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취업 준비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 인지ㆍ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CognitiveㆍEmotional Empathy as Vocational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0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취업을 준비하는 여대생의 언어적ㆍ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인지적ㆍ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프로그램은 Ad...

      본 연구는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취업을 준비하는 여대생의 언어적ㆍ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인지적ㆍ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프로그램은 Adler & Proctor(2015)의 ‘Looking Out, Looking In’을 기반으로 내용전달능력, 듣기능력, 공감형성능력의 세 가지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청년취업아카데미를 참여한 서울 소재 A여대 취업준비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3시간으로 구성된 8회기의 프로그램을 매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별다른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Navran(1967)이 개발한 의사소통능력척도(PCI)를 최은연(2004)이 성인용으로 수정한 의사소통능력척도와 Reiners, Corcoran, Drake, Shryane, & Vȍllm(2011)이 개발하고 강준(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인지적ㆍ정서적 공감척도(QCAE)를 사용하였다. 보다 신뢰로운 연구결과의 제시를 위해 연구대상 수를 고려한 비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검증과 실험집단 내 시간에 따른 차이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사전 동일성 및 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 사전, 사후 간 변화 비교를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은 의사소통능력과 인지ㆍ정서적 공감능력 모두에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중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는 프로그램 효과가 나타난 반면,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프로그램이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기보다는 이미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이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점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는 지금까지의 여러 의사소통 연구에서 제안하는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로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의사소통프로그램은 앞으로 사회에 진출하게 될 취업준비생에게 반드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중 하나인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과 향후 의사소통능력의 배양을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으로 세분화된 프로그램이나 교육 등의 개발 연구에 여러 기초자료 중 하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verbalㆍ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cognitiveㆍemotional empathy of job applicants by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e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Looking Out, Looking In' o...

      This study is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verbalㆍ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cognitiveㆍemotional empathy of job applicants by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e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Looking Out, Looking In' of Adler & Proctor (2015) focused on cultivating three abilities: content delivery ability, listening ability, and empathy form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30 students from A University who was participated in the ‘Youth Employment Academy’ were compos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 group, 8 week program consisting of 3 hours was carried out weekly, and the study was designed that no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The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PCI) developed by Navran(1967) and revised by Choi(2004) for Korean adults and The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QCAE) developed by Reiners, Corcoran, Drake, Shryane, & Vȍllm(2011) and validated by Kang(2012) in Korean was used. In order to present more robost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a non - 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considering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gram and ver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verify pre-, post-te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mutually, an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was used to compare pre-, post-test changes in the subjective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bility, unlike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conducted the communi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the program effect but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ability was improv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rather than merely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cultivate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as a result of agreement with the suggestion in various communication studies so far.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which is one of the basic skills of job, which is necessary for the job applicants who will enter into society in the future. and In order to cultivate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future, it provides one of various basic materials for development study such as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subdivided programs and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숙빈, "환자-간호사 커뮤니케이션 스킬" 1 : 149-151, 2008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용어사전" 夏雨 2009

      3 오정숙,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규명 델파이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41-266, 2010

      4 박영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교회생활태도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효과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17-234, 2003

      5 신선경,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39-66, 2016

      6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7 연제익, "조직내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만족, 직무만족 및 조직 일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5

      8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4 (4): 37-49, 2011

      9 강 준, "정서 점화 효과에 기반한 공감의 개인차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0 한국경제매거진, "인사담당자 45.7% ″실전형 인재 가장 선호″...커뮤니케이션능력 중요"

      1 임숙빈, "환자-간호사 커뮤니케이션 스킬" 1 : 149-151, 2008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용어사전" 夏雨 2009

      3 오정숙,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규명 델파이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41-266, 2010

      4 박영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교회생활태도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효과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17-234, 2003

      5 신선경,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39-66, 2016

      6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7 연제익, "조직내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만족, 직무만족 및 조직 일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5

      8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4 (4): 37-49, 2011

      9 강 준, "정서 점화 효과에 기반한 공감의 개인차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0 한국경제매거진, "인사담당자 45.7% ″실전형 인재 가장 선호″...커뮤니케이션능력 중요"

