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관 활용 조사를 통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 Linking School Curriculum with Education in Science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17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밖 과학교육기관이자 현장체험학습이나 자유학기제 등으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는 과학관을 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다음, 과학관을 보다 효율...

      본 연구는 대표적 학교밖 과학교육기관이자 현장체험학습이나 자유학기제 등으로 많은 학생들이 방문하는 과학관을 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다음, 과학관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체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과학관 교육 활용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와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교사들은 과학관을 방문하기 전에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며, 과학관에서는 전문해설사의 설명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과학관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해 주는 기관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여러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교사-과학관이 상호 연계된 학교 교육과정 연계 과학관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모델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과학관 전시물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한 자료들과 활동지들이 개발되어야 하고, 개발된 정보들은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탑재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과학관 교육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직접 연수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 모델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지식형성 등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science museum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visited a science museum during school trip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amined how science museum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science museum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visited a science museum during school trip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amined how science museum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out-of-school learning place for experiencing a science, was used as an educational purpose by school teachers. 2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Based on this survey and previous literature review, we found out that teachers studied about the science museum and museum displays before visiting, and they prefer museum docent`s guide. Teachers regard the science museum as unofficial institut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science,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science museum education model. The model suggest to cooperate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museum to link museum display and school curriculum. For the best result of this model, science museum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linking science museum with science curriculum and upload those to museum homepage for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in science museum are also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his model is highly recommen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숙, "현장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30-341, 2006

      2 임성택, "한국의 과학관의 교육 사업에 관한 연구-그 현황과 개선책을중심으로" 3 : 25-36, 1978

      3 엄경화, "체험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박승재,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0

      5 송진웅, "청소년 학교밖 과학 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DB 구축" 과학문화재단 2002

      6 이군현, "지방과학관 육성 및 서울과학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37, 1994

      7 박승재, "종합과학관의 교육적 기대역할과 수행방안" 국립과학관 1983

      8 허소영, "부산지역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임경순, "국립과학관 건설을 위한 기본 방향 설정연구" 과학기술부 2002

      10 신영준, "국립과천과학관 교육프로그램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1 장현숙, "현장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30-341, 2006

      2 임성택, "한국의 과학관의 교육 사업에 관한 연구-그 현황과 개선책을중심으로" 3 : 25-36, 1978

      3 엄경화, "체험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박승재,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0

      5 송진웅, "청소년 학교밖 과학 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DB 구축" 과학문화재단 2002

      6 이군현, "지방과학관 육성 및 서울과학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37, 1994

      7 박승재, "종합과학관의 교육적 기대역할과 수행방안" 국립과학관 1983

      8 허소영, "부산지역 과학관 전시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임경순, "국립과학관 건설을 위한 기본 방향 설정연구" 과학기술부 2002

      10 신영준, "국립과천과학관 교육프로그램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11 송성수, "과학관의 사례와 발전방향" 2010

      12 김장환, "과학관 현장학습 실태조사를 통한 과학 현장학습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 김소희,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44-560, 2003

      14 임미혜, "과학관 전시물 내용 분석 및 교사 요구도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김 진, "과학관 교육활동에 대한 수도권지역 영재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6 최경희,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331-337, 2006

      17 Storksdieck, M., "Why they came and how they benefited: Results of 52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18 months after a science center visit" 2006

      18 Dillon, J., "The value of outdoor learning : Evidence from research in the UK and elsewhere" 87 : 107-111, 2006

      19 Rennie, L. J., "The nature of learn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learning from museums" 88 (88): S4-S16, 2004

      20 Falk, J. H., "The museum experience revisited" Left Coast Press 416-, 2013

      21 Tran, L. U., "Teaching science in museums : The pedagogy and goals of museum educators" 91 (91): 278-297, 2007

      22 Semper, R. J.,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43 (43): 50-56, 1990

      23 Rennie, L. J., "Science centres and science learning" 27 : 53-98, 1996

      24 Salmi, H., "Science centers as learning laboratoroes : experience of Heureka, the Finnish Science Center :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25 : 460-476, 2003

      25 홍은홍, "PBL기반 과학관 현장학습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효과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6 Wellingtons, J., "Newspaper science, school science; friend or enemies?" 13 (13): 363-372, 1991

      27 Durant, J., "Museums and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Museum 7-11, 1992

      28 Miles, R., "Museums and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Museum 27-33, 1992

      29 Gilbert, J., "Models and discourse : a primary school science class visit to a museum" 81 : 749-762, 1997

      30 Hein, G. E., "Learning in the museum" Routledge 1998

      31 Falk, J. H., "Learning for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AltaMira Press 2000

      32 Falk, J. H., "Investigating the long-term impact of interactives on visitor learning: An exploratory study" 2006

      33 Orion, N.,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31 (31): 1097-1119, 1994

      34 Anderson, D., "Development of knowledge about electricity and magnetism during a visit to a science museum and related post-visit activities" 84 : 658-679, 2000

      35 Zohar, A., "Connected knowledge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8 : 1579-1599, 2006

      36 Hofstein, A., "Bridging the ga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cience learning" 28 : 87-112, 1996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Board on Science Education"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38 Bamberger, Y., "An Experience for the Lifelong Journey : The Long-Term Effect of a Class Visit to a Science Center" 11 (11): 198-212, 2008

      39 Rickinson, M., "A review of research on outdoor learning. Shrewsbury" England National Foundation of Educational Research 2004

      40 Orion, N.,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93 : 325-331, 1993

      41 "2011 국립과학 과천과학관 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