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리원전 『命理正宗』에 함축된 病藥사상 고찰 = Study on the Byeongyak(病藥) Principle(Illness and Medication Thought) Implied in 『Myeongrijeongjong (命理正宗)』 as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Myeongl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Jangnam(張楠)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japyeongmyeongli, from an analy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tried to correct and improve the theory. As part of his efforts, Jangnam, in his book, 『Myeong...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Jangnam(張楠)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japyeongmyeongli, from an analy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tried to correct and improve the theory. As part of his efforts, Jangnam, in his book, 『Myeongrijeongjong (命理正宗)』, presented byeongyak(病藥)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in full extent. Although the byeongyak principle has been already employed in many other literature including 『Yeonhaejapyeong (淵海子平)』, 『Myeongrijeongjong 』 was the first literature to name it as byeongyak principle and organize its ideas.
      The byeongyak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bases on the phrases of 『Oeondokbo (五言獨步)』 that “It is nothing special that one never gets sick and becomes valuable only in the face of an illness. If an illness is removed in the constitution of Sajupalja, wealth and happiness are accompanied together(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 In addition, four illnesses(彫枯旺弱) potentially occurring in the original constitution of palja were listed and explained along with four medications(損益生長) of them.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contradicts to the existing balancing theory of japyeongmyeongli because sajumyeongli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what the balancing was.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too, seeks balancing but the focus is not on balancing the entire saju based on the thing or ten celestial stems of birthday, the main part of sajupalja; but its focus was on the utilized gods by the ten celestial stems. For this reason, if the utilized gods got si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ocus and secondary focus were reversed in trying to treat the illness. It is deem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 gap in the theoretic frame and viewpoints between the classical japyeongmyeongli and contemporary japyeongmyeongl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明代 말, 張楠은 기존 子平命理 이론의 오류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지적하면서 수정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일환으로 장남은 자신의 저술 『命理正宗』에서 病藥法을 본격적으로 ...

      明代 말, 張楠은 기존 子平命理 이론의 오류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지적하면서 수정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일환으로 장남은 자신의 저술 『命理正宗』에서 病藥法을 본격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淵海子平』 과 다른 문헌들에서도 이미 병약법을 취하고 있었지만 이를 ‘病藥說’이라고 이름붙이고 그 개념을 체계화한 것은 『명리정종』이 처음이다.
      병약설은 “病이 있어야 비로소 귀하고, 傷함이 없으면 뛰어나지 않은 것이다. 格 중에서 병을 제거하면 재물과 복록이 기쁘게 서로 따른다(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라는 「五言獨步」의 구절에 그 근거를 두었다. 또한 팔자 원국에서 출현할 수 있는 4가지 병[彫枯旺弱]과 이를 치료하는 4가지 약[損益 生長]도 열거하며 설명하였다.
      장남의 병약설이 기존 자평명리의 中和論과 상반되는 원인은 사주명리의 中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즉 장남의 병약설도 중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중화의 초점이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日干, 혹은 體를 중심으로 한 사주 전체의 중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간이 사용하는 用神에 맞춰져 있어 용신이 병들면이를 치료하고자 하는데 있어 主客이 전도되었다. 이는 고전 자평명리학과 현대 자평명리학의 이론적 틀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묵, "한대 수술학 연구 : 한대인의 천·지·인 이해와 그 활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만태, "조선조 命課學 試取書 『徐子平』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8) : 266-293, 2012

      3 김만태, "조선 전기 이전 四柱命理의 유입 과정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159-187, 2010

      4 김만태, "십이지(十二支)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충(衝)·형(刑)에 관한 근원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134-164, 2013

      5 張楠, "神峰通考命理正宗" 上海印書館 1981

      6 "玉照神應眞經"

      7 張楠, "標點命理正宗" 武陵出版有限公司 2001

      8 徐樂吾, "子平粹言" 武陵出版有限公司 1998

      9 張新智, "子平學之理論硏究" 國立政治大學 中國文學硏究所 2002

      10 이석영, "四柱捷徑 권6"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

      1 최진묵, "한대 수술학 연구 : 한대인의 천·지·인 이해와 그 활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 김만태, "조선조 命課學 試取書 『徐子平』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8) : 266-293, 2012

      3 김만태, "조선 전기 이전 四柱命理의 유입 과정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159-187, 2010

      4 김만태, "십이지(十二支)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충(衝)·형(刑)에 관한 근원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134-164, 2013

      5 張楠, "神峰通考命理正宗" 上海印書館 1981

      6 "玉照神應眞經"

      7 張楠, "標點命理正宗" 武陵出版有限公司 2001

      8 徐樂吾, "子平粹言" 武陵出版有限公司 1998

      9 張新智, "子平學之理論硏究" 國立政治大學 中國文學硏究所 2002

      10 이석영, "四柱捷徑 권6" 한국역학교육학원 1994

      11 陳素庵, "命理約言" 上海印書館 1987

      12 鄒文耀, "命學尋眞" 集文書局 1982

      13 "古今圖書集成 博物彙編"

      14 袁樹珊, "中國歷代卜人傳" 新文豊出版公司 1998

      15 陸致極, "中國命理學史論" 上海人民出版社 2008

      16 "三命通會 明通賦"

      17 萬民英, "三命通會" 武陵出版有限公司 1996

      18 김만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사주명리의 반체제적 성향" 민족문화연구원 (72) : 175-201, 2016

      19 송지성, "『명리정종』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