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 전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Exhib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3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그림책 전시가 원화작품과 작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단순한 관람용 도구로서가 아니라, 그림책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고 확장시키...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그림책 전시가 원화작품과 작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단순한 관람용 도구로서가 아니라, 그림책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고 확장시키기 위한 매체로 인식하고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그림책 전시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며 그림책 전시의 논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가 진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수도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 곳의 그림책 전시를 찾아가 공간과 전시품의 전시 상황을 살피고 전시의 기획적 특성과 전시공간의 구성적 특성을 체크리스트를 통해 살펴보고 체크하는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림책이 지닌 독특성이 전시 공간 안에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 살피기 위하여 전시공간, 전시품, 관람자의 관점에서 전시의 특성을 바라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그림책 전시구성은 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전시구성의 내용과 그 형식이 달라졌다. 이때 전시의 내용은 전시를 구성하는 형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전시공간 구성에서 작품공간과 도서공간, 통로와 로비는 모든 그림책 전시에 포함되었고, 체험공간과 휴게공간, 영상공간, 아카이브룸은 전시의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되었다. 셋째, 그림책 전시는 전시를 구성하는 전시공간, 그림책, 관람객 그리고 그들 간에 이루어지는 소통을 통해 의미가 재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림책 전시는 그림책의 그림을 예술적 가치를 지닌 미술작품으로서 관람객에게 풍부한 미적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서사가 담겨져 있다는 그림책의 특성을 전시공간 내에서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그림책 전시는 기획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연령층을 아우르고 있는 그림책 전시의 특성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환경 그리고 더불어 관람자(독자)들의 요구도에 따라 변모하고 있음은 틀림이 없다. 책으로서만 머무르지 않고 독자들에게 찾아오고 있는 이러한 그림책 전시의 특성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심미적 문화적 자원으로서 그림책 전시 방안을 제시할 뿐 아니라 그림책 전시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돌아보고 기획자로서 뿐 아니라 독자로서 그림책을 감상하는 한 방법으로 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active in various types in every walk of life could be an object of independent research to reflec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not as a simple appreciation tool to help und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active in various types in every walk of life could be an object of independent research to reflec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not as a simple appreciation tool to help understand the authors as well as original pictures,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recogn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exhibition of new picture books according to each different scale and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mposition and significance of the uniqueness of picture books in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 results, first, the exhibition composition of the picture books has different contents and types of exhibition compositions based on the intentions of the planners. At this point, the exhibition contents showed close relevance with the type composing the exhibition. Second,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work space, library space, passage and lobby were all involved in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and the experience space and rest space, video space and archive were selectively includ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Third, it was realiz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can be recomposed through communications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picture books, and audience.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expo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exhibition space for which the pictures not only provide an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to the audience as a work of art with artistic values but also provide descriptions. The picture books in the exhibition hall become recompos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exhibition planner, contain different messages and compose significance by audience`s participation. Then,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embraces various ages when the exhibition planner for the picture books reflects the plan about the composition methods on the objects, purposes and methods to in the planning. It can be expected th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not only suggests the exhibition methods for picture books as aesthetic and cultural resources but also examines our perspective on the exhibition of picture books and provide a direction for exhibitions in the appreciation course of picture books as planners and readers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연,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59-79, 2013

      2 최혜경, "함께, 참여하는 미술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3 심향분,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15-139, 2014

      4 심향분,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9-37, 2013

      5 김영욱,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장아빔(Mise-en-Abyme)-나의 빨강책과 시간상자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4) : 91-120, 2012

      6 Sipe, L. R., "포스트모던 그림책" 교문사 2010

      7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07

      8 김형숙, "전시에 있어서 재현의 의미" 14 : 121-147, 2000

      9 한진희, "섬유 콜라주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10 최유나, "서사적 구조에 의한 역사계 박물관 전시 연출에 관한 연구 -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149-158, 2011

      1 정혜연,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4 (14): 59-79, 2013

      2 최혜경, "함께, 참여하는 미술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3 심향분,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15-139, 2014

      4 심향분,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9-37, 2013

      5 김영욱,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장아빔(Mise-en-Abyme)-나의 빨강책과 시간상자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4) : 91-120, 2012

      6 Sipe, L. R., "포스트모던 그림책" 교문사 2010

      7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07

      8 김형숙, "전시에 있어서 재현의 의미" 14 : 121-147, 2000

      9 한진희, "섬유 콜라주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10 최유나, "서사적 구조에 의한 역사계 박물관 전시 연출에 관한 연구 -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149-158, 2011

      11 김형숙, "미술, 전시, 미술관" 예경 2001

      12 이성엽, "모든 연령층을 위한 그림책" 14 (14): 134-143, 2016

      13 백령, "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 예경 2005

      14 이소현, "만화전시의 성격과 전시 기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15 조희윤, "만화 전시기획의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국내 만화전시 동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6 황순선, "레오 리오니 우화 그림책에 나타난 예술적 창의성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3 (13): 27-36, 2012

      17 박상경, "독립운동가 기념관의 공간특성 및 전시연출 분석" 18 (18): 219-222, 2016

      18 성승은, "글과 그림의 서사: 체계기능언어학으로 본 ‘확장’ 그림책 번역" 한국번역학회 17 (17): 55-80, 2016

      19 우현옥, "그림책의 콘텐츠 활용 연구 - 구름빵의 서사 발전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35) : 31-49, 2014

      20 김정선, "그림책의 의미작용 : 이중서술체계와 매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21 이차숙, "그림책의 시각적 서사 장치 특성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45-167, 2013

      22 김수미, "그림책의 성인독자"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1 (11): 179-200, 2010

      23 박은영, "그림책의 문학성과 놀이 양상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4

      24 현은자, "그림책의 그림읽기" 마루벌 2008

      25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그림책을 펼치다: 한국 창작 그림책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전시실 2016

      26 서정숙, "그림책에 나타난 이웃의 특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53-77, 2014

      27 박현경,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 성폭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57-184, 2013

      28 곽영미, "그림책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과 아동의 미적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29 이유림, "그림책 화면구성에서 샷(Shot)효과 활용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393-403, 2012

      30 현정희,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25-147, 2009

      31 유주연, "그림책 『어느날』의 창작과정"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0

      32 KBBY, "국제도서전 참가된 전시 목록"

      33 양지연, "교육적 매체로서의 박물관 전시와 의미생성" 2 (2): 45-64, 2007

      34 정혜연, "공유된 해석을 통한 소장품의 맥락적 이해- 미취학 초등저학년을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 한국미술교육학회 28 (28): 171-196, 2014

      35 Hooper-Greenhill, E.,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Routledge 17-26, 1994

      36 Silverman, L. H., "Taking a wider view of museum outcomes and experiences: Theory, research and magic" 23 (23): 8-, 2002

      37 Hooper-Greenhill, E., "Museums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Routledge 2000

      38 Raabe, C., "Hello, Dear Enemy! picturebooks for peace and humanity. Remarks on the international youth library exhibition" 54 (54): 57-61, 2016

      39 Beckett, S. L., "Crossover picturebooks; A genre for all ages" Routledge 2012

      40 Nikolajeva, M., "Art, narrative and childhood" Trentham Books 37-4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