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거란 관계사에 등장하는 거란제국의 인물 검토 = A Study of the Figures of Khitan Empire Appearing in the History of Goryeo-Khitan Re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5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국에서 출토된 묘지명 자료들을 기반으로 거란제국의 인물들 중 고려와 관련된 기록이 묘지명에 남아 있는 세 건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거란제국 및 고려 초기의 역사 연구를 ...

      이 논문은 중국에서 출토된 묘지명 자료들을 기반으로 거란제국의 인물들 중 고려와 관련된 기록이 묘지명에 남아 있는 세 건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거란제국 및 고려 초기의 역사 연구를 위한 사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시기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묘지명이다. 묘지명은 正史에 매우 압축적으로만 기록된 인물의 행적을 더욱 자세히 복원할 수 있게 하고, 심지어 정사에서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들의 행적과 그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묘지명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고려-거란 관계사 방면에서 다룰 수 있는 인물들의 묘지명을 선별하여 검토한 것이다.
      거란의 고려에 대한 1차 침입에서 활약했던 야율원녕은 거란과 고려의 접경지대라고 할 수 있는 요동에서 이미 정치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야율원녕의 가문이 요동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고, 고려에 대한 침입 역시 거란의 요동 지역에서의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고려왕의 생신을 축하하기 위해 고려에 파견된 적이 있었던 한춘과 맹초는 외교 혹은 학문 분야에서 이미 두각을 드러냈던 인물이었고, 거란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관료가 고려에 하생신사로 파견되었다는 것은 거란이 고려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서 노력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3명의 행적은 고려-거란 관계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앞으로도 더욱 많은 사례들이 발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석,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0) : 1-42, 2016

      2 이미지, "태평한 변방-고려의 對거란 외교와 그 소산" 경인문화사 2018

      3 허인욱, "유목사회의 특성과 고려-거란 전쟁" 한국중세사학회 (60) : 49-79, 2020

      4 윤영인, "고려전기 대거란관계와 북방문화의 영향" 동양문화연구원 19 : 129-150, 2014

      5 육정임, "고려·거란 ‘30년 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동북아역사재단 (34) : 11-52, 2011

      6 정동훈, "고려-거란 관계에서 세 층위의 소통 구조" 한국역사연구회 (107) : 37-78, 2018

      7 "高麗史"

      8 허인욱, "高麗·契丹의 압록강 지역 영토분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9 湯開建, "韓橁出使敦煌年代考" (4) : 1983

      10 "金史" 中華書局 2020

      1 최종석,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0) : 1-42, 2016

      2 이미지, "태평한 변방-고려의 對거란 외교와 그 소산" 경인문화사 2018

      3 허인욱, "유목사회의 특성과 고려-거란 전쟁" 한국중세사학회 (60) : 49-79, 2020

      4 윤영인, "고려전기 대거란관계와 북방문화의 영향" 동양문화연구원 19 : 129-150, 2014

      5 육정임, "고려·거란 ‘30년 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동북아역사재단 (34) : 11-52, 2011

      6 정동훈, "고려-거란 관계에서 세 층위의 소통 구조" 한국역사연구회 (107) : 37-78, 2018

      7 "高麗史"

      8 허인욱, "高麗·契丹의 압록강 지역 영토분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9 湯開建, "韓橁出使敦煌年代考" (4) : 1983

      10 "金史" 中華書局 2020

      11 楊亦武, "遼金歷史與考古 11" 科學出版社 2020

      12 "遼史" 中華書局 2017

      13 馮 璐, "遼代韓橁墓誌相關問題考釋" (10) : 2018

      14 向 南, "遼代石刻文續編" 遼寧人民出版社 2010

      15 向 南, "遼代石刻文編" 河北敎育出版社 1995

      16 劉鳳翥, "遼上京地區出土的遼代碑刻彙輯"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9

      17 劉浦江, "遼 ≪耶律元寧墓志銘≫考釋" (1) : 2006

      18 都興智, "試論耶律羽之家族與東丹國" (6) : 2008

      19 "續資治通鑑長編" 中華書局 1995

      20 高井康典行, "渤海と藩鎮-遼代地方統治の硏究" 汲古書院 2016

      21 유빛나, "契丹과 高麗의 사절 왕래 - 東京使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70) : 215-250, 2019

      22 "契丹國志(中國史學基本典籍叢刊本)" 中華書局 2014

      23 內蒙古·政協巴林左旗委員會, "大遼韓知古家族" 內蒙古人民出版社 2002

      24 北京市文物局, "北京遼金史迹圖志" 北京燕山出版社 2003

      25 盖之庸, "內蒙古遼代石刻文硏究" 內蒙古大學出版社 2002

      26 唐玉萍, "≪耶律元寧墓志≫補正" (4) : 2005

      27 이미지, "11세기 초 동북아시아 외교 지형의 변화와 고려-거란 관계" 한국중세사학회 (60) : 11-48, 2020

      28 이승민, "10~12세기 하생신사(賀生辰使) 파견과 고려―거란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89) : 77-11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6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