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도 화교사회의 형성과 변화 : 1900년대∼1940년대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on the History of Overseas Chinese in Gangwon Province from the 1900`s to the 194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약 50년에 걸친 근대시기 강원도 화교의 형성과 역사를 인구의 추이, 경제활동, 그리고 화교배척사건과 중일전쟁의 영향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분...

      본고는 19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약 50년에 걸친 근대시기 강원도 화교의 형성과 역사를 인구의 추이, 경제활동, 그리고 화교배척사건과 중일전쟁의 영향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분명히 밝혀진 것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화교의 강원도 정착은 대체로 1900년대에 이뤄졌으며 1920년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조선화교 전체에서 강원도 화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 화교의 거주가 희박한 지역의 하나였다. 강원도 화교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산동성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둘째, 강원도 화교의 직업은 상인, 노동자, 농민이 중심이었으며, 타 지역에 비해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다. 화상은 포목상점과 잡화점을 경영하여 각 군에서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노동자는 수리조합, 철도, 도로공사의 노동자로 일했다. 농민은 상업 목적의 야채재배를 활발히 전개, 춘천의 경우 야채시장을 독점하는 지위를 차지했다. 또한 화교건축청부업자는 1910년대 풍수원성당, 용소막성당, 원주성당의 고딕식 붉은 벽돌 건물을 시공했다.
      셋째, 강원도화교는 1931년 7월 발생한 화교배척사건으로 큰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으며 타 지역보다 중국으로 귀국한 화교가 많았다. 그것은 강원도 화교 가운데 노동자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중일전쟁 때도 타 지역에 비해 많은 화교가 귀국하여 화교의 경제활동이 많이 위축되었다. 1938년 이후 인구가 점차 회복되었지만 이전의 인구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해방을 맞이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mainly on the population transition of Overseas Chinese ,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anti-Chinese movement in Gangwon Province during 50 years from the 1900`s through the 1940`s. The analysis giv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

      This paper examined mainly on the population transition of Overseas Chinese ,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anti-Chinese movement in Gangwon Province during 50 years from the 1900`s through the 1940`s. The analysis giv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overseas Chinese started to settle down in Gangwon Province in 1900s, their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the 1920s. But, Gangwon Province was a lower density of population that accounted for only 1-3% in the popul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y were mainly from Shantung Province in China. Secondly, their main job was merchants, workers, and farmers. Compared with other regions, worker`s share in their population was high. Chinese merchants managed dry-goods stores and general stores which formed influential force in respective areas in Gangwon Province. Chinese workers worked in the workplace of reservoirs, railroads, and roads as a coolie. Chinese farmers mainly cultivated vegetables and especially made a monopoly of supplying commercial vegetables in Chuncheon region. Chinese building contractors constructed religious building in the Gothic style with red bricks like this Pungsuwon, Yongsomak and Wonju Catholic Church in the 1910s. Thirdly, they were severely damaged by Korean rioters in anti-Chinese movement of 1931, and a great number returned home in china. The reason to have high ratio of returning home compared with other regions has relation to the high ratio of workers in their populatio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ught about much damage to weaken their economic activities. Their population started to recovery from 1938 according to their returning to Gangwon Province, but never amounted to their population of the previous w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중규, "화교학교의 역사를 통해서 본 화교문화의 형성과 변화" 역사문화학회 13 (13): 359-402, 2010

      2 이창호, "한국 화교의 사회적 공간과 장소 :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7

      3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4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5 이정희, "중일전쟁 시기 조선화교의 항일활동" 2016

      6 이은상, "중일전쟁 시기 원산화교의 동향과 화교경제" 역사연구소 (90) : 127-164, 2017

      7 "조선일보"

      8 이화승, "전주 화교사회를 통해 본 한국 화교의 고찰" 수선사학회 (26) : 263-284, 2006

      9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2010

      10 李玉蓮, "인천화교 사회의 형성과 전개" 인천문화재단 2008

      1 김중규, "화교학교의 역사를 통해서 본 화교문화의 형성과 변화" 역사문화학회 13 (13): 359-402, 2010

      2 이창호, "한국 화교의 사회적 공간과 장소 :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7

      3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4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5 이정희, "중일전쟁 시기 조선화교의 항일활동" 2016

