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과 아바타에 대한 그들의 의식을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의 웹 가상문화에 대한 독특한 삶의 방식을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의도이다. 청소년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68880
2009
Korean
사이버문화 ; 아바타 ; 자아존중감 ; Cyber Culture ; Self-esteem ; Avatar
310
KCI등재
학술저널
197-204(8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과 아바타에 대한 그들의 의식을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의 웹 가상문화에 대한 독특한 삶의 방식을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의도이다. 청소년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과 아바타에 대한 그들의 의식을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의 웹 가상문화에 대한 독특한 삶의 방식을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의도이다.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시점으로 웹 문화가 청소년의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유저의 자존감과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 그리고 타인의 아바타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여 그들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웹사이버문화의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가 높게 상승하고 타인의 아바타를 인식하는 태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은 자기소유의 아바타에도 자기에 못지않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존감 형성과 수준 여하에 따라 건전한 웹 사이버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심리적 성숙면의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의 중요성이 인식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stic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perception of adolescents toward avatar in an attempt to understand basic aspects of their distinctive lifestyle fundamentally relative to the cyber culture on the web, given tha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stic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perception of adolescents toward avatar in an attempt to understand basic aspects of their distinctive lifestyle fundamentally relative to the cyber culture on the web, given that the adolescent which is significant in forming self-esteem peri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sychological aspect of adolescents.
As for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self-esteem of users, their preference for avatar, and the perception toward avatar,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maturity. The result of study indicated that the increased self-esteem in reality among the adolescents led to the increased preference for avatar relative to the cyber culture on the web, which in turn increased the recognition of others' avatars. Tho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tend to assign self-esteem to avatar as great as themselves. Thus, it may be important to help adolescents form their self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psychological maturity, so that a sound and healthy web culture can be formed depending on the formation and level of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경,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2 김유정,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이종혁, "청소년자살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총신대학교 2001
4 장혜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성향 및 예절수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6
5 김종래, "청소년의 소외와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교 2003
6 조동기, "사이버문화의 특성과 사회적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7 황상민, "사이버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2000
8 김홍규, "교육환경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8) : 20-28, 2005
9 이향재, "가상공간의 아바따라 캐릭터와 자아 동일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10 "http://www.web3d.pe.kr/av∼av.html"
1 김호경,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2 김유정,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이종혁, "청소년자살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총신대학교 2001
4 장혜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성향 및 예절수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6
5 김종래, "청소년의 소외와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교 2003
6 조동기, "사이버문화의 특성과 사회적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7 황상민, "사이버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2000
8 김홍규, "교육환경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8) : 20-28, 2005
9 이향재, "가상공간의 아바따라 캐릭터와 자아 동일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10 "http://www.web3d.pe.kr/av∼av.html"
11 Coopersmith, "The Antesecedent of self-esteen Califo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Inc. 1981
12 Tapscott and Don,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Net Generation" McGraw-Hill 1998
13 Suler and John, "Adolescents in Cyberspace" 2000
14 클라우스 슈밥, "21세기 예측" 매일경제신문사 2000
MMORPG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스토리텔링
크리스 랜드레스의 3D 단편 애니메이션 빙고(Bingo)에 나타난 부조리극 표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