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6월 25일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했을 때 중국은 ‘조선전쟁’이라고 불렀으나, 10월 중국인민지원군(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이 참전하면서 ‘抗美援朝戰爭’으로 명명하였다. 당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 6월 25일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했을 때 중국은 ‘조선전쟁’이라고 불렀으나, 10월 중국인민지원군(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이 참전하면서 ‘抗美援朝戰爭’으로 명명하였다. 당시 ...
1950년 6월 25일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했을 때 중국은 ‘조선전쟁’이라고 불렀으나, 10월 중국인민지원군(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이 참전하면서 ‘抗美援朝戰爭’으로 명명하였다. 당시 ‘抗美’는 ‘保家衛國’이라는 애국주의 구호이고, ‘援朝’는 위험에 처한 형제나라 ‘조선’을 도와준다는 국제주의 구호이다. 그런데 항미원조전쟁은 조국 방어와 조선을 돕는 전쟁을 넘어, ‘인민해방군의 현대화 건설, 국내경제건설, 대중동원, 애국주의 정신, 중국의 대국지위’ 등 정치․외교․군사적으로 중요한 주제와 관련되며, 사회 각 방면의 인적․물적․사상적 지원 하에 추진된 총력전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전방위적인 항미원조를 책임 지도한 사람은 바로 총리이자 외교부장이며, 중앙군사위 부주석인 周恩來이다. 당시 중국의 외교와 내정이 周恩來에게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周恩來는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작전 지휘, 인민지원군 편성․간부배치․무기장비 조달․병력보충 등 군사업무 뿐 아니라, 후방 지원과 물자공급, 국가관리와 외교담판, 정전협상 등 수많은 과제들을 책임지고 처리한 항미원조전쟁의 실질적 지도자였다.
본 논문은 1950년 신생중국의 군사와 경제 상황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는 周恩來가 왜 어떤 논리로 강대국 미국과 전쟁을 결정하고 인민지원군을 출병시키게 되었으며, 항미원조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추진한 항미원조운동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인민지원군 참전 이후 중국은 북한에게 후원자(patron)인 소련보다 중요한 구원자(savior)가 되었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과 전쟁을 조기에 종결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였다. 정전협상이 장기화되면서 협상과정에서 막대한 물적 인적 피해를 입고 있던 북한은 군사분계선 설정 이후 즉시 전투중지를 원한 반면, 중국은 정전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전투를 계속하고 북한의 요구를 무시하였다. 이어 정전회담이 포로교환문제에서 막히자, ‘일면협상, 일면전투’의 시기가 무려 2년 이상 지속되면서 전쟁의 참혹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되자, 周恩來는 미국을 압박하여 정전협정을 체결케 한 중국의 승리이며, 미 제국주의에 대항해 이길 수 없다는 신화를 타파하였고, 제국주의가 중국을 쉽게 무력 침략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강조하고, 이를 통해 중화민족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고양시키고자 하였다. 그런데 항미원조전쟁 관련 한국에 대한 중국의 태도가 급변하고 있다. 최근 중국은 인민지원군 유해반환으로 시작된 한국과의 전쟁 유산의 해결을 위한 협력을 진전시키고 있으며, 시진핑 주석도 중국군 유해송환에 한국측이 도움을 준 데 대해 감사를 표시하였다. 앞으로 항미원조전쟁을 지휘하였고 정전협정을 체결한 당사자인 중국과 정전협정의 남은 문제들도 평화롭게 해결하도록 한중 양국이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war erupted on the Korean peninsula on June 25, 1950, China initially labeled it the ‘Korean War.’ However, as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began to intervene in the war by October of the same year, China officially referred to it as...
When war erupted on the Korean peninsula on June 25, 1950, China initially labeled it the ‘Korean War.’ However, as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began to intervene in the war by October of the same year, China officially referred to it as the ‘War to Resist U. S. Aggression and Aid Korea.’ To ‘Resist the United States’ (抗美) at the time represented the jingoistic slogan ‘Protect our homes and defend our country’ (保家衛國). ‘Aid Korea’ (援朝) stood for a slogan of internationalism to help the endangered brother country ‘Joseon.’ Nevertheless, from simply defending the home country, the War to Resist U. S. Aggression and Aid Korea transformed into a war involving major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matters for China such as modernizing the People’s Liberation Army, developing its domestic economy, utilizing mass mobilization and jingoism, and achieving the status of a power player in the world. For China, the War to Resist U. S. Aggression and Aid Korea was an all-out war that drew upon human, material and ideological support from all corners of the Chinese society. Such omnidirec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aid toward Korea was overseen by Zhou Enlai(周恩來), then Premier and first Foreign Minist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o was also the vice chairman of the Military Commis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Zhou Enlai was at the center of China’s domestic and diplomatic affairs at the time. Hence, not only was he naturally involved in making policy decisions, but he was also involved in managing military affairs, for example, directing military operations, organizing the People’s Volunteer Army, procuring weapons and equipment and dispatching reinforcements. Zhou was the de facto leader responsible for handling many tasks related to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such as providing rear support and war supplies, dealing with internal political affairs or engaging in diplomatic negotiations and negotiations for an armistice agreement.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ationale behind Zhou Enlai’s decision to go to war with the United States and dispatch the People’s Volunteer Army when he was well aware of the difficult military and economic circumstances China was facing in 1950 as a newly established nation. The paper thereafter reviews the movement to resist the United States and aid Korea, which was initiated to successfully intervene in the war. The entry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nto the war promoted China to become a savior of North Korea. However, China lost its opportunity with the United States to end the war early. As negotiations for an armistice agreement prolonged, North Korea wished to immediately cease fire after install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because it had been gravely suffering from human and material damages. Meanwhile, China ignored North Korea’s wishes and continued to engage in combat to gain an advantage in the negotiations. When talks reached a standstill while discussing a system to repatriate prisoners of war, a stalemate of two years went by ‘negotiating on the one hand and battling on the other,’ which led to brutal outcomes of war.