      11 이헌석,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2, 2009

      12 두진영,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14 : 1-29, 2008

      13 최은연, "의사소통 기술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김은영, "의료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수술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5 김경희, "의대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참여경험 분석"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41-50, 2017

      16 송수희,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간에 관계, 포괄영유아" 2 : 1-20, 2014

      17 권정윤,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또래유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61-387, 2013

      18 김사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수 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우수경,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과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67-384, 2016

      20 최순이, "영화치료를 적용한 의사소통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 25 : 103-120, 2012

      21 나은영, "여성의 뉴미디어 이용과 가치관 : 이동전화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6 (16): 77-115, 2002

      22 이명순,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335-356, 2014

      23 김영희,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211-243, 2015

      24 원정숙,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4 (14): 60-66, 2008

      2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26 이동규, "상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사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27 강경화,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만족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13-22, 2012

      28 김여흠,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한국상담학회 14 (14): 1587-1604, 2013

      29 장욱희, "대학생의 역량과 구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3 (33): 31-59, 2009

      30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31 나승일,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131-160, 2012

      32 이준웅, "국내외 대학 스피치커뮤니케이션 교육현황 : 미국 대학의 스피치 교육 현황" 1 : 127-165, 2004

      33 김영실, "구두 커뮤니케이션 교육과 연구 현황 : 비서학 관련과를 중심으로" 9 (9): 27-47, 2000

      34 황순희, "공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사고양식의 관계"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515-548, 2016

      35 김신아, "공감적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수치심경향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미치는 효과" 4 (4): 91-111, 2013

      36 김도연,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7 박예린, "간호관리자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간호사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임파워먼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38 Goldberg, C., "Walking the walk and talking the talk :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terviewing skills on applicant assessments" 29 (29): 369-384, 2004

      39 김은정, "U대학의 NCS 기반 <의사소통능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7) : 67-89, 2016

      40 Shamay-Tsoory, S. G., "Two systems for empathy: a double dissociation between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in inferior frontal gyrus versus ventromedial prefrontal lesion" 132 (132): 617-627, 2009

      41 Riggio, R. E., "The relative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appearance, and social skills on evaluations made in hiring interviews" 18 (18): 331-348, 1988

      42 Riggio, R. E., "The Sage handbook of nonverbal communication" 79-96, 2006

      43 Reniers, R. L., "The QCAE : A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93 (93): 84-95, 2011

      44 Blair, R., "Responding to the emotions of others : dissociating forms of empathy through the study of typical and psychiatric populations" 14 (14): 698-718, 2005

      45 Higgins, M. C.,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 A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26 (26): 264-288, 2001

      46 나은미, "NCS의 직업기초능력과 대학에서의 의사소통교육" 119-133, 2015

      47 나은미, "NCS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의 검토와 대학에서 의사소통교육의 방향" 한국작문학회 (28) : 93-122, 2016

      48 양영근,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133-146, 2014

      49 최숙기, "NCS 기반 의사소통 교육에 관한 국어 교육적 접근"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35-69, 2016

      50 Adler, R. B., "Looking Out, Looking In" Nelson Education 2016

      51 Burgoon, J. K.,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age 235-, 1994

      52 Stewart, G. L., "Exploring the handshake in employment interviews" 93 (93): 1139-, 2008

      53 Feshbach, N. D.,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4 Krämer, U. M.,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of empathy and their relation to social cognition—an fMRI-study" 1311 : 110-120, 2010

      55 Krumhuber, E., "Effects of dynamic attributes of smiles in human and synthetic faces : A simulated job interview setting" 33 (33): 1-15, 2009

      56 Rubin, R. B.,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Association 94-129, 1990

      57 Navran, L.,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6 (6): 173-184, 1967

      58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59 Eisenberg, N., "Cambridge studies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 1987

      60 Matsumoto, D., "Applicatio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255-277, 2005

      61 Decety, J., "A social-neuroscience perspective on empathy" 15 (15): 54-58, 2006

      62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8 2.4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