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굿과 연극치료의 연계 가능성 연구 = Research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Korean Gut and the Drama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2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연극치료는 유럽과 구미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그들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연극치료 역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연극치료 임상을 하다보면 특정 지역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커다란 장점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를테면 한국인을 위한 한국 고유의 정서를 기반으로 연극치료를 행할 때 참여자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연극성과 치료성을 갖추고 있는 한국 전통의 굿을 통해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 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한국인을 위한 연극치료에서 굿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굿은 한국 전통연극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굿놀이, 풍물굿, 두레굿, 연희굿, 걸립굿, 마을굿과 같은 굿의 명칭에는 놀이, 연희, 축제, 굿이 한데 어울린 흔적이 발견된다. 둘째, 굿의 기본 정신이 치료에 있다는 점이다. 한국인들은 굿을 통해 심신의 위안을 얻고 치료를 받았으며, 공동체의 단결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첫째, 한국의 굿을 개괄하고 굿의 근본적인 목적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굿이 행해지는 절차 및 형식과 내용이 어떤 점에서 연극 및 연극치료와 연계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여기에서 다룰 요소는 배우, 관객, 공간, 플롯의 차원이 될 것이다. 이처럼 굿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인에게 유용한 연극치료의 방법과 모델을 확장하고 연극치료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굿이 지니고 있는 연극성과 치료성에 주목하면서 한국인에게 적합한 연극치료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머물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 연구가 좀 더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굿 유형의 연극치료를 임상적으로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굿과 연극치료는 그 성격상 연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하며,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의 지평을 넓히는 첫걸음으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연극치료는 유럽과 구미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그들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연극치료 역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연극치료 임상을 ...

      현재 연극치료는 유럽과 구미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그들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연극치료 역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연극치료 임상을 하다보면 특정 지역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커다란 장점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를테면 한국인을 위한 한국 고유의 정서를 기반으로 연극치료를 행할 때 참여자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연극성과 치료성을 갖추고 있는 한국 전통의 굿을 통해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 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한국인을 위한 연극치료에서 굿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굿은 한국 전통연극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굿놀이, 풍물굿, 두레굿, 연희굿, 걸립굿, 마을굿과 같은 굿의 명칭에는 놀이, 연희, 축제, 굿이 한데 어울린 흔적이 발견된다. 둘째, 굿의 기본 정신이 치료에 있다는 점이다. 한국인들은 굿을 통해 심신의 위안을 얻고 치료를 받았으며, 공동체의 단결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첫째, 한국의 굿을 개괄하고 굿의 근본적인 목적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굿이 행해지는 절차 및 형식과 내용이 어떤 점에서 연극 및 연극치료와 연계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여기에서 다룰 요소는 배우, 관객, 공간, 플롯의 차원이 될 것이다. 이처럼 굿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인에게 유용한 연극치료의 방법과 모델을 확장하고 연극치료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굿이 지니고 있는 연극성과 치료성에 주목하면서 한국인에게 적합한 연극치료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머물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 연구가 좀 더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굿 유형의 연극치료를 임상적으로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굿과 연극치료는 그 성격상 연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하며, 한국인 참여자를 위한 연극치료의 지평을 넓히는 첫걸음으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rama therapy including theatre and psychotherapy is gradually becoming the object of attention. The drama therapy is actively studi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it is true that the main theories and models were there created. However, the dramatherapy was recently payed attention also in Korea and it is natural to find new dramatherapy models appropriated to Korean culture and emotio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new dramatherapy model through the korean Gut which contains both theatrical nature and therapeutic nature. Why the Korean Gut? Because the Korean Gut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In the names of Gut such as Gut play, Pungmul Gut, Maeul Gut, the trace of play, drama and festival remains. In Gut, there are theatrical methods and procedures like role play. The Koreans h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promoting the unity of community and also to gain the peace of mind and body. Therefore, studying the Korean dramatherapy, it`s natural that we are interested in Gut.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dramatherapy copies the forms and contents of Gut as it is. We pursue the theatrical style and the function of treatment appeared in Gut. For that, we firstly summarize the Korean Gut and discover the purpose of Gut. Then, we explore the connectivity between Korean Gut and dramatherapy depending on the forms and procedures of Gut and on the actor, public, space and plot of the drama. Nevertheless,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a first step to develop a Korean customized model of dramatherapy. For developing more valuable model, it needs to apply this model to clinical cases for Korean participants.
      번역하기

      The drama therapy including theatre and psychotherapy is gradually becoming the object of attention. The drama therapy is actively studi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it is true that the main theories and models were there created. However, the d...