When the armistice agreement was finally signed in July 1953, Zhou Enlai deemed it as a victory for China from successfully pressuring the United States into signing the agreement. Zhou intended to boost the confidence and self-esteem of the Chinese people by stressing that imperialistic forces would not be able to easily attempt an invasion of China since the myth had been broken that defying American imperialism shall fail. Yet, China no longer persisted in resisting the United States and supporting Korea as it did in the 1950s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the home country. China’s attitude toward Korea regarding the Korean War seems to be changing rapidly as of late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expressing gratitude to...
참고문헌 (Reference)
1 牛軍, "冷戰與中國外交決策" 九州出版社 2013
2 세르게이 곤자로프, "흔들리는 동맹-스탈린과 마오쩌둥 그리고 한국전쟁" 일조각 2011
3 시메이 칭, "한반도에서 미국과 중국의 대결:위기의 시대에 양국은 서로를 어떻게 평가했는가?" 10 : 2012
4 박종철,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선인 2012
5 김학준, "한국전쟁-원인·과정·휴전·영향" 박영사 2010
6 김계동, "한국전쟁은 더 빨리 끝날 수 없었는가?-평화중재의 시도와 좌절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67-104, 2012
7 임우경,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반미대중운동과 아시아 냉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0) : 131-162, 2011
8 梁鎭三,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2"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02
9 楊奎松,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01
10 왕원주, "한국전쟁기간 중국의 군비지출과 대북지원" 인문학연구원 52 : 245-278, 2011
1 牛軍, "冷戰與中國外交決策" 九州出版社 2013
2 세르게이 곤자로프, "흔들리는 동맹-스탈린과 마오쩌둥 그리고 한국전쟁" 일조각 2011
3 시메이 칭, "한반도에서 미국과 중국의 대결:위기의 시대에 양국은 서로를 어떻게 평가했는가?" 10 : 2012
4 박종철,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선인 2012
5 김학준, "한국전쟁-원인·과정·휴전·영향" 박영사 2010
6 김계동, "한국전쟁은 더 빨리 끝날 수 없었는가?-평화중재의 시도와 좌절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67-104, 2012
7 임우경,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반미대중운동과 아시아 냉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0) : 131-162, 2011
8 梁鎭三,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2"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02
9 楊奎松,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01
10 왕원주, "한국전쟁기간 중국의 군비지출과 대북지원" 인문학연구원 52 : 245-278, 2011
11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전쟁과 휴전체제" 집문당 1998
12 이상면, "한국전쟁과 휴전의 당사자 문제" 대한국제법학회 52 (52): 233-257, 2007
13 정태욱, "한국전쟁과 평화의 법 - 한국전쟁 60주년 심포지엄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3) : 15-16, 2010
14 楊奎松,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15 박두복,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16 沈志華,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17 章百家,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18 이완범,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19 牛軍, "한국전쟁과 중국" 백산서당 2001
20 김보영, "한국전쟁 휴전회담 협상전략과 지휘체계" 한국사학회 (90) : 337-374, 2008
21 정태욱, "한국전쟁 종결의 부정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3) : 105-148, 2010
22 와다 하루끼, "한국전쟁" 창작과비평사 1999
23 김명섭, "한국군은 6.25전쟁 정전협정의 당사자인가?"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105-128, 2013
