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호요인이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Protective Factors on the Adjustment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Family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30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부폭력가정에서 성장하는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 특성에 따른 적응의 어려움정도를 분석하고, 폭력가정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을 규명하여 이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

      본 연구는 부부폭력가정에서 성장하는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 특성에 따른 적응의 어려움정도를 분석하고, 폭력가정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을 규명하여 이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복지실천 개입방향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중학생 70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가정의 청소년은 부부폭력을 목격하고, 자녀폭력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 목격경험과 자녀폭력 경험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고위험집단의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적응전반의 어려움정도가 높고, 구체적으로 우울·불안, 비행, 공격성, 학업 성취면에서 있어서 상대적으로 어려움 정도가 높았으나 철회와 사회적 미성숙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가정폭력을 경험한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보호요인 중 자긍심과 내적통제, 공식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자긍심, 내적통제, 그리고 공식적 지지는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를 기초로 폭력가정 청소년을 돕기 위한 임상적 중재에서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보호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적응정도를 중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들에 대한 개입에서는 자긍심, 내적통제 순의 개인 보호요인 강화가 우선시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예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responses to family violence as well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Moreover, protective factors that might help adolescents to adapt th...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responses to family violence as well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Moreover, protective factors that might help adolescents to adapt themselves in response to family violence were examined for setting up an effective intervening model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for them. This study surveyed 703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family violence at home. Firstly, adolescents who lived in the marital violent home had both witnessed marital violence and experienced child violence by their parents. Different adjustment problems were observed in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severe family violence. In particular, family violence negatively influenced depression, delinquency, aggressiveness and low school achievement. Secondly, self-esteem, a locus of control and public support were demonstrated to be involved in the determination of adolescents` adjustment in response to family violence. Especially, the personal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adolescents` adjustment.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guideline of intervention for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엽, "한국인의 스트레스와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10 (10): 30-40, 1998

      2 박근혜,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1999

      3 여성부, "전국가정폭력 실태조사" 2008

      4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1994

      5 정성인,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8

      6 최종술, "비행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특성과 불안ㆍ우울에 미치는 영향" 2 : 53-67, 2005

      7 김득성, "부부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18 (18): 1-16, 2000

      8 장진아,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2006

      9 김예정,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41-153, 2006

      10 김난영,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보호요인의 효과" 중앙대학교 2008

      1 김재엽, "한국인의 스트레스와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10 (10): 30-40, 1998

      2 박근혜,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1999

      3 여성부, "전국가정폭력 실태조사" 2008

      4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1994

      5 정성인,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8

      6 최종술, "비행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특성과 불안ㆍ우울에 미치는 영향" 2 : 53-67, 2005

      7 김득성, "부부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18 (18): 1-16, 2000

      8 장진아,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2006

      9 김예정,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41-153, 2006

      10 김난영,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보호요인의 효과" 중앙대학교 2008

      11 정기원, "가정폭력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노출 유형별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4 (14): 49-73, 2007

      12 장덕희, "가정폭력경험이 청소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7 (7): 95-124, 2000

      13 최종술, "가정폭력경험이 비행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2005

      14 홍봄내,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2006

      15 이상준,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가톨릭대학교 2006

      16 정인숙,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 및 보호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2003

      17 장덕희, "가정폭력 경험특성이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1 (11): 65-92, 2004

      18 장덕희, "가정폭력 경험자녀의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2001

      19 Hughes, H. M., "Witnessing spouse abuse and experiencing abuse: A “double whammy?”" 4 (4): 197-209, 1989

      20 Demaris, A., "When disagreements lead to violence in marriage" 756-760, 1993

      21 Luthar, S. S., "Vulnerability &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62 : 600-612, 1991

      22 Straus, M. A., "The conflict tactics scale and its critics: An evaluation and new data 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Transactions Books 49-71, 1990

      23 Morley, E. G., "The child witness to domestic violence: The relationship among battered mothers' characteristics, child abuse, and child behavior problems" University of Portland States 1999

      24 Kalmuss, 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ggression" 44 : 11-19, 1984

      25 Garmezy, N., "Stress-resistance children: The search for protective factors. in : Rec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Pergamon 213-233, 1985

      26 Losel, F., "Some high-risk adolescents do not develope conduct problems: A study of protective factors" 17 (17): 753-777, 1994

      27 Perkins, D. F., "Risk behaviors and resiliency within physically abused adolescents" 28 : 547-563, 2004

      28 Kolbo, J. 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93

      29 Rutter, M.,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in : Risk,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214, 1991

      30 Werner, E. E., "Protective factors and individual resilience. in :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1 Shillinglaw, R. D., "Protective factors among adolescents from violent families: Why are some youth exposed to child abuse and/or interparental violence less violent than other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1998

      32 O'Leary, K. D., "Physical aggression in early marriage: Pre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effects" 62 (62): 594-602, 1994

      33 Starr, R. H., "Physical abuse of children. in : Handbook of Family Violence" Plenum Press 19-156, 1988

      34 Barber, B. K.,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Universty Press of America 1990

      35 Fischer, J.,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The Free Press 1994

      36 오경자, "K-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중앙적성연구소 1997

      37 Hamburg, D. A., "Health and behavior: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contemporary problem. in : Perspectives on science: Colorado lecture" Westview Press 177-200, 1991

      38 O'keffe, M., "Factors mediating the link between witnessing interperson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13 (13): 39-57, 1998

      39 Bowker, L., "Ending the violence: A guidebook based on the experiences of 1,000 battered wives" Learning Publications 1986

      40 Cicchetti, D.,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etiology,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nd sequelae of child maltreatment" 11 : 31-55, 1981

      41 Jaffe, P. G., "Children of battered women" Sage 1990

      42 Holden, G. W., "Children exposed to marital violenc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into another consequence of family viol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8

      43 Osofsky, J. D., "Children as invisible victims of domestic and community violence. in : Children exposed to marital violence: Theory, research, and applied issues" 95-120, 1998

      44 Wolfe, D. A., "Child witnesses to violence between parents: Critical issues in behavioral and social adjustment" 14 : 95-104, 1986

      45 Petchers, M., "Child maltreatment among children in battered mothers households" 1995

      46 Bolen, R. M., "Attachment and family violence: Complexities in knowing" 29 : 845-852, 2005

      47 Reinke, D. C., "A human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on family violence in canada's north" University of Alberta 1997

      48 Alva, S. A., "A contextual interaction model of academic invulnerability among mexican american students" National Council of La Raza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2-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복지학회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영문명 : Korea Family Welfare Association -> Korea Child & Family Welfare Associ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 Korea Family Welfare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57 1.71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