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 in Korea and Chines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6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in Korea and Chinese ChildrenRuiqi Yin & Nari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 in Korean and Chinese children in order to suggest futur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in Korea and Chinese ChildrenRuiqi Yin & Nari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behavioral problems in Korean and Chinese children in order to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and prospects. From 2013 to 2021, 93 research papers on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published in leading academic journals in Korea and China, were analyz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year,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variable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year, Korea performed the most research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in 2018, while China conducted the most research in 2015.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many Korean researchers focused on parents, while their counterparts studies infa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widely used in both countri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 variables, the most used individual variable was temperament and the most used environmental variable was parenting behaviors in the studies conducted both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results, the trends of research on behavioral problems in Korean and Chinese children were analyz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Key Words: Infants, Problem Behaviors, Korea, China, Research Tren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은 서 기*ㆍ송 나 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 ...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은 서 기*ㆍ송 나 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2013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논문 총 93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변인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연도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18년에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중국은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중국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연구 방법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양적 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의 변인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개인적 변인에서는 기질이 환경적 변인에서는 부모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유아 문제행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유아, 문제행동, 한국, 중국, 연구 동향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Gachon Univ., Email: yrq3450@gmail.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Corresponding Author, Lecturer, Sungshin Women’s Univ., Email: nari0148@hanmail.n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숙 ; 신의진 ; 전연진 ; 박진아,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53-74, 2004

      2 곽윤숙, "유치원교사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경험, 지원에 대한 요구" 인지발달중재학회 12 (12): 1-21, 2021

      3 조현근 ; 이병인, "유아특수교육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07년까지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42, 2009

      4 장원주 ; 이화도,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327-347, 2017

      5 설미화, "유아의 언어능력, 기질 및 유아-교사 관계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6 이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 환경 및 지역사회 변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7 송진영 ; 김규수,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45-365, 2012

      8 박현진 ; 이효림 ; 정정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놀이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245-267, 2019

      9 조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간의 관계 연구" 8 : 165-181, 1998

      10 우수경,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요인에 대한 단기 종단적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11-231, 2017

      1 이경숙 ; 신의진 ; 전연진 ; 박진아,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53-74, 2004

      2 곽윤숙, "유치원교사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과경험, 지원에 대한 요구" 인지발달중재학회 12 (12): 1-21, 2021

      3 조현근 ; 이병인, "유아특수교육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07년까지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42, 2009

      4 장원주 ; 이화도,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327-347, 2017

      5 설미화, "유아의 언어능력, 기질 및 유아-교사 관계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6 이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 환경 및 지역사회 변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7 송진영 ; 김규수,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45-365, 2012

      8 박현진 ; 이효림 ; 정정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놀이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245-267, 2019

      9 조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간의 관계 연구" 8 : 165-181, 1998

      10 우수경,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요인에 대한 단기 종단적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11-231, 2017

      11 권수진 ; 오새니 ; 이상희,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85-406, 2016

      12 권혜진 ; 전숙영,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79-96, 2015

      13 박지영 ; 강성단 ; 권경숙,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39-162, 2010

      14 배지희 ; 조미영 ; 봉진영,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65-189, 2009

      15 강선경 ; 차유정,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 문제행동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내용분석 -중독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12 (12): 217-225, 2021

      16 이대균 ; 백경순,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67-191, 2007

      17 양수영,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95-314, 2014

      18 김영아,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관련 국내연구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소 21 (21): 135-164, 2019

      19 하민경, "유아 학습준비도,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이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 (13): 2453-2468, 2022

      20 이순자 ; 유수옥,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27-156, 2012

      21 전춘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분석 : 중국 산동성 칭다우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22 송나리 ; 권정윤,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43-270, 2013

      23 이경숙,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2013

      24 김보영, "어머니의 양육태도, 영아의 성, 보육기관에 따른 영아의 문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5 남소현,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적응행동 : 성별중심" 3 : 17-28, 2000

      26 최은주, "사회과학정보원" 한국도서관협회 1995

      27 최정은 ; 이소연,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51-171, 2017

      28 이영진 ; 노승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01-324, 2017

      29 송의열, "문제행동과 양육태도" 8 : 153-177, 2001

      30 김연 ; 최선희 ; 황혜정, "문제행동 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01-127, 2013

      31 杨飞龙, "退缩气质幼儿的问题⾏为与感觉统合能⼒的相关研究" 10 : 28-33, 2009

      32 龚建华, "深圳市城区学前儿童⾏为问题及家庭因素调查[J]" 1 (1): 95-96, 2006

      33 李晓巍, "母亲教养效能的测量及其幼儿问题⾏为的关系" 27 (27): 696-706, 2019

      34 陈福美, "母亲抑郁, ⽗母冲突与幼儿问题⾏为 : 有调节的中介效应" 23 (23): 1049-1052, 2015

      35 王婉纯, "我国2004-2014年儿童攻击⾏为研究现状" 37 (37): 538-542, 2016

      36 魏燕, "幼儿问题⾏为的家庭原因分析" 8 (8): 95-102, 2006

      37 池丽萍, "幼儿问题⾏为发展特点研究" 16 (16): 66-68, 2004

      38 賈守梅, "學齡前兒童攻擊性⾏為的家庭系統研究" 復旦⼤學 2013

      39 宗⾦莎, "亲⼦关系对3-7岁儿童问题⾏为的影响" 28 (28): 40-45, 2013

      40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Child Psychiatry 1983

      41 Artman-Meeker, K. M., "Effects of training and feedback on teacher’s use of classroom preventive practices" 33 (33): 112-123, 2013

      42 Hutchby, I., "Children’s talk and social competence" 19 : 66-73, 2005

      43 Kaiser, B.,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Allyn & Bacon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