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ano 모형을 이용한 외식업체 키오스크 서비스 품질에 대한 연구 -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 =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Kiosk Offered by Restaurants Using Kano Model - Focusing on Middle-to-Old-Aged Peopl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5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rvice quality of kiosk offered by restaurants focusing on the response of middle-to-old aged people over 50s, the group which is reported to have more difficulties when using such digital devices compared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rvice quality of kiosk offered by restaurants focusing on the response of middle-to-old aged people over 50s, the group which is reported to have more difficulties when using such digital devic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the study has categorized the attributes of service quality related to kiosk service used in restaurants by using Better index and Worse index based on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Kano Model for quality attribute categorization.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those over 50s who reside in areas of Seoul and Gyeonggi and have experience in visiting and using kiosk system at eat-out places including restaurants, fast-food chains, cafes, and highway service stations during the last 3 months. Total of 210 copies of survey had been used in the study and following results had been collected.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kiosk system at restaurants are categorized into total of 21 questions which consist of 3 questions based on SSTQUAL scale, 3 questions for entertainment, 3 questions for security·privacy, 3 questions for validity, 3 questions for design, 3 questions for convenience, and 3 questions for customization including 7 factors. The analytical results of Kano model are as follows; 10 must-be quality attributes, 5 indifferent quality attributes, 4 one-dimensional quality attributes, and 2 attractive quality attributes. Additionally, by acquiring Better index and Worse index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 acquired using Kano model, the study offers ideas on which attributes of kiosk service the restaurants should focus on to improve satisfaction and minimize complaints received by middle-to-old aged customers. The study also offers suggestions on how the restaurant should manage kiosk system to help these customers to better understand it as well as guideline on which quality attributes n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satisfy these custom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을 기반으로 프랜차이즈 분식점 키오스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 수줍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99-118, 2020

      2 이수희, "호텔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5-24, 2019

      3 이명창, "해저드모형을 활용한 가계부채상환속도의 결정요인 분석:45세 이상 중고령자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금융학회 34 (34): 113-151, 2020

      4 허정, "패스트푸드점의 무인주문시스템에 대한 시각적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13 (13): 75-92, 2018

      5 박지원, "패스트푸드점 고객의 키오스크 사용이 수용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모형의 적용 및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4 (44): 207-228, 2020

      6 백경진, "패션뷰티 산업분야의 시니어 시프트 현황분석" 복식문화학회 26 (26): 56-72, 2018

      7 조원영, "키오스크 외식매장의 사용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16 (16): 97-113, 2020

      8 백안젤라, "크루즈여행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79-98, 2017

      9 신기동,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1-25, 2020

      10 송주완, "카노모형을 이용한 밀키트의 선택속성 및 제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76-190, 2020

      1 김재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을 기반으로 프랜차이즈 분식점 키오스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 수줍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99-118, 2020

      2 이수희, "호텔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5-24, 2019

      3 이명창, "해저드모형을 활용한 가계부채상환속도의 결정요인 분석:45세 이상 중고령자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금융학회 34 (34): 113-151, 2020

      4 허정, "패스트푸드점의 무인주문시스템에 대한 시각적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13 (13): 75-92, 2018

      5 박지원, "패스트푸드점 고객의 키오스크 사용이 수용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모형의 적용 및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4 (44): 207-228, 2020

      6 백경진, "패션뷰티 산업분야의 시니어 시프트 현황분석" 복식문화학회 26 (26): 56-72, 2018

      7 조원영, "키오스크 외식매장의 사용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16 (16): 97-113, 2020

      8 백안젤라, "크루즈여행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79-98, 2017

      9 신기동,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1-25, 2020

      10 송주완, "카노모형을 이용한 밀키트의 선택속성 및 제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76-190, 2020

      11 임유진,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전기, 중기, 후기 중고령자연령대 구분을 중심으로" 7 (7): 85-121, 2017

      12 이진숙,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변화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83-796, 2018

      13 임수경, "중고령자의 사화참여, 경제 및 건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15 (15): 1-23, 2018

