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s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the sibling`s birth order and gender, the child`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5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와 형제간 사회적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 대상은 같은 유치원에 다니...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와 형제간 사회적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 대상은 같은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형제 30쌍이며, 비구조화된 관찰 상황에서 형제 쌍의 사회적 놀이를 관찰하고, 기질(EAS)과 또래유능성(CBS)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형제간 사회적 놀이는 여자형제, 윗형제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며 형제구조에 따라 일부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 수줍음과 정서성의 기질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기질은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관련이 있었다. 셋째, 유아가 또래관계에서 부정적인 또래유능성을 가졌을 경우 형제간에 낮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를 하는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형제구조가 자매이고 첫째아이며 수줍어하지 않는 기질과 친사회적인 또래유능성이 형제간 사회적 놀이를 설명하는데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놀이에 유아의 형제관계, 기질과 또래유능성과 같은 유아의 내, 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유아의 놀이를 이해하고 발달을 위한 환경과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among a child`s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and the sibling`s birth order and gender, the child`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and seeks out those variables which predict social play behaviors betw...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among a child`s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and the sibling`s birth order and gender, the child`s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and seeks out those variables which predict social play behaviors between siblings. Subjects were 30 sibling pairs in kindergartens located at Seoul. The sibling`s shared social play was observed during unstructured free-play time and coded with criteria established by McElwain & Volling(2005). The child`s temperament was rated by the mother using the EAS of Buss & Plomin(1984). Peer competence was rated by siblings` teacher using the CBS of Ladd & Profilet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1)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with a sibling when the sibling is a sister or is older; 2)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igh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bility, activ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3)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ower level social play behaviors and an aggressiveness behavior, an asocial behavior, and a hyperactive-distractible behavior among peer competence and lastly, 4)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social play behaviors between sibling are sisters, an older sibling, a non-shyness temperament, or a prosocial behavior with pe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정, "형제·자매관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아동학회 23 (23): 139-148, 2002

      2 金相熙, "학령전 아동의 형제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3 송 정,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4 김민정, "유아의 혼자 놀이와 기질 및 문제 행동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5 류왕효, "유아의 형제자매 구성에 따른 형제자매 관계 특성에 관한 연구" 19 : 1-18, 1999

      6 박화윤, "유아의 형제관계의 질과 또래유능성 및 정서능력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91-108, 2005

      7 변현영, "유아의 형제관계에 따른 사회인지적 놀이형태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14 : 35-49, 2008

      8 기현주, "유아의 출생 순위, 성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의 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1 : 203-224, 2002

      9 김순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사회적 놀이의 연속적 변화 패턴" 한국아동학회 28 (28): 17-35, 2007

      10 민지영,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놀이참여형태 및 놀이전략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 이현정, "형제·자매관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아동학회 23 (23): 139-148, 2002

      2 金相熙, "학령전 아동의 형제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3 송 정,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4 김민정, "유아의 혼자 놀이와 기질 및 문제 행동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5 류왕효, "유아의 형제자매 구성에 따른 형제자매 관계 특성에 관한 연구" 19 : 1-18, 1999

      6 박화윤, "유아의 형제관계의 질과 또래유능성 및 정서능력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91-108, 2005

      7 변현영, "유아의 형제관계에 따른 사회인지적 놀이형태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14 : 35-49, 2008

      8 기현주, "유아의 출생 순위, 성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의 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1 : 203-224, 2002

      9 김순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사회적 놀이의 연속적 변화 패턴" 한국아동학회 28 (28): 17-35, 2007

      10 민지영,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놀이참여형태 및 놀이전략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1 양승희, "유아의 사회적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 7 (7): 53-71, 2007

      12 신은수,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83-209, 2010

      13 이사임,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놀이형태 및 놀이행동"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4 김기영, "유아의 단독놀이,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 28 (28): 243-261, 2009

      15 조은옥,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성향과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신유림,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 관계에서 놀이유형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81-98, 2011

      17 조은옥, "유아의 기질과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16 (16): 57-67, 2003

      18 이숙재,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19 이솔아,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과 갈등이후 사회적 놀이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0 정금자, "유아놀이지도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1

      21 엄정애, "영유아 놀이와 교육" 교문사 2009

      22 신명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 놀이행동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3 Katz, L. G., "어린이들의 사회적 능력 배양: 교사의 역할" 양서원 2001

      24 조승윤, "또래수용도에 따른 취학전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간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Frost, J. L., "놀이와 아동발달" 정민사 2005

      26 Johnson, J. E., "놀이, 발달, 유아교육" 아카데미프레스 2009

      27 권연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9-48, 2012

      28 천희영,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능력" 14 (14): 17-34, 1993

      29 황윤세,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9-66, 2007

      30 Buss, A.,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Erlbaum 1984

      31 Cicirelli, V. G., "Sibling relationships throughout the life cycle, In The handbook of family psychology and therapy" The Dorsey Press 177-214, 1985

      32 Dunn, J., "Sibling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54 : 787-811, 1983

      33 Stocker, C., "Sibling relationships in childhood : Links with friendships and peer relationships" 8 : 227-244, 1990

      34 Kramer, L., "Sibling relationship quality from birth to adolescence : The enduring contributions of friends" 19 (19): 503-511, 2005

      35 Abramovitch, R., "Sibling and peer interaction : A final follow-up and a comparison" 57 : 217-229, 1986

      36 McElwain, N. L., "Preschool children’s interactions with friends and older siblings : Relationships specificity and joint contribution to problem behavior" 19 (19): 486-496, 2005

      37 Rubin, K.,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John Wiley & Sons 571-645, 2006

      38 Stocker, C., "Links between sibling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ce" 9 : 210-231, 1992

      39 Mendelson, M. J., "Kindergartens’ relationships with siblings, peers, and friends" 40 (40): 416-435, 1994

      40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Thomson Delmar Learning 2006

      41 Rubin, K., "Free-play behavior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children" 49 : 534-536, 1978

      42 Hartup, W. W., "Early peer relations: Development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implications" 5 (5): 1-17, 1990

      43 Scarlett, W. G., "Children’s play" Sage Publications, Inc 2005

      44 Coplan, R. J., "Being alone, playing alone, and acting alone : Distinguishing among reticent and passive and active solitude in young children" 65 : 129-137, 1994

      45 한수정, "7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9-3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