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형도 시의 근대성에 갇힌 ‘빈 장소’의 토포포비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9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형도는 부지불식간에 잠식한 근대성이 우리의 삶에 공포, 불안, 우울을 형성하고 있음을 ‘빈 장소’에서 목도한다. 그는 아무것도 없는 장소 혹은 장소라고 할 수 없는 공백의 차원에서 ...

      기형도는 부지불식간에 잠식한 근대성이 우리의 삶에 공포, 불안, 우울을 형성하고 있음을 ‘빈 장소’에서 목도한다. 그는 아무것도 없는 장소 혹은 장소라고 할 수 없는 공백의 차원에서 다른 이들의 눈에는 포착되지 않는 어떤 의미를 탐색한다.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는 공간에서 장소로, 장소에서 무장소로 나아가는 현실의 공간적 의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기형도의 전체 시세계에서 안식처로서의 긍정적인 장소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기존 기형도 시의 공간 연구가 무장소, 토포포비아라는 의미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그동안 문학 연구에서 공간이나 장소에 어떤 긍정성이나 중립성을 부여하려는 문학 비평의 클리셰 때문이다. 현대시의 공간 해석은 장소 너머의 다른 장소들 및 사회적 과정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초점이 모아질 필요가 있다.
      기형도의 작품에서 ‘빈 장소’는 분명 일상적인 장소로 사람의 삶이 축적된 장소이나 그곳은 사람을 반기지 않고 소외감을 준다. 장소에 대한 이러한 경험적 실재는 기형도의 시적 응시로 변형되어 사실적 허구인 토포포비아로 재현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안개’, ‘구름’, ‘공기, ’눈‘ 등은 유동적이고 모호한 상태의 유체들이다. 이러한 유체들은 끊임없이 형태상으로 변화하며 장소를 초월한 흐름을 형성한다. 그것은 다기공(多氣孔)의 현실인 ’빈 장소‘를 자유롭게 오가며, ’빈 장소‘의 의미에 따라 그것들의 의미도 수시로 바뀐다. 유체에 대응되는 ‘딱딱한’ 고체성을 가진 대상들은 산업 자본주의와 함께 출연한 근대성의 본질과 모순, 근대성의 견고한 현실 장악력을 은유한다. 근대의 고체성이 견고해지면 인간의 삶에서 토포포비아가 형성된다. 기형도의 시에서 ‘떠돌이’는 근대적 사회의 부적응자로, 정해진 거처가 없는 타향적 실존자를 말한다. 그는 ‘떠돌이’의 사회적 소외감을 ‘빈 장소’를 통해 보여주는데, 인간의 소외는 장소로부터 소외와 결부된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떠돌이’와 관련된 일상의 사건들은 그에 대한 시인의 타자적 응시로 ‘빈 장소’의 불모성은 심화된다.
      본 연구는 기형도 시의 ‘빈 장소’를 통해 근대의 부정적 세계를 들여다 보고, 기형도 문학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획득하고자 한다. 기형도의 장소 경험과 근대성 사이에 어떤 문제가 놓여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우리는 왜 일상의 장소에서 토포포비아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 Hyung-do witnesses the point that modernity encroaching unknowingly form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in our lives from the ‘empty place’. He explores certain meaning not captured by others’ eyes in the place where there is nothing or the d...

      Ki Hyung-do witnesses the point that modernity encroaching unknowingly forms fear, anxiety, and depression in our lives from the ‘empty place’. He explores certain meaning not captured by others’ eyes in the place where there is nothing or the dimension of a blank that may not be called as a place. Research on the sp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fails to follow the spatial meaning of reality leading from space to the place and from the place to the non-place. In the overall world of Ki Hyung-do’s poetry, the positive place as a haven does not appear. Despite that, previous research on the space of Ki Hyung-do’s poems fails to approach the meaning of the non-place and topophobia due to the cliché of literary criticism intended to provide either space or the place with particular positiveness or neutrality in existing research on literature. Interpretation on the space of modern poetry needs to be focused on how to interact with the place beyond the place and social processes.
      In Ki Hyung-do’s works, the ‘empty place’ is obviously a usual place where people’s lives are accumulated, but it does not welcome but alienate people. Such empirical existence of a place is transformed into Ki Hyung-do’s poetic gaze and reproduced as topophobia, realistic fiction. ‘Fog’, ‘cloud’, ‘air’, or ‘snow’ appearing in his poems is a fluid in the flexible and ambiguous state. These fluids change constantly in their shapes and create a flow transcending the place. They freely come and go to the ‘empty place’, the reality of multiple pores, and their meaning changes frequentl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empty place’. ‘Hard’ objects equipped with solidity contrary to fluids represent the essence and irony of modernity that emerged along with industrial capitalism and modernity’s solid power of command over reality. Once the solidity of modernity gets firmer, topophobia is formed in human lives. In Ki Hyung-do’s poems, ‘ddeodori’ refers to a person maladjusted to modern society and also an existent away from home having no fixed place to live in. He shows the sense of social alienation that ‘ddeodori’ have with the ‘empty place’, and this metaphorically reproduces the point that human alienation is associated with alienation from the place. Ordinary events related to ‘ddeodori’ are from the poet’s gaze on him as one of the others and the infertility of the ‘empty place’ gets deepened.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the negative world of modernity with the ‘empty place’ found in Ki Hyung-do’s poems and acquire the new meaning and value of Ki Hyung-do’s literature. By examining what kind of matter lies between Ki Hyung-do’s place experience and modernity, we will find the clue of the solution to why we get to experience topophobia in the everyday 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빈 장소’의 무장소성과 재현방식
      • 3. 거리의 고체성과 ‘빈 장소’의 유체들
      • 4. 낯선 ‘사내’의 소외감과 ‘빈 장소’의 불모성
      • 국문 요약
      • 1. 서론
      • 2. ‘빈 장소’의 무장소성과 재현방식
      • 3. 거리의 고체성과 ‘빈 장소’의 유체들
      • 4. 낯선 ‘사내’의 소외감과 ‘빈 장소’의 불모성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훈, "한국모더니즘의 시사" 문예 출판사 2000