      14 김수경,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간의 관계 연구: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7 (27): 39-55, 2020

      15 곽미선, "중고령자 특성에 따른 희망 일자리 분석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09-520, 2019

      16 서혜옥, "정보 접근성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박스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제안 -인천 영화상영관 휠체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279-287, 2019

      17 강필식, "장노년층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주문 키오스크 디자인 방향 제시 : 국내 패스트푸드 상위 5개 브랜드 키오스크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4 (14): 39-53, 2020

      18 송광석, "은행 산업의 비대면 서비스품질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16 (16): 225-236, 2011

      19 정회준,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ATM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30 (30): 123-137, 2017

      20 송주완, "외식업체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176-188, 2019

      21 김민경, "외식기업의 키오스크(Kiosk) 품질 특성이 경험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71-86, 2019

      22 강진희, "외식기업의 무인주문결제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 연구: 챗봇과 디지털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153-168, 2018

      23 이무형, "외식기업 비대면 채널 마케팅이 관계효익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293-318, 2019

      24 전승화, "언택트(Untact) 산업 확산의 이론적 배경과 전망" 경영연구소 38 (38): 96-116, 2020

      25 안재영, "언택트 서비스 사용에 관한 연구: 키오스크 사례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 (20): 49-73, 2020

      26 김아영, "시니어 시프트를 고려한 고령 여성의 체간부 체형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1 (21): 115-126, 2019

      27 백영선, "수정된 IPA를 이용한 키오스크 서비스품질 속성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전문점을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28 김효정, "셀프서비스 키오스크에 대한 소비자의 저항 및 지속사용의도의 결정 요인" 대한가정학회 58 (58): 401-416, 2020

      29 이유재,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로열티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경영학회 45 (45): 1763-1787, 2016

      30 차성수, "비대면 키오스크 외식매장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이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22 (22): 27-50, 2019

      31 전서영, "병원 키오스크 UI 디자인에 대한 시니어 세대의 사용성 평가 연구 -서울 H 대학병원 키오스크 UI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411-421, 2020

      32 김용균, "무인화 추세를 앞당기는 키오스크"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15-24, 2017

      33 박정아, "모바일 환경에 의한 언택트(Untact) 전시 공간 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75-86, 2020

      34 성윤정, "만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키오스크(KIOSK) 사용능력의 상관관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1 (11): 135-142, 2019

      35 문혜영, "레스토랑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에 관한 선호도 및 고객행동연구: 서비스 프로세스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129-142, 2019

      36 전영주, "기술기반 패스트푸드 서비스 품질 특성이 태도, 가치,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지각된 위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21 (21): 135-155, 2018

      37 김규미,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외식소비자의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 분석: 기술준비수용모형(TRAM모형)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1 (31): 237-257, 2019

      38 홍승윤,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56-563, 2019

      39 백소진, "고령자를 위한 패스트푸드점 무인주문시스템 사용자 경험 개선"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197-205, 2020

      40 한국소비자원, "고령소비자 비대면 거래 실태조사" 1-100, 2020

      41 Ma, M. Y., "Using kano model to differentiate between future vehicle-driving services" 69 : 142-152, 2019

      42 Kano, N., "Upsizing the organization by attractive quality creation" Science University of Tokyo 1995

      43 Shahin, A., "Typology of Kano models :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and proposition of a revised model" 30 (30): 341-358, 2013

      44 Scherer, A., "The value of self-service:long-term effects of technology-based self-service usage on customer retention" 39 (39): 177-200, 2015

      45 Wang, C., "The roles of habi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driving continued use of self-service technologies : A longitudinal study" 16 (16): 400-414, 2013

      46 Tsai, H., "Social support and"playing around"an examination of how older adults acquire digital literacy with tablet computers" 36 (36): 29-55, 2017

      47 Sharma, P., "Self-service technology in supermarkets–Do frontline staff still matter?" 26 : 102356-, 2020

      48 Considine, E., "Self-service technology adoption : An analysis of customer to technology interactions" 100 : 103-109, 2016