      The drama therapy including theatre and psychotherapy is gradually becoming the object of attention. The drama therapy is actively studi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it is true that the main theories and models were there created. However, the dramatherapy was recently payed attention also in Korea and it is natural to find new dramatherapy models appropriated to Korean culture and emotio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new dramatherapy model through the korean Gut which contains both theatrical nature and therapeutic nature. Why the Korean Gut? Because the Korean Gut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In the names of Gut such as Gut play, Pungmul Gut, Maeul Gut, the trace of play, drama and festival remains. In Gut, there are theatrical methods and procedures like role play. The Koreans h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promoting the unity of community and also to gain the peace of mind and body. Therefore, studying the Korean dramatherapy, it`s natural that we are interested in Gut.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dramatherapy copies the forms and contents of Gut as it is. We pursue the theatrical style and the function of treatment appeared in Gut. For that, we firstly summarize the Korean Gut and discover the purpose of Gut. Then, we explore the connectivity between Korean Gut and dramatherapy depending on the forms and procedures of Gut and on the actor, public, space and plot of the drama. Nevertheless,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a first step to develop a Korean customized model of dramatherapy. For developing more valuable model, it needs to apply this model to clinical cases for Korean participa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엽,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21) : 179-209, 2010

      2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문음사 1981

      3 하효길, "한국의 굿" 민속원 2003

      4 양승종, "한국민속의 탐구" 2000

      5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극"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6 이미원, "한국 탈놀이 연구" 연극과인간 2011

      7 최경성, "한국 제의연극의 특성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3

      8 서연호, "한국 전승 연희의 원리와 방법" 집문당 1997

      9 韓明姬, "한국 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적 성격 연구 : 심리극과 사령굿의 비교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4

      10 김재석, "하회탈춤 대상의 기능과 구현 원리" 8 (8): 1999

      1 이경엽,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21) : 179-209, 2010

      2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문음사 1981

      3 하효길, "한국의 굿" 민속원 2003

      4 양승종, "한국민속의 탐구" 2000

      5 이두현, "한국무속과 연극"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6 이미원, "한국 탈놀이 연구" 연극과인간 2011

      7 최경성, "한국 제의연극의 특성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3

      8 서연호, "한국 전승 연희의 원리와 방법" 집문당 1997

      9 韓明姬, "한국 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적 성격 연구 : 심리극과 사령굿의 비교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4

      10 김재석, "하회탈춤 대상의 기능과 구현 원리" 8 (8): 1999

      11 임재해, "하회탈놀이의 제의성과 예술성, 그리고 민중적 창조력" 2 : 2003

      12 McNiff, S, "통합예술치료" 이담북스 2014

      13 채희완, "탈춤의 사상" 현암사 1984

      14 나경수, "진도씻김굿의 연구 – 제의적 구조" 18 : 1988

      15 유영대, "진도 씻김굿의 절차와 기능" 37 : 1998

      16 강혜련, "진도 씻김굿의 공연학적 재해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 (6): 1-8, 2012

      17 홍태한, "재가집의 관점에서 바라본 오구굿의 의미" 9 : 2001

      18 이선형,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3 : 2013

      19 Jennings, Sue, "연극치료 핸드북" 울력 2010

      20 Sheimer, B. de Rossi, "아리스토텔레스를 통해서 본 아시아 연극" 3 : 1970

      21 신현숙, "아르토의 잔혹극과 굿의 비교연구(Ⅰ)" 16 : 2001

      22 오수성, "씻김굿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1 (1): 1998

      23 홍태한, "서울 진오기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소 (27) : 105-133, 2007

      24 홍태한, "서울 오구굿의 계통" 31 : 1999

      25 백기완, "민족과 굿" 학민사 1987

      26 홍태한, "무당굿의 축제 가능성과 방향 모색"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309-338, 2010

      27 Jones, P, "드라마와 치료" 울력 2005

      28 강정식, "동해안 별신굿의 공연공간에 대한 연구 : 거리굿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9 이선형, "놀이로서의 연극—<고도를 기다리며>의 경우—" 한국드라마학회 (43) : 143-169, 2014

      30 黃縷詩, "굿의 演劇性 : 서울지역 진오기굿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78

      31 박미리, "감정모델 연극치료" 학지사 2013

      32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무속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연극학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82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