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참여유형과 참여기간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Focused on the Typ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2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 중 어떤 유형이 상대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와 참여기간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노인일자리...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 중 어떤 유형이 상대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와 참여기간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의 궁극적 목적 중 하나인 노인의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감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A도 A시에 거주하는 노인 가운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8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신뢰도 분석, F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질은 교육형이 준거기준인 고유형에 비해 노인의 삶의 질 하위요소인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 존중감,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복지형이 노인의 삶의 질 하위요소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기간이 주관적 경제 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일자리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typ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ore positively, a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hich are composed of subjective phy...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typ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ore positively, a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hich are composed of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financial conditions, self-worth, self-efficiency, and depression For the study, 833 of the elderly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t the time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results, the education type influences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self-worth, and self-efficiency positively than the original type does. The welfare type influences self-worth and self-efficiency more positively than the original type does.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the life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lternatives are pres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雲淑, "老人의 自我尊重感, 生活滿足度, 餘暇滿足度, 疏外感에 關한 硏究 : 인천광역시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 한경혜, "한국 베이비부머의 생애과정의 변화와 활동적 노화" 2013

      3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7-32, 2008

      4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5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6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7 김동진, "일부 지역 경로당 이용자의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측정" 135 : 57-69, 2008

      8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9 통계청, "사회조사: 노인이 경험하는 어려움" 2013

      10 김형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인식이 장애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17 (17): 198-227, 2009

      1 高雲淑, "老人의 自我尊重感, 生活滿足度, 餘暇滿足度, 疏外感에 關한 硏究 : 인천광역시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 한경혜, "한국 베이비부머의 생애과정의 변화와 활동적 노화" 2013

      3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7-32, 2008

      4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5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6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7 김동진, "일부 지역 경로당 이용자의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측정" 135 : 57-69, 2008

      8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9 통계청, "사회조사: 노인이 경험하는 어려움" 2013

      10 김형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인식이 장애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17 (17): 198-227, 2009

      11 A시니어클럽, "사업결과보고서" 2013

      12 최수정,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3 손신영, "농촌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최은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5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323-349, 2009

      16 남기철,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94 (94): 2013

      17 김준환, "노인일자리사업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노인일자리 유형별 분석 을 중심으로" 20 : 147-194, 2010

      18 윤정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행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19 홍석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과 비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비교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20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014

      21 사혜진, "노인일자리사업 유형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22 권구영, "노인일자리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8) : 51-78, 2007

      23 최흥권,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령자 집단과 초고령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0

      24 김연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17 : 157-189, 2002

      25 윤석구,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과천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26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3) : 7-35, 2002

      27 최은진, "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8 배진승, "노인의 생활환경 만족도와 관련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29 고승덕,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30 윤선이, "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삼척시 노인들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31 이문수,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32 이동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93-108, 2010

      33 윤은경, "노인의 감정조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1429-1444, 2010

      34 이지연, "노인복지시설 이용과 노인의 삶의 질 관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3

      35 김익균, "노인복지론" 대학출판사 2002

      36 김명, "노인보건복지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4

      37 조길용, "노인대학 참여자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38 조수범, "노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39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42 (42): 441-461, 2008

      40 송노원, "노년기 성생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7

      41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19 (19): 61-81, 1999

      42 최성재, "고령화 사회의 노후 소득보장 제도" 24 (24): 1-41, 2002

      43 통계청, "고령자 통계"

      44 조맹제, "DSM-Ⅲ-R 주요 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38 (38): 48-63, 1999

      45 보건복지부, "2014 OECD 건강정보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