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치음 ‘ㅿ’ 음가 [j] 가설에 대한 검토: 주로 한자음의 관점에서 = A review of ‘ㅿ’ [j] hypotheses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Sino-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review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view the sound value of ‘ㅿ’ as [j]. Since the ‘ㅿ’ [j] hypothesis has been proposed by Sino-Korean researchers, and the argument is largely related to Sino-Korean, this paper focused on...

      In this paper, I review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view the sound value of ‘ㅿ’ as [j]. Since the ‘ㅿ’ [j] hypothesis has been proposed by Sino-Korean researchers, and the argument is largely related to Sino-Korean, this paper focused on Sino-Korean and examined the [j] hypothesis.
      To examine the [j] hypothesis, I looked 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j] hypothesis and its rationale in Chapter 2. Based on this, in Chapter 3, I reviewed the sound value and acceptance problem of Chinese 日母(Ilmo), and the explanation of ‘ㅿ’ in the Middle․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oncluded the sound value of ‘ㅿ’ was [z], and ‘ㅿ’ disappeared as [z] > ø.
      Until now, a full review of the hypothesis that the sound value of 'ㅿ' was [j] has not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ino-Korea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from th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ㅿ’의 음가를 [j]로 보는 입장이 타당한지 검토해 보았다. ‘ㅿ’ [j] 가설은 한자음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고, 그 논거도 대체로 한자음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

      본고에서는 ‘ㅿ’의 음가를 [j]로 보는 입장이 타당한지 검토해 보았다. ‘ㅿ’ [j] 가설은 한자음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고, 그 논거도 대체로 한자음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도 한자음을 중심에 두고 [j] 가설을 검토해 보았다.
      [j] 가설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2장에서 [j] 가설이 수립되는 과정과 그 논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 漢語 日母의 음가와 수용의 문제, 中世 및 近代 漢字音 유관 문헌들에서의 ‘ㅿ’에 대한 설명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漢字音 표기에 나타나는 ‘ㅿ’이 [z]의 음가를 표기하였으며 ‘ㅿ’이 소멸하는 경우에도 [z] > ø와 같이 소멸하였다고 결론하였다.
      지금까지 한자음 논의의 맥락에서 ‘ㅿ’ [j] 가설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인바, 이로부터 본고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卿一, "「華東正音通釋韻考」漢字音聲母硏究" 고려대학교 1989

      2 김유범, "훈민정음해례본" 역락 2020

      3 姜信沆,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4 정우영, "훈민정음 초성 제자원리의 ‘이체자(異體字)’ 관련 문제점 분석" 국어학회 (80) : 35-75, 2016

      5 이동석,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전망 Ⅰ" 국립한글박물관 2018

      6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7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2006

      8 최현배, "한글갈" 정음사 1940

      9 姜信沆, "한국의 운서" 태학사 2000

      10 조운성, "한국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 鄭卿一, "「華東正音通釋韻考」漢字音聲母硏究" 고려대학교 1989

      2 김유범, "훈민정음해례본" 역락 2020

      3 姜信沆,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4 정우영, "훈민정음 초성 제자원리의 ‘이체자(異體字)’ 관련 문제점 분석" 국어학회 (80) : 35-75, 2016

      5 이동석,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전망 Ⅰ" 국립한글박물관 2018

      6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7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2006

      8 최현배, "한글갈" 정음사 1940

      9 姜信沆, "한국의 운서" 태학사 2000

      10 조운성, "한국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1 김유범, "텍스트 구성 차원에서 바라본 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몇 문제" 한국어학회 43 : 105-124, 2009

      12 김성규, "중세국어 음운론의 쟁점" 국어사학회 (9) : 41-68, 2009

      13 소신애, "점진적 음변화로서의 ㅅ>ㅿ - 방언 반사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회 (162) : 45-83, 2012

      14 조운성, "동국정운의 표기와 음운" 국어사학회 (31) : 47-62, 2020

      15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

      16 김성규,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 Ⅰ" 국립국어연구원 7-109, 1996

      17 소신애, "국어의 ㅿ>ㅈ 변화에 대하여" 진단학회 (114) : 357-390, 2012

      18 이동석, "국어 음운사의 연구 성과와 과제 - 자음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44) : 143-173, 2017

