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金昌翕의 丹丘 유람과 문학적 형상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myun(三淵) Kim Chang-heup(金昌翕, 1653-1722)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format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true literature with realistic elements through sightseeing tours. It is presumed that the unique poetic style and the material s...

      Samyun(三淵) Kim Chang-heup(金昌翕, 1653-1722)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format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true literature with realistic elements through sightseeing tours. It is presumed that the unique poetic style and the material shown in the poetic world of Kim Chang-heup would have been done in the process of effectively writing poems with the impressions inspired by the sightseeing tour. This paper examines the journey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recording the progress and expression of when Kim Changheup at the age of 36 traveled to the Danyang(丹陽) area. Kim Chang-heup traveled to four districts such as Danyang, Jecheon, and Youngwol(寧越) to accompany Kim Chang-hyup who served as a prefecture governor of Chungpung when he went up to Seoul and returned to the place of his appointment in 1688 (King Sukjong 14 years). On this journey, Kim Changheup created the journey of “Dangu Diary” and 220 classical Chinese poems. In particular, the classical poems were organized and distributed with Dangulok. Through these works, you can confirm the reality of the excursion.
      Kim Chang-Heup impressively watched the journey going up the Han River by boat, detailing and recording the difficulties of the inspiration and the water way which had not been experienced before. Kim Chang-Heup accompanied 10 delegates including Chungju governor to the Dangu excursion. Kim Chang-Heup shared his fascination with the other people, by blowing the flute directly and getting a flavor of the journey, as an example. On the other hand, on the Yungwol excursion that he took alone, he becomes drenched in loneliness and sorrow. For this reason, he had mainly created works that revealed a pleasure from meditation in Jungbangsssa, where he visited at the end of his itinerary. Kim Chang-Heup also created many poems in his way back. This is the reason why he was filled with emotion again, even though he had already seen the landscape, or he encountered scenery that he had never seen.
      Thus, Kim Chang-Heup left a lot of prose records and creations of classical Chinese poems during one-month long tour to the four districts. It contains everything he saw, heard, and felt through the excursion, such as the various aspects of cruising on the ship, the pleasure of the accompanying people, and the sorrow and meditation that he felt alone. In the case of classical Chinese poems, they were organized and distributed as Dangurok and became the mediator of memory to the accompanying people taking the journey together. In addition, the surrounding characters and later writers became enthusiastic about the excursion to the four districts and created momentum to trigger the future journey to the four distri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乘船 유람의 설렘과 새로운 見聞
      • 3. 四郡 유람의 흥취와 애상감
      • 4. 歸路에서의 회고와 아쉬움
      • 5. 결론
      • 1. 서론
      • 2. 乘船 유람의 설렘과 새로운 見聞
      • 3. 四郡 유람의 흥취와 애상감
      • 4. 歸路에서의 회고와 아쉬움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洪世泰, "柳下集" 고전번역원

      2 김남기, "洛誦樓詩社의 활동과 詩社의 의의" 우리한문학회 25 : 141-171, 2011

      3 윤경희, "金昌翕의 丹丘日記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1) : 157-180, 2004

      4 김종혁, "조선후기 한강유역의 교통로와 시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남기,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경수, "삼연 김창흡 한시의 금강산 표현" 인문과학연구소 (44) : 55-80, 2015

      7 金南基, "金昌翕의 산수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안득용, "金昌翕 <東遊小記> 연구: 可遊者記의 서술 양상과 그 흐름에 대한 고찰을 겸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175-205, 2016

      9 金昌協, "農巖集" 고전번역원

      10 구본현, "船上 창작 漢詩의 특징과 의미" 한국한문고전학회 36 (36): 1-28, 2018

      1 洪世泰, "柳下集" 고전번역원

      2 김남기, "洛誦樓詩社의 활동과 詩社의 의의" 우리한문학회 25 : 141-171, 2011

      3 윤경희, "金昌翕의 丹丘日記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1) : 157-180, 2004

      4 김종혁, "조선후기 한강유역의 교통로와 시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남기,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경수, "삼연 김창흡 한시의 금강산 표현" 인문과학연구소 (44) : 55-80, 2015

      7 金南基, "金昌翕의 산수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안득용, "金昌翕 <東遊小記> 연구: 可遊者記의 서술 양상과 그 흐름에 대한 고찰을 겸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175-205, 2016

      9 金昌協, "農巖集" 고전번역원

      10 구본현, "船上 창작 漢詩의 특징과 의미" 한국한문고전학회 36 (36): 1-28, 2018

      11 盧守愼, "穌齋集" 고전번역원

      12 이태희, "朝鮮時代四郡山水遊記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13 金昌翕, "三淵集" 고전번역원

      14 한영, "三淵金昌翕의 日記體遊記硏究" 한남대 2018

      15 李鍾虎, "三淵 金昌翕의 詩論에 關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16 李勝洙, "三淵 金昌翕 硏究"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17 정호완, "‘사열이(沙熱伊/省熱)’의 형태와 의미" 23 : 77-93, 2001

      18 이경수, "18세기 한시에 나타난 설악산의 심상(心象) -삼연 김창흡과 그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32 : 67-99, 2012

      19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출판 1999

      20 안득용,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산수유기 연구 :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