      6 이은상, "중일전쟁 시기 원산화교의 동향과 화교경제" 역사연구소 (90) : 127-164, 2017

      7 "조선일보"

      8 이화승, "전주 화교사회를 통해 본 한국 화교의 고찰" 수선사학회 (26) : 263-284, 2006

      9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2010

      10 李玉蓮, "인천화교 사회의 형성과 전개" 인천문화재단 2008

      11 이은상, "생존과 친일 사이 -중일전쟁 시기 신의주화교의 동향-" 중국사학회 (106) : 123-156, 2017

      12 정병욱, "불온한 낙서, 불온한 역사―1940년 강원도 양구군 매동심상소학교 낙서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103) : 233-274, 2013

      13 조세현, "부산화교의 역사" 산지니 2013

      14 "매일신보"

      15 "동아일보"

      16 이정희, "근대 인천화교의 사회와 경제-인천화교협회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학고방 2015

      17 이원희, "강원지역 천주교사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18 "駐京城總領事館이 僑務委員會에 보고한 공문, 「汪僞政府駐朝鮮總領事館半月報告」, 『汪僞僑務委員會檔案』"

      19 "馬成仙 춘천화교협회장 인터뷰(2017년 3월 4일 춘천시 중화당한약방)"

      20 "郭元有 한성화교협회총무 인터뷰(2017년 4월 28일 한성화교협회 사무실에서)"

      21 朝鮮總督府警務局保安課, "治安狀況(昭和十三年, 江原道)" 1938

      22 李正熙, "朝鮮華僑と近代東アジア" 京都大??術出版? 2012

      23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統計年報 明治四十三年" 1912

      24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統計年報 大正六年" 1919

      25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統計年報 大正一年" 1914

      26 남조선과도정부, "朝鮮統計年鑑 一九四三年版" 1948

      27 小田內通敏, "朝鮮に於ける支那人の經濟的勢力" 7 : 1925

      28 朝鮮總督府警務局, "昭和六年七月 鮮內ニ於ケル支那人ノ排斥事件槪況" 1931

      29 朝鮮總督府, "昭和十九年五月一日 人口調査結果報告" 1944

      30 朝鮮總督府, "昭和五年 朝鮮國勢調査報告道編 第十一卷 江原道" 1934

      31 朝鮮總督府, "昭和五年 朝鮮國勢調査報告 全鮮編 第一卷 結果表" 1934

      32 김태웅, "日帝下 群山府 華僑의 存在形態와 活動樣相" 역사문화학회 13 (13): 397-439, 2010

      33 小島昌太郞, "支那最近代史年表" 有斐閣 1942

      34 朝鮮總督府警務局保安課, "支那中央政府成立に對する在留支那人及一般外國人の動向" (9) : 1940

      35 菊池一隆, "戰爭と華僑" 汲古書院 2011

      36 趙東杰, "太白抗日史" 江原日報社 1977

      37 海軍省, "外國人土地法關係(3) 黃海, 慶南, 江原" 防衛省防衛硏究所

      38 김희신, "吳武壯公祠의 유래와 韓國社會에서의 位相" 한국중국학회 (74) : 425-450, 2015

      39 이원희, "原州․橫城 지역의 천주교 전래와 정착 연구" 6 : 2001

      40 中國第二歷史檔案館, "南京國民政府 外交部公報" 江蘇古籍出版社 1990

      41 李求鎔, "『江原道 抗日獨立運動史』3" 1992

      42 조현범, "≪강원도 프랑스 선교사 선교집≫Ⅰ, Ⅱ-춘천교구 교회사 연구소, 2015" 48 : 2015

      43 김희신, "20세기 초기(1912-1931년) 한국 화교교육의 역사와 화교사회- 서울지역 화교소학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학회 (77) : 341-378, 2016

      44 이정희, "20세기 전반기 대구지역 화교의 경제적 활동 (1905~1955년)" 대구사학회 80 : 71-102, 2005

      45 문은정, "20세기 전반기 馬山地域 華僑의 이주와 정착" 대구사학회 68 : 155-182, 2002

      46 이은상, "20세기 전반(1912∼1936) 식민지 조선의 신의주화교" 중국근현대사학회 (70) : 53-88, 2016

      47 대한민국공보처통계국, "1952년 대한민국통계연감" 195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1.021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