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통신언어에 관한 일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14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통신언어의 용례를 구체적으로 보면서 양언어의 통신언어의 특징과 그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언어의 큰 특징은 일반적인 조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통신언어의 용례를 구체적으로 보면서 양언어의 통신언어의 특징과 그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언어의 큰 특징은 일반적인 조어법이나 언어규범에서 벗어난 의도적인 변환 미스를 일으킴으로써 시각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고, 동년배끼리의 연대의식이나 오락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 이외에도 타자수나 공간을 절약한다는 경제적인 기능도 있고 평소의 언어생활에서는 감히 사용할 수 없었던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일상생활로부터 행방되는 듯한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다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다수들 사이에서 눈이 띄게 되고 관심을 끌어내는 효과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들은 이와 같은 자유분방한 젊은 세대의 언어사용을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언어사용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표현이 언어변화의 결과물로써 남을 것인지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인지 그 추이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언어변화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도 이와 같은 통신언어(신조어 포함)는 일본어교육(또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では韓國語と日本語のインタ―ネット言語の用例を詳しくみながら、兩言語のインタ―ネット言語の特徵やその機能について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インタ―ネット言語の...

      本稿では韓國語と日本語のインタ―ネット言語の用例を詳しくみながら、兩言語のインタ―ネット言語の特徵やその機能について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インタ―ネット言語の大きな特徵は一般的な造語法や言語規範から離れた意圖的な變換ミスを行うことにより視覺的なイメ―ジを强調し、仲間同士の連帶意識や娛樂性を高めるという效果があるといえる。また、このような機能の他にも打數や空間を節約するという經濟的な機能もあるし、普段の言語生活では敢えて使えなかった表現を使うことにより日常生活から解放されたかのような效果も得られるわけである。それだけではなく、他の人とは異なる表現や表記を使うことにより、みんなの中から目立つようになり關心を引く效果もあるといえる。我我はこのような自由奔放な若者の言葉使用を規制するのではなく、一時的な言語使用である可能性もあると思い、新しい表現が言語變化の結果物として殘るか、使わなくなるか見守っていったほうがいいと思われる。さらに、新しい言語變化についていくためにも、このようなインタ―ネット言語(新語を含む)を日本語敎育(又は韓國語敎育)の現場で適切に活用しなければいけないと思う。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사연, "한국・호주・일본의 캠퍼스 언어에 대한 고찰 -생성・조어・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61-80, 2009

      2 안명란, "통신언어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신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태식, "통신언어의 변칙 사용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이경민, "통신언어의 국어학적 연구-게시판 언어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오영화, "통신언어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6 홍경하,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7 국립국어원, "통신 공간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댓글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원 2008

      8 변광섭, "컴퓨터 통신 언어에 대한 고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9 백경녀,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통신언어 및 일상언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이정복,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연구―고등학교 2학년 서울, 대구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국립국어원 2005

      1 윤사연, "한국・호주・일본의 캠퍼스 언어에 대한 고찰 -생성・조어・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61-80, 2009

      2 안명란, "통신언어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신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김태식, "통신언어의 변칙 사용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이경민, "통신언어의 국어학적 연구-게시판 언어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오영화, "통신언어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6 홍경하,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7 국립국어원, "통신 공간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댓글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원 2008

      8 변광섭, "컴퓨터 통신 언어에 대한 고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9 백경녀,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통신언어 및 일상언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이정복,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연구―고등학교 2학년 서울, 대구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국립국어원 2005

      11 이신옥, "채팅 언어를 통한 한·일 신조어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김형렬, "인터넷 통신에 쓰이는 외계어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월인 2003

      14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와 청소년 언어문화" 한국문화사 2006

      15 신기현, "세대별 통신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분석적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한성일, "설문 조사를 통해서 본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301-322, 2003

      17 이정복, "바람직한 통신언어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2000

      18 윤상한, "모바일 통신 언어에 대한 일고찰-한국어와 일본어에 나타난 양상을 통해" 한국일본어학회 9 : 2004

      19 김순임, "강조접두사 '초(超)'에 관한 일한 비교연구- 언어 접촉의 관점에서 -" 한국일본어학회 (19) : 30-46, 2007

      20 송민규, "가상공간의 신어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1 尹思姸, "韓日のキャンパス言葉に関する考察-造語法を中心に" 韓国日本言語文化学会 2008

      22 中野独人, "電車男" 新潮社 2004

      23 小矢野哲夫, "若者語は集団語か" 明治書院 25 (25): 2006

      24 米川明彦, "若者ことば研究序説" 大修館書店 35 (35): 2006

      25 米川明彦, "現代若者ことば考" 丸善ライブラリー 1996

      26 窪薗晴夫, "新語はこうして作られる" 岩波書店 2002

      27 井上逸兵, "ネット社会の若者ことば" 大修館書店 35 (35): 2006

      28 松田謙次郎, "ネット社会と集団語" 明治書院 25 (25): 2006

      29 中東靖恵, "キャンパスことば研究のこれまでとこれから in: すっきゃねん若者ことばの会" 2003

      30 한국인터넷진흥원, "2005 한국인터넷 통계집" 한국인터넷진흥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0.84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