      49 Meuter, M. L., "Self-service technologies : understanding customer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64 (64): 50-64, 2000

      50 서진우, "SST에 기반한 키오스크의 서비스 기술품질이 감정적 가치, 만족,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59-172, 2020

      51 Roy, S. K., "Predictors of customer acceptance of and resistance to smart technologies in the retail sector" 42 : 147-160, 2018

      52 임영희, "Kano모형을 활용한 시니어 해외패키지여행상품 품질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159-180, 2020

      53 강지원, "Kano모델을 이용한 외식업체의 무인주문시스템 서비스 품질 속성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263-279, 2018

      54 장은경, "Kano 모형을 이용한 지역축제 방문객 만족속성 분류: 목포해양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213-224, 2015

      55 권장욱, "Kano 모형을 이용한 스파리조트의 만족속성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195-213, 2018

      56 이상훈, "Kano 모형을 이용한 모바일 음식배달 어플리케이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185-202, 2018

      57 고민환, "Kano 모형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한 항공서비스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297-314, 2020

      58 이상경, "Kano 모델을 적용한 관광지 외식 서비스의 속성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7 (17): 218-236, 2015

      59 송선민, "Kano 모델 및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를 이용한 화장품 매장 서비스 품질 개선 우선순위"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42-353, 2020

      60 이종원, "Kano model을 활용한 의료관광 서비스 품질 속성 분류 연구: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125-139, 2018

      61 Tseng, C. C., "Integrating kano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to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aoyuan international airport" 25 (25): 289-309, 2018

      62 Chen, K. J., "Integrating Refined Kano Model and QFD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y Fast-Food Chain Restaurants" 15 (15): 1310-, 2018

      63 Vakulenko, Y., "Innovative framework for self-service kiosks : Integrating customer value knowledge" 4 (4): 262-268, 2019

      64 Go, M. J., "In-flight NCCI management by combining the Kano model with the service blueprint : A comparison of frequent and infrequent flyers" 69 : 471-486, 2018

      65 Matzler, K., "How to make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more successful by integrating kano's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into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18 (18): 25-38, 1998

      66 Alshmemri, M., "Herzberg's two-factor theory" 14 (14): 12-16, 2017

      67 Ahmad, W., "Green purchase intention : Effects of electronic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green psychology" 267 (267): 122053-, 2020

      68 Bulmer, S., "Exploring the adoption of self-service checkouts and the associated social obligations of shopping practices" 42 : 107-116, 2018

      69 Ding, K., "Employing structural topic modelling to explore perceived service quality attributes in Airbnb accommodation" 91 (91): 102676-, 2020

      70 Parasuraman, A., "ES-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assessing electronic service quality" 7 (7): 213-233, 2005

      71 Åkesson, M., "Customer roles from a self-service system perspective" 10 (10): 196-210, 2018

      72 Ahn, J. A., "Consumer responses to interactive restaurant self-service technology(IRSST) : The role of gadget-loving propensity" 74 : 109-121, 2018

      73 Lin, J. S. C., "Assessing the self-service technology encount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STQUAL scale" 87 (87): 194-206, 2011

      74 Bigorra, A. M., "Aspect-based kano categorization" 46 : 163-172, 2019

      75 Tseng, C. C., "An ipa-kano model for classifying and diagnosing airport service attributes" 11 : 100499-, 2020

      76 Timko, M., "An experiment in continuous analysis" 2 (2): 7-20, 1993

      77 Chen, L., "A novel approach to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quality attributes in the kano model : An empirical test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40 : 651-659, 2012

      78 Basfirinci, C., "A cross cultural investigation of airlines service quality through integration of servqual and the Kano model" 42 : 239-248, 2015

      79 Mikulic, J., "A critical review of techniques for classifying quality attributes in the kano's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into quality fucntion development" 18 (18): 25-3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10-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영문명 : Korea Hotel* Resort *Casino Association -> Korea Hotel & Resor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리조트산학학회 ->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영문명 : Korea Hotel & Resort Assocition -> Korea Hotel* Resort *Casino Associ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1 1.51 1.56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