      2 이-푸 투안,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2011

      3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장소의 철학" 그린비 2012

      4 전성기, "텍스트 분석방법으로서의 수사학" 유로서적 2004

      5 진성기, "텍스트 분석방법으로서의 수사학" 유로서적 2004

      6 장경렬, "코울리지의 상상력과 언어" 태학사 2006

      7 박해현, "정거장에서의 충고-기형도의 삶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2009

      8 오인혜,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장소심리학적 접근"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121-159, 2014

      9 장석주, "장소의 탄생" 작가정신 2006

      10 장석주, "장소의 기억을 꺼내다" ㈜사회평론 2007

      1 이승훈, "한국모더니즘의 시사" 문예 출판사 2000

      2 이-푸 투안,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2011

      3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장소의 철학" 그린비 2012

      4 전성기, "텍스트 분석방법으로서의 수사학" 유로서적 2004

      5 진성기, "텍스트 분석방법으로서의 수사학" 유로서적 2004

      6 장경렬, "코울리지의 상상력과 언어" 태학사 2006

      7 박해현, "정거장에서의 충고-기형도의 삶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2009

      8 오인혜,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장소심리학적 접근"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121-159, 2014

      9 장석주, "장소의 탄생" 작가정신 2006

      10 장석주, "장소의 기억을 꺼내다" ㈜사회평론 2007

      11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2 팀 크레스웰, "장소" 시그마프레스 2012

      13 마이크 새비지,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14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2019

      15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4

      16 필립 윌라이트, "은유와 실재" 한국문화사 2000

      17 엄경희, "은유" 모악 2019

      18 신재은, "유년의 기억 속에 투영된 공간 수사학" 한국문학연구학회 (28) : 305-335, 2006

      19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강 2009

      20 에드워드 홀,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17

      21 박성창, "수사학과 현대 프랑스 문화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2 김솔,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기형도 시 연구"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81-110, 2017

      23 슬라보예 지젝,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24 브루스 핑크, "라캉의 주체-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도서출판b 2010

      25 이광호, "도시인의 탄생 : 한국 문학과 도시의 모더니티" 서강대 출판부 2010

      26 김성도, "도시 인간학" 안그라픽스 2014

      27 미셸 마페졸리, "노마디즘" 일신사 2008

      28 국원호, "기형도 시의 비재현적 이미지 연구" 서강대학교 2017

      29 한금화, "기형도 시의 공간 의식 연구" 겨레어문학회 (40) : 357-384, 2008

      30 송지선, "기형도 시에 나타난 침상도시(bed town)의 로컬리티 연구" 국어문학회 60 (60): 267-288, 2015

      31 송종원, "기형도 시에 나타난 시대적 징후" 인문학연구소 30 : 121-151, 2018

      32 임세진, "기형도 시에 나타난 소외 이미지 연구" 겨레어문학회 (47) : 227-257, 2011

      33 김희선, "기형도 시에 나타난 사회적 상상력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4 조동범, "기형도 시에 나타난 근대 도시 공간연구" 인문학연구소 (35) : 87-109, 2018

      35 강연호, "기형도 시에 나타난 경계(境界)의 세계 인식" 한국문예창작학회 17 (17): 9-38, 2018

      36 박종덕,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근원과 형상화 양상" 어문연구학회 82 : 211-235, 2014

      37 정우진, "기형도 시 연구 : 직유와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38 김은석, "기형도 문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39 조명래, "공간으로 사회 읽기" 한울아카데미 2014

      40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41 마르쿠스 슈뢰르,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2018

      42 마루타 하지메, "‘장소’론" 심산 2011

      43 박세희, "1970년대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고향에 대한 토포포비아 연구: 김원일과 황석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57 : 27-3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