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44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그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그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으로 C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545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자료는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 빈도 및 스트레스 강도,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한국어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자루스 외(Lazarus et al., 1984)의 스트레스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차별경험, 스트레스,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모형의 적합도는 χ²(df)=236.403(76), CFI=.945, RMSEA=.077이었고, 통계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둘째, 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차별경험 빈도가 스트레스 강도를 경유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차별을 빈번하게 경험할수록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우리사회에서의 이주민에 대한 차별 감소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 and various self-reported health indicators. The participants included 545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sponded to a sel...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 and various self-reported health indicators. The participants included 545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sponded to a self-questionnaire that was handed out to them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y attended in the C area. We designed this causal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eel they experience and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ices were found to be χ²(df)=236.403(76), CFI=.945, RMSEA=.077. These were statistically acceptable levels. In addi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produces significantly heightened stress and negative effect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ong immigrant women. Therefore, discrimination may constitute a risk factor for the health of immigrant women and could be the fact that explains health inequalities among immigrant populations in Korean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find ways to reduce discrimination within Korean society as it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rapid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고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인서, "한국의 차별경험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26-57, 2015

      2 김용석, "한국어판 정신건강 선별도구(K10·K6)의 타당화 연구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 65-88, 2011

      3 권복순,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5-32, 2009

      4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구소 20 (20): 5-34, 2006

      5 박수미,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4

      6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5) : 51-80, 2010

      7 서한나, "아시아권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수준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민족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8 리사 F. 버크먼, "사회역학" 한울아카데미 2003

      9 강혜자, "사회비교, 자의식, 자아존중감, 주관안녕 및 신체증상 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소 34 (34): 1-21, 2010

      10 류준범, "분노의 다차원적 특성과 신체 건강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1 손인서, "한국의 차별경험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26-57, 2015

      2 김용석, "한국어판 정신건강 선별도구(K10·K6)의 타당화 연구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 65-88, 2011

      3 권복순,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5-32, 2009

      4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구소 20 (20): 5-34, 2006

      5 박수미,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4

      6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5) : 51-80, 2010

      7 서한나, "아시아권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수준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민족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8 리사 F. 버크먼, "사회역학" 한울아카데미 2003

      9 강혜자, "사회비교, 자의식, 자아존중감, 주관안녕 및 신체증상 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소 34 (34): 1-21, 2010

      10 류준범, "분노의 다차원적 특성과 신체 건강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11 조영아,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19, 2011

      12 한국염,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성 재구성을 위한 과제" 국회도서관보 2007

      13 박지선,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결혼생활 커미트먼트와 배우자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1) : 168-189, 2015

      14 박지선,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학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722-731, 2014

      15 김귀분, "노인의 사회적 요인(노인차별경험, 가족지지) 및 심리 정서적 요인(고독, 무력감)과 죽음불안 관계" 성인간호학회 26 (26): 584-591, 2014

      16 노지혜,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5

      17 박정현, "글로벌 5개국 20대의 가치관 비교" LG비즈니스 인사이트 28-38, 2015

      18 권구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187-219, 2007

      19 이현승,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0 조인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문화변용과 적응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177-206, 2012

      21 민무숙,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5-43, 2013

      22 김유균,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1-452, 2015

      2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02/0200000000AKR20150702139400004.HTML?in put=1179m"

      24 "http://www.sisabreak.com/news/articleView.html ?idxno=29833"

      25 G. D. Zimet,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52 (52): 30-41, 1988

      26 A. A. Agudelo-Suárez,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the health of immigrant workers in Spain" 11 (11): 652-, 2011

      27 M. K. Pee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79 (79): 301-309, 2000

      28 R. S. Lazaru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9 R. C. Kessler,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959-976, 2002

      30 D. R. Williams, "Racial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status, stress and discrimination" 2 (2): 335-351, 1997

      31 S. S. Kim,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7 (7): e30501-, 2012

      32 E. A. Pascoe,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 a meta-analytic review" 135 (135): 531-, 2009

      33 김혜미,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17-149, 2011

      34 N. Krieger, "Embodying inequality : a review of concepts, measures, and methods for studying health consequences of discrimination" 29 (29): 295-352, 1999

      35 D. R. Williams, "Discrimination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 evidence and needed research" 32 (32): 20-47, 2009

      36 山本嘉日郞, "Amosによる共分散構造分析と解析事例" ナカニシヤ出版 1999

      37 전기택,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