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5·16 군사정부의 공보 =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May 16 Military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8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among a variety of policies establish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ay 16 military government. A public information policy is originally for promoting a government's numerous activities, but the ...

      This paper deals with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among a variety of policies establish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ay 16 military government. A public information policy is originally for promoting a government's numerous activities, but the one during the military regime after the May 16 coup went beyond the negative meaning, carrying a positive meaning of securing legitimacy.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the revolution planned by the leading forces of the coup as the policy was considered a tool for realizing the plan. They asserted the eradication of the old evils as 'the first stage.' Then as 'the second stage,' they carried out organizational reforms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anticommunism that they had emphasized. During these processes, the public information organization was expand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revious governments.
      As the tasks for 'the third stage' needed to be performed along with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stage' tasks by July 1961,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changed. The tasks for 'the third stage' were to be newly carried out by the leading forces of the coup.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until 1962 was implemented while this 'third task' tasks were established. The reinforcement of publicity activities and broadcasting for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the promotions of culture and arts, and the expansion of foreign publicity activities were aimed at the 'third stage' tasks. The 'third stage' tasks included public enlightenment and guidance through publicity activities, which were based on a perception that 'the leading forces of the revolution' should lead the general public with reformist inclinations and new ideologies for Korea to develop into a advanced nation.
      The military government's public information policy developed in this wise did not appear to be effective. This is because it was not smoothly done to transfer power to civil government for the continuity of all of the policies developed by the military regime. A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put to a plebiscite on December 17, 1962. The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conducted a public opinion poll focused on those who favored the bill on January 12, 1963, and the results showed immense support for the military government and President Park Chung-Hee. Nevertheless, President Park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63 by a narrow margin, only 150,000 votes, in spite of the advantage of staying in pow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public support for President Park and the military government was actually low and that the outcomes of the public information policy aggressively pursued by the military regime proved not to be eff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군사정부의 공보조직 형성
      • Ⅲ. 군사정부의 공보정책 형성
      • Ⅳ. 민정이양을 위한 공보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군사정부의 공보조직 형성
      • Ⅲ. 군사정부의 공보정책 형성
      • Ⅳ. 민정이양을 위한 공보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효율적 활동 토의"

      2 "홍보운영위구성"

      3 오재경, "혁명공약과 혁명구호를 논함" (창간) : 1961

      4 "혁명 이년간의 반공의 발자취"

      5 손창규, "혁명 1년의 발자취 -문교사회위원회소관-" (8) : 1963

      6 "해외로 소개되는 국악"

      7 유상수, "한국반공연맹의 설립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8) : 455-496, 2009

      8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상" 1963

      9 "특집1 1963년의 공보행정을 해부한다"

      10 "특수 선전위 규정 공포"

      1 "효율적 활동 토의"

      2 "홍보운영위구성"

      3 오재경, "혁명공약과 혁명구호를 논함" (창간) : 1961

      4 "혁명 이년간의 반공의 발자취"

      5 손창규, "혁명 1년의 발자취 -문교사회위원회소관-" (8) : 1963

      6 "해외로 소개되는 국악"

      7 유상수, "한국반공연맹의 설립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8) : 455-496, 2009

      8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상" 1963

      9 "특집1 1963년의 공보행정을 해부한다"

      10 "특수 선전위 규정 공포"

      11 김영희, "제1공화국 초기 이승만 정부 공보 선전 활동의 성격" 한국언론학회 54 (54): 326-348, 2010

      12 김영희, "제1공화국 초기 이승만 정부 공보 선전 활동의 성격" 한국언론학회 54 (54): 326-348, 2010

      13 "전남경남을 시범도 공보강화책으로"

      14 "전국에 비상계엄령"

      15 손창규, "임인년에 부치는 희망과 포부 -문교사회분야의 과업을 중심으로-" (4) : 1962

      16 "이공보사임에 억측구구, 외지보도와의 관련설도"

      17 "유명해진 내외문제연구소"

      18 한국자유총연맹, "우리가 지켜온 자유민주주의 반세기 -한국자유총연맹 50년사" 84-85, 2006

      19 권오헌, "역사적 인물의 영웅화와 기념의 문화정치 : 1960~1970년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진홍, "언론통제의 정치학" 홍성사 51-52, 1983

      21 "언론출판검열방침"

      22 "시범도공보활동종합보고서(제1차)" 공보부조사국 1961

      23 "세부사항은 8월 15일까지 언론계정비"

      24 "서울에 자유센터"

      25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22-223, 2005

      26 "박의장신뢰 72%"

      27 김민환, "미군정 공보기구의 언론활동, In 미군정기 신문의 사회사상" 나남출판 2001

      28 박수현, "미군정 공보기구 조직의 변천" 56 : 2010

      29 문화공보부, "문화공보30년" 문화공보부 1979

      30 "동경 우리공보관 오늘부터 개관"

      31 "뉴욕ㆍ동경에 공보관 설치"

      32 "냉시된 선전활동, 예산 줄어 겨우 0.3%"

      33 "내각주재하 시국수습회 개최"

      34 "군부 무혈 쿠데타 완전성공, 혁명위서 3권을 장악"

      35 "공보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라"

      36 "공보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라"

      37 "공보활동에 능률적인 태도, 매월 1회씩 전체회의와 분위 소집, 공보자문위원회 구성을 완료"

      38 "공보활동에 능률적인 태도, 매월 1회씩 전체회의와 분위 소집, 공보자문위원회 구성을 완료"

      39 "공보업무를 일원화"

      40 "82개 신문ㆍ통신만 계속 발간"

      41 정용욱, "5ㆍ16쿠데타 이후 지식인의 분화와 재편, In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170-172, 2004

      42 후지이 다케시, "4ㆍ19에서 5ㆍ16으로, 그 전환의 역사를 재해석한다" 15-16, 2010

      43 박영은, "1960년대 한국농촌계몽영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44 이지윤, "1960년대 한국계몽영화와 농촌의 근대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45 한도현, "1950년대 후반 농촌사회와 농촌의 피폐화, In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오름 8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