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49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체운동과 감각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하였고 교육기관에...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체운동과 감각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하였고 교육기관에서 요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전문가 검토를 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용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구성이 타당하였으며,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인지능력, 언어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인지능력, 언어 능력을 고르게 육성하는 데 있어서 실천적, 실용적으로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infants 2 years of ag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on physical exercise and senses were conducted,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infants 2 years of ag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on physical exercise and senses were conducted, and demand surveys were conduc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is, the firs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n an expert review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accept the expert opinion to complete the fin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 program was conducted for 28 infants aged 2 years (14 experimental groups, 14 comparative group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 year old infants was valid, a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sic motor skills, cognitive skills, and language skills of infants. his study is expected not only to be practically and practically useful in developing the basic motor skills, cognitive skills, and language skills of 2 year old infants, but also theoretically useful basic da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
      • Ⅲ.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
      • Ⅲ.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복희,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91-206, 2004

      2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4 노희연,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 감각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127-151, 2012

      5 주혜진,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2 (12): 163-193, 2012

      6 오연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15 (15): 37-45, 2014

      7 유경애,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2008

      8 백효현, "유아 기본운동기술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9 채승희,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그림책 활용 감각활동 개발 및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박유미,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이 또래상호작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10 (10): 53-73, 2010

      1 조복희,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91-206, 2004

      2 김영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4 노희연,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 감각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127-151, 2012

      5 주혜진,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2 (12): 163-193, 2012

      6 오연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15 (15): 37-45, 2014

      7 유경애,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2008

      8 백효현, "유아 기본운동기술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9 채승희,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그림책 활용 감각활동 개발 및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박유미,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이 또래상호작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10 (10): 53-73, 2010

      11 홍성희, "영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2 지성애, "영아(0~36개월)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정민사 1999

      13 한국보육진흥원,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어린이집용)"

      14 박정숙,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51-70, 2017

      15 문병환, "실외 신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지각운동능력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35-154, 2017

      16 이민경,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발달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7 이숙화, "보육시설-가정연계 감각활동이 영아의 발달과 부모역할 만족도 및 영아-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18 송순옥,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45-66, 2017

      19 김새롬,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 감각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8

      20 손수미, "그림책 읽기를 활용한 감각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어휘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1 김영익, "감각통합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의사소통기능 습득과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24, 2016

      22 김명지, "감각운동훈련이 영아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23 주영은, "감각운동 중심 영아프로그램이 운동능력과 애착관계에 미치는 영향 : 6~12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4 지성애, "감각운동 중심 미술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79-105, 2014

      25 Liddle, T. L., "Why motor skill matter: Improve your child's physical development to enhance learning and self-esteem" Koehler Books 2018

      26 O'Connor, A., "Understanding physical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Linking bodies and minds" Routledge 2016

      27 Watts, T.,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sensory processing : A systematic review" 68 (68): 37-46, 2014

      28 Mainstone-Cotton, S., "Promot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health and wellbeing: A practical guide for professionals and parents" Jessica Kingsley 2017

      29 Piaget, J.,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orton 1962

      30 Thompson, S. D., "Meeting the sensory needs of young children" 68 (68): 34-43, 2013

      31 Gainsley, S., "Look, listen, touch, feel, taste : The important sensory play" 25 (25): 1-4, 2011

      32 Gabbard, C., "Lifelong motor development" Allyn & Boston 2000

      33 Schwarz, T., "Let's get messy! Exploring sensory and art activities with infants and toddlers" 67 (67): 26-34, 2012

      34 Kozina, Z., "Integral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motor abilities and psycho-physiological functions in children from 2 to 4 years old" 18 (18): 3-16, 2018

      35 Walle, E. A., "Infant language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walking" 50 (50): 336-348, 2014

      36 Wilke, S., "Factors influencing childcare workers’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ged 0–4 years : a qualitative study" 33 (33): 226-238, 2013

      37 Pica, R., "Early elementary children moving and learning: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dleaf 2014

      38 Mattfeld, A. T., "Dissociation of working memory impairment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brain" 10 : 274-282, 2016

      39 Tsangaridou, N., "Developing preschoolers' social skills through cross-cultural physical education intervention" 184 (184): 1550-1565, 2014

      40 Balbernie, R., "Circuits and circumstances : The neurobiological consequences : The neurobiological consequences of early relationship experiences and how they shape later behavior" 27 (27): 237-255, 2001

      41 Veldman, S. L., "Associations between gross motor skills and physical activity in Australian toddlers" 21 (21): 817-821, 2018

      42 LeBarton, E. S., "Associations between gross motor and communicative development in at-risk infants" 44 : 59-67, 2016

      43 성연정, "2세 영아의 도구 탐색을 통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44 노희연, "1세 영아를 위한 발달지원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13 (13): 35-53, 2016

      45 김영주, "12개월과 24개월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특성"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