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자본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4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경제는 호혜, 연대, 참여, 공감, 나눔의 가치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시민들의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을 통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가 지속가능...

      사회적경제는 호혜, 연대, 참여, 공감, 나눔의 가치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시민들의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을 통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인식 향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이 시민들의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자본이 많을수록 나눔행동이 높아졌다. 둘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나눔행동은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The data from Research on Measuring Public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in Seoul ...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The data from Research on Measuring Public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in Seoul City (2020) was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philanthropic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became stronger as social capital got higher. By performing bootstrap,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was revealed. Based on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itizens’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behavior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the entire social economy and explored how the behavior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based on the Self-Perception The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의 사회적경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9

      2 김신양,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 이론의 모색과 경험의 성찰" 한울아카데미 2016

      3 강수현,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과 가치소비 태도에 관한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9 (9): 61-84, 2019

      4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자본" 9 : 23-49, 2006

      5 한상일, "지역공동체 참여의 이론과 현실" 집문당 2019

      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7 이상철, "정기적 기부 및 자원봉사 제고 방안 연구 - 나눔경험의 효과성 검증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117-149, 2010

      8 서대석,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3) : 8-38, 2013

      9 정진경, "자원봉사와 기부에 관한 다층적 영향요인 연구 - 지역 공공복지 지출규모와 개인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5-22, 2016

      10 김민정, "시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가 공직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8 (8): 27-54, 2013

      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의 사회적경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9

      2 김신양,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 이론의 모색과 경험의 성찰" 한울아카데미 2016

      3 강수현,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과 가치소비 태도에 관한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9 (9): 61-84, 2019

      4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자본" 9 : 23-49, 2006

      5 한상일, "지역공동체 참여의 이론과 현실" 집문당 2019

      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7 이상철, "정기적 기부 및 자원봉사 제고 방안 연구 - 나눔경험의 효과성 검증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117-149, 2010

      8 서대석,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3) : 8-38, 2013

      9 정진경, "자원봉사와 기부에 관한 다층적 영향요인 연구 - 지역 공공복지 지출규모와 개인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5-22, 2016

      10 김민정, "시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가 공직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8 (8): 27-54, 2013

      11 강철희, "시민의 복지의식과 기부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113-139, 2016

      12 조상미, "서울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 연구 :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시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서울특별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20

      13 장종익,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특성과 정책적 평가"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5-29, 2017

      14 유희정, "사회참여가 정부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신뢰의 매개를 통하여-" 한국정책학회 19 (19): 29-57, 2010

      15 유미현, "사회적자본이 협력적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7-46, 2017

      16 김덕준, "사회적기업에 관한 인식 분석: Q-Methodology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1 (21): 143-166, 2017

      17 곽선화, "사회적기업 매거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4-27, 2008

      18 이해진, "사회적경제와 지역발전: 혁신, 호혜, 협력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9 (49): 77-111, 2015

      19 한상일, "사회적경제와 지역발전: 연구의 경향과 쟁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7 (27): 1-31, 2018

      20 조상미,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서울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11 (11): 23-64, 2021

      21 김상임, "사회적 자본이 재난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913-1928, 2020

      22 하상근, "사회적 자본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및 정치적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30 (30): 909-937, 2018

      23 박선영,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4 (34): 1-23, 2020

      24 최예나,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경제조직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주주의 인식도와 제도적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9 (9): 1-23, 2019

      25 진관훈, "사회적 자본이 복지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26 주혜린, "사회적 기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영향요인: 일반 국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7 (57): 201-234, 2019

      27 안윤숙, "사회적 경제 효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801-812, 2018

      28 문다영,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 대한 주민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11 (11): 131-158, 2021

      29 박해긍, "사회적 경제 조직 인지도와 이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부산광역시 5개 자치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8 (8): 187-217, 2015

      30 강철희, "사회자본과 나눔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뢰, 호혜, 규범의 영향력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2, 2015

      31 김정희, "부산지역 사회적 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 5개 광역시도와 비교 및 부산의 변화를 중심으로 -" 제3섹터연구소 13 (13): 295-340, 2015

      32 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25-50, 2013

      33 이춘엽, "대학생의 장애인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3 (3): 75-84, 2013

      34 홍달성,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다양한 자본 유형의 영향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2 (22): 73-102, 2020

      35 김신영,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 결정요인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99-117, 2006

      36 이은주,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1233-1245, 2009

      37 강시온,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합 인식 요인에 관한 데이터마이닝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1 (51): 5-38, 2020

      38 김지혜, "기부행동과 자원봉사활동은 중복적 보완관계인가? 보충적 대체관계인가?"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33-158, 2012

      39 강철희, "기부와 자원봉사의 관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eemingly Unrelated Tobit Model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29-54, 2017

      40 김수병, "공공조직 사회적자본이 공직윤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회 12 (12): 171-187, 2015

      41 이성태, "개인의 기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42 Bhandari, H, "What is social capit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 37 (37): 480-510, 2009

      43 Ajzen, I, "The handbook of attitud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3-221, 2005

      44 Albarracín, D, "The cognitive impact of past behavior: Influences on beliefs, attitudes, and future behavioral decisions" 79 (79): 5-22, 2000

      45 Ertz, M, "The behavior-attitude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in proenvironmental behavior" 51 (51): 1106-1132, 2019

      46 OECD, "Social enterprises" OECD Publishing 1999

      47 Brown, E,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36 (36): 85-99, 2007

      48 Bem, D. J, "Self-perception: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cognitive dissonance phenomena" 74 (74): 183-200, 1967

      49 OECD, "Human Capital : How what you know shapes your life" OECD Publications 2007

      50 Cox. J, "Getting connected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among online volunteers" 48 (48): 151-173, 2019

      51 Koresen, M, "Do attitudes cause behavior or vice versa?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in travel behavior modeling" 101 : 190-202, 2017

      52 사회적기업연구원, "2009년 사회적기업에 대한 일반인 대상 인식조사 분석" 2 (2): 129-13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논총 -> 사회과학연구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사회과학원
      영문명 : Social Sciences Research Institute -> Ewh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EIS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5-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논총 제1호 -> 사회과학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2 1.1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