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장애인 당사자 및 정신건강 전문가가 인식하는 자기결정과 동기에 관한 연구-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Motivation Perceived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Focusing on Self-determin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4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Ryan and Deci(1985)의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기결정과 동기 및 주요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대한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정신건강 전문가의 인식을 탐색해...

      본 연구는 Ryan and Deci(1985)의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기결정과 동기 및 주요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대한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정신건강 전문가의 인식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장애인 5명 및 정신건강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적 행동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지만, 독립생활 등과 같은 외적 동기로 인한 자기결정적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에 영향을 주는 심리욕구 중 관계성이 높았으며, 관계성을 중심으로 자율성과 유능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회복을 통한 지지적이고 성공적인 자기결정 경험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절한 약물관리와 변화를 위한 자극의 제공을 통한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삶의 결정권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war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at were presented in Ryan and Deci’s self-determination theory(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war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at were presented in Ryan and Deci’s self-determination theory(1985) as important psychological needs. For this, 5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13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often lack in self-deterministic behavior. but their self-deterministic behavior tend to increase when external motivations such as parents’ death, separation from family etc. forced them to live an independent life. Second, among psychological needs that affect self-determination, the ‘relatedness’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self-determin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autonomy and competence based on related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supportive and successful self-determination experience through recovery of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Fourth,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tha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emselves become life's decision maker through proper drug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centives for change. Lastly, sever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나미, "학교폭력 피해청소년과 가족 대상 실천적 지원방안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55-81, 2014

      2 김기덕,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9) : 83-113, 2008

      3 박정임,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사회복지사와 당사자의 주관적 인식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599-633, 2010

      4 김철권,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한 정신분열병의 정신사회재활 효과" 2 (2): 52-66, 1997

      5 김이영,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125-151, 2010

      6 안은선,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동기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 24 (24): 279-289, 2015

      7 최수진,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이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8 안정은, "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참여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이영,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와 재활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623-638, 2006

      10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7-201, 2009

      1 홍나미, "학교폭력 피해청소년과 가족 대상 실천적 지원방안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55-81, 2014

      2 김기덕,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9) : 83-113, 2008

      3 박정임,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사회복지사와 당사자의 주관적 인식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599-633, 2010

      4 김철권,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한 정신분열병의 정신사회재활 효과" 2 (2): 52-66, 1997

      5 김이영,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125-151, 2010

      6 안은선,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동기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 24 (24): 279-289, 2015

      7 최수진,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이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8 안정은, "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참여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이영,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와 재활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623-638, 2006

      10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7-201, 2009

      11 박정임,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33-62, 2012

      12 박정임,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91-319, 2011

      13 이용표,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간의 경로분석: 회복(Recovery)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75-97, 2015

      14 장은숙,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15 강덕규, "정신장애인의 변화동기 분석과 동기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경북대학교 2008

      16 이은경, "정신장애인을 위한 재활동기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17 이근희, "정신장애인 평생계획(Permanency Planning)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3 : 8-17, 2012

      18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7-174, 2008

      19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83-609, 2010

      20 김이영,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1 : 1-22, 2008

      21 이선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적응과정에서의 임신과 출산 경험 분석 : 포커스 그룹인터뷰" 20 (20): 28-38, 2017

      22 박미애,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준비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 척도의 요인구조와 타당화 중심으로" 啓明大學校 大學院 1999

      23 Braun,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3 : 77-101, 2006

      24 Gard, D. E.,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to understand motivation deficits in schizophrenia : The ‘Why’ of motivated behavior" 156 : 217-222, 2014

      25 Piltch, C. A., "The Role of Self-Determination in Mental Health Recovery" 39 (39): 77-80, 2016

      26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55 : 68-78, 2000

      27 Mancini, A. D., "Self-determination theory : a framework for the recovery paradigm" 14 : 358-365, 2008

      28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49 (49): 182-185, 2008

      29 Breitborde, N. J. K.,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first-episode psychosis a replication" 2014 : 1-5, 2014

      30 Raeburn, T., "Self determination theory : a framework for clubhous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research" 36 : 145-151, 2015

      31 Anthony, W. A.,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16 (16): 11-23, 1993

      32 Ralph, R. O., "Recovery" 4 (4): 480-517, 2000

      33 Jochems, E. C., "Measures of motivation for psychiatric treatment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psychometric properties in Dutch psychiatric outpatients" 21 (21): 1-17, 2014

      34 Barch, D. M., "Intrinsic motivation in schizophrenia : relationships to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xiety, and personality" 111 (111): 776-787, 2008

      35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36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 54-67, 2000

      37 Choi, J.,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 An Adapted Measure for Schizophrenia Research" 36 (36): 966-976, 2010

      38 Ryan, R. M.,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3, 2002

      39 Hee Cheol Ahn,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Recovery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45 (45): 53-82, 2017

      40 Adie, j. W., "Autonomy support, basic need satisfaction and optimal functioning of adult male and female sport participants : A test of basic needs theory" 32 (32): 189-19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ental Health & Social Work KCI등재
      2007-03-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7 2.1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