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칭어 ‘선생님’ 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대학에서의 표준형과 변이형 사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2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직함 호칭어뿐만 아니라 통칭적 호칭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호칭어 ‘선생님’을 사회언어학적으로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선생님’의 기능과 그 쓰임을 고찰하고 화자...

      이 논문은 직함 호칭어뿐만 아니라 통칭적 호칭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호칭어 ‘선생님’을 사회언어학적으로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선생님’의 기능과 그 쓰임을 고찰하고 화자들의 실제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또한 호칭어 ‘선생님’에 대한 언어 화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문지 조사를 한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첫째,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언어예절’에서 나타난 의미와 그 용례를 조사하여 호칭어 ‘선생님’의 기능 및 쓰임을 살펴본다. 둘째, 호칭어 ‘선생님’의 변이형을 조사하여 그 사용 양상을 매체를 통한 사례로 그 실제 쓰임을 분석한다. 셋째, 대학생과 교수집단을 대상으로 호칭어 ‘선생님’의 쓰임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표준국어대사전’과 ‘표준언어예절’에 나타난 ‘선생님’의 기능을 살펴본 바 사전에서의 지시적 의미가 편협함을 알 수 있었다. 매체를 통한 변이형의 사용 양상분석과 언어 화자의 인식 조사를 통해 선생님의 표준형과 변이형이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소 사용상의 차이가 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t usages and functions of the term ‘seonsangnim’ as a form of address and conduct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on the cognition(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this term. Our study consists of th...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t usages and functions of the term ‘seonsangnim’ as a form of address and conduct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on the cognition(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this term. Our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we collect the different functions and usages of ‘seinsangnim’ by examining the various meanings and corresponding examples in the ‘Pyojungugeodaesajeon(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Pyojuneoneoyeojeol(standard Korean language manners)’, which were both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we analyze the actual usage of the term ‘seonsaengnim’ by examining the usages of colloquial variants such as ‘saem’, ‘ssaem’, ‘saemnim’ from a corpus of cell phone text messages and forum posts from two web portal sites. Third, we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the term through a questionnaire on various social elements such as gender, age, formal, intimacy and setting. We can conclude that ‘seonsaengnim’ has simple and biased meaning in the dictionary. And Three variants of ‘seonsaengnim’ were used somewhat differently according to people, intimacy, politeness etc.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reveals that people use the standard from and variants of ‘seosaengnim’ differently due to social el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호칭어 ‘선생님’의 기능과 쓰임
      • 3. ‘선생님’ 변이형의 사용 양상
      • 4. ‘선생님’의 인식 조사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호칭어 ‘선생님’의 기능과 쓰임
      • 3. ‘선생님’ 변이형의 사용 양상
      • 4. ‘선생님’의 인식 조사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숙,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1-24, 2002

      2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3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4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의 체계" 한국사회언어학회 5 (5): 507-528, 1997

      5 고성환, "한국어 교재의 호칭․지칭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1 (1): 29-57, 2009

      6 "표준언어예절"

      7 "표준국어대사전"

      8 김선철, "통신언어 준말의 형성에 대한 음운론·형태론적 고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1) : 115-129, 2011

      9 이정복, "통신 언어로서의 호칭어 ’님‘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8 (8): 193-221, 2000

      10 유원호, "타이틀과 호칭어로 쓰이는 직업명: 일곱 개 언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언어연구소 (50) : 147-170, 2011

      1 강희숙,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1-24, 2002

      2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3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4 박정운, "한국어 호칭어의 체계" 한국사회언어학회 5 (5): 507-528, 1997

      5 고성환, "한국어 교재의 호칭․지칭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1 (1): 29-57, 2009

      6 "표준언어예절"

      7 "표준국어대사전"

      8 김선철, "통신언어 준말의 형성에 대한 음운론·형태론적 고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1) : 115-129, 2011

      9 이정복, "통신 언어로서의 호칭어 ’님‘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8 (8): 193-221, 2000

      10 유원호, "타이틀과 호칭어로 쓰이는 직업명: 일곱 개 언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언어연구소 (50) : 147-170, 2011

      11 최수민, "준말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이정복, "인터넷 통신언어의 이해" 월인 2003

      13 채서영, "영어의 타이틀과 한국어의 직함 호칭어: 조건과 발달과정 비교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317-340, 2008

      14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5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16 강주영, "방송언어의 호칭어 사용 양상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7 손춘섭, "교수 사회의 대우법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149-192, 2003

      18 이선화, "공공 상황에서의 한국어 호칭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9 이승민, "‘선생님’ 호칭 사용에 관한 한일대조연구" 언어과학회 (59) : 283-302, 2011

      20 국립국어원, "[단행본] 표준국어 대사전" 두산동아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