      19 권인한, "고대국어의 치음 계열에 대한 연구" 애산학회 23 : 73-107, 1999

      20 魏國峰, "고대 한국어 음운 체계 연구" 서강대학교 2015

      21 김한별, "경남 방언의 /ㅈ/ 약화 과정에 대하여" 국어학회 (80) : 259-292, 2016

      22 姜信沆, "鷄林類事"高麗方言"硏究"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80

      23 姜信沆, "韻解訓民正音硏究" 韓國硏究院 1967

      24 前間恭作, "韓語通" 丸善 1909

      25 李潤東, "韓國漢字音의 理解" 螢雪出版社 1997

      26 李基文, "雞林類事의 再檢討" 8 : 205-248, 1968

      27 平山久雄, "邵雍「皇極經世聲音唱和圖」の音韻體系" 120 : 49-107, 1993

      28 朱曉農, "近音-附論普通話日母" 中國社會科學院語言研究所 2007 (2007): 2-9, 2007

      29 장윤희, "訓民正音 制字原理의 位階性과 異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37-56, 2013

      30 平山久雄, "言語" 大修館書店 112-166, 1967

      31 潘悟云, "漢語歷史音韻學" 上海敎育出版社 2000

      32 曹志耘, "漢語方言地圖集·語音卷" 商务印书馆 2008

      33 李思敬, "漢語“兒”[ɚ]音史硏究" 商务印书馆 1986

      34 鄒德文, "清代東北方言語音研究" 吉林大學 2010

      35 심영환, "淸學四書 滿洲語의 한글 轉寫 연구" 역사실학회 (60) : 187-226, 2016

      36 河野六郎, "河野六郎著作集(2)" 平凡社 295-512, 1979

      37 王力, "汉语语音史" 中华书局 2014

      38 權仁瀚, "朝鮮館譯語의 音韻論的硏究" 태학사 1998

      39 李基文, "朝鮮館譯語의 綜合的檢討" 서울대 14 : 43-79, 1968

      40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下" 岩波書店 1944

      41 伊藤智ゆき, "朝鮮漢字音硏究本文篇" 汲古書院 2007

      42 趙堈熙, "朝鮮時代の日本語學習書による日本語音声․音韻の硏究" 広島大学 1999

      43 河野六郎, "朝鮮方言學試致" 京城帝國大學文學會論纂 1945

      44 장석, "文獻으로 본 日母 漢字音의 變化" 한중인문학회 (45) : 343-366, 2014

      45 李新魁, "廣東的方言" 广东人民出版社 1996

      46 姜信沆, "增補朝鮮館譯語硏究"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95

      47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72

      48 李基文,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49 章炳麟, "國故論衡" 廣文書局 1967

      50 姜信沆, "四聲通解硏究" 新雅社 1973

      51 水谷眞成, "唐代における中國語語頭鼻音のDenasalization進行過程" 39 (39): 337-367, 1957

      52 羅常培, "唐五代西北方音" 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1933

      53 朴炳采, "古代國語의 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1

      54 李基文, "十三世紀中葉의 國語資料―鄕藥救急方의 價値―"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 : 63-91, 1963

      55 李榮, "切韻音系" 鼎文書局 1952

      56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檀大出版部 1981

      57 河野六郎, "伊路波の諺文標記に就いて―朝鮮語史の入場から―" 21 (21): 33-40, 1952

      58 李潤東, "中期韓國漢字音의 硏究" 牛骨塔 1988

      59 李方桂, "上古音硏究" 商务印书馆 1980

      60 吳鐘甲, "ㆁ, ㅿ의 音韻史的考察" 한민족어문학회 6 : 47-68, 1979

      61 김유범 ; 고경재, "『훈민정음』의 각자병서자와 전탁음의 음가에 대한 재론" 우리말학회 (59) : 5-45, 2019

      62 조운성, "『동국정운』한자음의 성모와 운모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63 이준환, "『華東正音通釋韻考』의 俗音에 대한 고찰-聲母를 對象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63-191, 2004

      64 李準煥, "『三韻聲彙』 漢字音聲母體系考察" 성균관대학교 2002

      65 조운성, "‘ㅿ’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국어사학회 (17) : 119-132, 2013

      66 張碩, "‘ㅿ(반치음)’의 음운론적 성격과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7

      67 Pulleyblank, E. G.,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Verlag nicht ermittelbar 1962

      68 Karlgren, "Compendium of phonetics in Ancient and Archaic Chinese" The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1963

      69 Norman, J., "A Sketch of Sibe Morphology" XVIII (XVIII): 159-173, 1974

      70 黃笑山, "<切韻>和中唐五代音位系統" 文津出版社 1995

      71 고경재, "12~15세기 국어 모음체계 연구-모음추이 이론의 재확립-" 고려대학교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