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중 친구관계에서 성적중시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추후 연구를 통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탐색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ninth child study panel data 1464 7-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ninth child study panel data 1464 7-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her'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x of the child. The girls were higher than the boy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 '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mother's academic concer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mother’s concern in providing an atmosphere and friendship affects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ll of the mother's academic concern, except for friendship,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would require a structural search betwee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성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1 (41): 45-64, 2010
2 현주,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9
4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5 최지영, "취학 전 교육기관 유형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초기 적응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65-286, 2012
6 백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27, 2006
7 설경옥,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1-58, 2013
8 지성애,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15, 2006
9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가정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91-102, 2009
10 윤정순,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기대가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131-155, 2017
1 고성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1 (41): 45-64, 2010
2 현주,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9
4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5 최지영, "취학 전 교육기관 유형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초기 적응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65-286, 2012
6 백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27, 2006
7 설경옥,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1-58, 2013
8 지성애,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15, 2006
9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가정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91-102, 2009
10 윤정순,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기대가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131-155, 2017
11 최혜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5-30, 2017
12 박윤조,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8 (18): 27-51, 2018
13 임성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143-157, 2010
14 민미희,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101-126, 2018
15 김갑순,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27-44, 2016
16 장세라,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유아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17 남민숙,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8 박은영,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7, 2011
19 서미선,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경기 북부 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20 차유림,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1 박혜진,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0 (20): 137-160, 2018
22 장원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79-398, 2018
23 이미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24 임선아,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존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125-142, 2013
25 박준성,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719-738, 2015
26 윤홍주,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43-163, 2017
27 황성동,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23-145, 2010
28 이지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9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0 최은정, "가족상호작용, 부모-자녀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1-21, 2019
31 임현주, "가족 상호작용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심리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69-291, 2017
32 김수정,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인 간 관련성에서 차이: 양육효능감, 자아개념 그리고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85-105, 2012
33 "http://nces.ed.gov/ecls/kindergarten.asp"
34 Kim, J., "The effects of mother's style of interaction on children's engagement" 24 (24): 31-38, 2004
35 Gotts, E., "Long-tern effects of a home-oriented preschool program" 56 : 228-234, 1980
36 Fehrmann, P. G., "Home influence on school learn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high school grads" 80 (80): 330-337, 1987
37 L´opez, E. J.,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exican and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39 (39): 245-257, 2002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시장놀이를 중심으로
비도심지역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적 상상력 기반 수업의 의미 탐색: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중심으로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