24 Chae-Jin Lee,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25 라종일, "증언으로 본 한국전쟁" 예진 1991
26 洪學智, "중국이 본 한국전쟁" 고려원 1992
27 허동욱,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전략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6) : 157-194, 2010
28 홍면기, "중국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변화" (4) : 2002
29 김경일,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기원" 논형 2005
30 우병국, "중국의 한국전쟁 연구현황에 관한 분석" 아태지역연구센터 29 (29): 189-214, 2005
31 김옥준, "중국의 한국전 참전과 국내정치:참전의 대내적 요인과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225-250, 2002
32 창일, "중국의 한국전 개입에 대한 미국의 정책과 전략" 42 : 2001
33 이병주, "중국의 한국전 개입과 그 영향" (특집) : 1990
34 David Tsui, "중국의 6․25전쟁 참전" 17 (17): 2010
35 최북진, "중국의 6·25 전쟁 종결전략 연구" 대전대학교 2013
36 이광열, "중국 주은래 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37 박실, "중국 공문서와 자료로 본 중공군의 한국전쟁" 청미디어 2013
38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중공군의 한국전쟁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39 박영실, "정전회담을 둘러싼 북한 중국 갈등과 소련의 역할" 북한대학원대학교 14 (14): 43-80, 2011
40 김보영, "정전협정과 전쟁의 유산" 한국역사연구회 (88) : 3-15, 2013
41 리핑, "저우언라이평전" 한얼미디어 2004
42 야스다 준, "일본의 6․25전쟁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43 김보영, "연구동향 : 한국전쟁 휴전협정과 전쟁의 유산" 한국역사연구회 (80) : 345-359, 2011
44 이종석, "북한-중국관계 1945~2000" 중심 2000
45 沈志華, "마오쩌둥 스탈린과 조선전쟁" 선인 2010
46 중국해방군화보사, "그들이 본 한국전쟁 1-抗美援朝-중국인민지원군" 눈빛출판사 2005
47 이완범, "그들이 본 한국전쟁 1-抗美援朝-중국인민지원군" 눈빛출판사 2005
48 정부기록보존소, "韓國戰爭과 中國-韓國戰爭關聯中國資料選集" 2002
49 李東朗, "細說周恩來" 河南人民出版社 1998
50 田進朱靑, "硏究周恩來-外交思想與實踐" 世界知識出版社 1989
51 中華人民共和國中共中央文獻硏究室, "毛澤東外交文選" 央文獻出版社․世界知識出版社 1994
52 解力夫, "朝鮮戰爭實錄 上下卷" 世界知識出版社 1993
53 服部隆行, "朝鮮戰爭と中國" 溪水社 2007
54 瀋陽抗美援朝烈士陵園, "抗美援朝烈士永垂不朽"
55 石善福, "抗美援朝記念館" 臺海出版社 2000
56 陳忠龍, "抗美援朝戰爭論" 軍事議文出版社 2001
57 當代中國叢書編輯委員會, "抗美援朝戰爭"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0
58 李金明, "战争与和平的理性抉择——试析周恩来在朝鲜停战谈判中坚持原则性与灵活性的统一" (4) : 2003
59 羅銀勝, "喬冠華傳-紅色外交家的悲喜人生" 文化藝術出版社 2012
60 中共中央文獻硏究室, "周恩來年譜(1949~1976) 上下卷" 中央文獻出版社 1997
61 中共中央文獻編輯委員會, "周恩來選集 下" 人民出版社 1980
62 周恩來軍事活動紀事編寫組, "周恩來軍事活動紀事(1918~1975) 下卷" 中央文獻出版社 2000
63 中共中央文獻硏究室, "周恩來軍事文選" 人民出版社 1997
64 張民, "周恩來與抗美援朝戰爭" 上海人民出版社 2000
65 外交部外交史硏究室, "周恩來外交活動大事記, 1949~1975" 世界知識出版社 1993
66 中共中央文獻硏究室, "周恩來傳" 中央文獻出版社 1998
67 劉金質, "中國對朝鮮和韓國政策文件匯編Ⅰ(1949~1952)․Ⅱ(1953~1957)"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68 軍事科學院軍事歷史硏究所, "中共軍의 韓國戰爭史:抗美援朝戰史" 세경사 1991
69 김학재, "‘냉전’아시아의 탄생:신중국과 한국전쟁" 문화과학사 2013
70 백진현, "6․25의 국제법적 성격과 휴전협정" 41 (41): 2001
71 이옥정, "6·25전쟁이 중국외교에 미친 영향(1949-1978)"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5) : 35-68, 2007
72 최북진, "6·25전쟁 시 중국의 전쟁종결전략 결정요인 분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5) : 247-292, 2012
73 조학공, "625전쟁이 중국군사에 미친 영향"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5) : 1-34, 2007
74 徐勇, "20세기 중국의 지역전략과 항미원조 전쟁과의 관계" 6 : 2007
75 손해룡, "1950년대 “항미원조운동” 중 나타난 한반도 인식 ― 국내 시사선전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9) : 155-190, 2011
만주의 모더니즘시-안자이 휴유에(安西冬衛) 군함 마리(軍艦茉莉) 시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0.9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3 | 1.73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