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 An Investigation on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0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실태 및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종사하는 151명의 방과 후 과정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다. 연...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실태 및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종사하는 151명의 방과 후 과정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방과 후 과정은 한 학급으로 15~20명 미만, 혼합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을 가지고 누리과정 이후 오후 6시까지 운영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에 비해 방과 후 과정 담당교사들은 11~15명 미만으로 유아 수가 감소하고 동일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방과 후 과정의 일과는 휴식과 자유놀이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기본 생활습관을 기를수 있는 교육내용의 실행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과정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방과 후 과정의 적절한 운영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현실적인 방과 후 과정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consider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in after school programs. This study involved 151 after school t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consider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in after school programs. This study involved 151 after school teachers in 30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Kyonggi-do district and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had one afternoon class which has 15 to 20 children operating until 6 o``clock using Nuri curriculum. However, after school teachers expected the afternoon class should consist of 11~15 children per class of same age, focusing on basic daily life habits, free play activities, and relaxation.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perceptions toward proper management for after school class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d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reflected the basic opinion in private kindergarte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설, "형평성 제고 관점에서 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재정 지원 현황 비교" 38 : 13-25, 2013

      2 박하나, "종일제 특성화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심초혜, "종일반 교사가 인식하는 공립유치원의 조직풍토와 직무스트레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박종숙, "유치원의 종일반 현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이문옥, "유치원의 종일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33-349, 2004

      6 김경,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 인식 비교 연구" 10 : 55-75, 2007

      7 안성실,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강정원, "유치원 종일반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5-385, 2008

      9 문무경, "유치원 종일반 운영실태 조사" 육아정책개발센터 143-145, 2008

      10 김정은, "유치원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 김은설, "형평성 제고 관점에서 본 유치원과 어린이집 재정 지원 현황 비교" 38 : 13-25, 2013

      2 박하나, "종일제 특성화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심초혜, "종일반 교사가 인식하는 공립유치원의 조직풍토와 직무스트레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박종숙, "유치원의 종일반 현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이문옥, "유치원의 종일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33-349, 2004

      6 김경,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 인식 비교 연구" 10 : 55-75, 2007

      7 안성실,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강정원, "유치원 종일반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5-385, 2008

      9 문무경, "유치원 종일반 운영실태 조사" 육아정책개발센터 143-145, 2008

      10 김정은, "유치원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이누리, "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조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12 김기영,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허옥희, "유아교육기관의 종일제 운영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여순화, "유아교육기관 종일제 운영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부모의 사회적 배경요인별 비교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15 이대균,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6 (6): 75-99, 2005

      16 배미연,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39-360, 2014

      17 안혜진,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8 배지희, "공사립 유치원 종일반 운영의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37-258, 2005

      19 이영자, "공립유치원의 종일반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실행수준과 기대수준 비교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박수진,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21 양혜라,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변세진, "공립 유치원 방과 후 과정 강사의 직무 수행 상의 어려움" 24 (24): 1-28, 2014

      23 박세진, "공·사립 유치원의 종일반 운영에 대한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4 여성가족부,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10-2014)" 여성가족부 2012

      25 윤경숙, "경기도 공립유치원 종일반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Gullo, D. F., "The changing family context: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ll day kindergarten" 45 (45): 35-39, 1990

      27 교육과학기술부, "3-4세 누리과정 확대 및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을 위한 유아교육법, 교육공무원법 개정 완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