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등학교 체육수업 만족도가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대처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atisfied Physical Education Clas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0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수업에서의 만족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체육수업은 학생들에게 신체적 능력을 극대화 시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수업에서의 만족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체육수업은 학생들에게 신체적 능력을 극대화 시키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지ㆍ덕ㆍ체를 겸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육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7부를 제외하고 343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2.0와 AMOS 23.0을 사용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mbach’s α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육수업만족이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보다는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데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높여주는 것이 학교폭력, 청소년문제와 자살 등의 부정적 요소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효율적인 교수법 개발과 체육수업시수를 늘려 학생들에게 체육수업에 대한 혜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ied physical education clas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stress. Physical education class helps students to enhance physical performance, manage healthy life, and equip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ied physical education clas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stress. Physical education class helps students to enhance physical performance, manage healthy life, and equip with knowledge, wisdom, physical combin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stress.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to distribute questionaires to 350 high school students in humanities course within Jeollabuk-do area. Out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343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fter the data cleaning process. SPSS 22.0 and AMOS 23.0 software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and value of Cronbach’s α were drawn for the cred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 a result of the effect of satisfied physical education clas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stress,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ss coping strategies. Thus, increasing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may contribute to reduce negative factors among adolescents such as bullying at school, problematic youth, suicide and so on. Also, practical method of teaching and increasing hour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정우,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스트레스 인지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2 (52): 171-182, 2013

      2 박병기,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63-585, 2012

      3 이준엽, "체육교사의 이미지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오미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15 : 63-95, 1994

      5 양종훈, "직장인들의 주5일제 근무시행에 따른 여가활동 형태와 여가만족도의 차이" 4 (4): 157-166, 2006

      6 유찬미,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교과교육연구소 19 (19): 875-895, 2015

      7 강혁찬,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과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정성화,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따른 체육수업 스트레스 및 수업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박성민, "중학교 체육교과서 여가활동영역 내용 및 적용실태 분석" 한국체육학회 54 (54): 453-462, 2015

      10 양혜원, "주5일 근무제의 효과 분석: 여가행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213-242, 2009

      1 오정우,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스트레스 인지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2 (52): 171-182, 2013

      2 박병기,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63-585, 2012

      3 이준엽, "체육교사의 이미지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오미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15 : 63-95, 1994

      5 양종훈, "직장인들의 주5일제 근무시행에 따른 여가활동 형태와 여가만족도의 차이" 4 (4): 157-166, 2006

      6 유찬미,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교과교육연구소 19 (19): 875-895, 2015

      7 강혁찬,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과 학업 스트레스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정성화,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따른 체육수업 스트레스 및 수업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박성민, "중학교 체육교과서 여가활동영역 내용 및 적용실태 분석" 한국체육학회 54 (54): 453-462, 2015

      10 양혜원, "주5일 근무제의 효과 분석: 여가행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213-242, 2009

      11 김소정, "주 5 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직장인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03

      12 이철원, "웰빙을 원한다면 여가를 경영하라" 이치 2008

      13 박승복,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문화체육관광부,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3

      15 오순근, "스포츠참가와 도덕성발달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6 송준석, "문화지체현상과 그 교육적 대안" 27-37, 1998

      17 박세혁, "디지털시대의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가림출판사 2010

      18 강경환, "남자고등학생의 여가제약 및 사회적지지 지각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 (49): 331-339, 2010

      19 박지혜, "남자 고등학생들의 2년간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만도가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 (49): 403-411, 2010

      20 김지태, "고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여가스포츠참가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7-26, 2010

      21 朴庸植, "兒童의 學業 스트레스와 學業成績과의 關係"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2 McCubbin, H. I., "The family stress process :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6 : 7-37, 1983

      23 김계수, "Amos 18. 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