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교수가 중도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친 영향 = Effects of Script Activity Instruction with High Tech AAC Device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3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during their whole life because of their limited communication ability.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AC is effective for their communication intervention, and script activities which provide structured opportunities in a natural routine is a positive context for early communication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instruction with a high tech AAC device on communicative behaviors. Metho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two scripts. The researcher taught 3 participants individually how to respond to the given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a high tech AAC device and a communication app. Results: All participants showed an enhanced number of communicative behaviors with the AAC device. Their gestures for communication was decreased, while their vocalization and speech were increased. Conclusion: Script activity instruction is found to be effective for teaching with a high tech AAC app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during their whole life because of their limited communication ability.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AC is effective for their communication in...

      Background and Objectives: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during their whole life because of their limited communication ability.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AC is effective for their communication intervention, and script activities which provide structured opportunities in a natural routine is a positive context for early communication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instruction with a high tech AAC device on communicative behaviors. Metho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two scripts. The researcher taught 3 participants individually how to respond to the given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a high tech AAC device and a communication app. Results: All participants showed an enhanced number of communicative behaviors with the AAC device. Their gestures for communication was decreased, while their vocalization and speech were increased. Conclusion: Script activity instruction is found to be effective for teaching with a high tech AAC app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은 제한된 의사소통능력으로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이들의 의사소통중재를 위해 효과적이며, 자연스러운 일과에서 구조화된 기회를 제공하는 스크립트 활동은 초기 의사소통 훈련에 긍정적임이 입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세 명의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 교수가 의사소통행동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참가자와 연구자가 일대일로 두 개의 스크립트 활동을 교대로 사용하면서 앱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기반의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의사소통행동(사물 및 행동 요구하기, 대답하기, 거절하기)을 교수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 아동 모두 AAC 도구를 사용한 의사소통행동에 향상을 가져왔고 기존에 사용하던 몸짓에 의한 의사표현은 감소한 반면 음성, 발화 등 횟수는 AAC 도구의 사용과 함께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중도의 지적장애아동들이 선호하는 스크립트 활동을 통하여 최근 개발되는 하이테크 AAC 의 사용을 배울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며 향후 이러한 아동들을 위한 AAC 적용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은 제한된 의사소통능력으로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이들의 의사소통중재를 위해 효과적이며, 자연스러운 일...

      배경 및 목적: 중도 지적장애아동들은 제한된 의사소통능력으로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이들의 의사소통중재를 위해 효과적이며, 자연스러운 일과에서 구조화된 기회를 제공하는 스크립트 활동은 초기 의사소통 훈련에 긍정적임이 입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세 명의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 교수가 의사소통행동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참가자와 연구자가 일대일로 두 개의 스크립트 활동을 교대로 사용하면서 앱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기반의 하이테크 AAC 도구를 활용한 의사소통행동(사물 및 행동 요구하기, 대답하기, 거절하기)을 교수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 아동 모두 AAC 도구를 사용한 의사소통행동에 향상을 가져왔고 기존에 사용하던 몸짓에 의한 의사표현은 감소한 반면 음성, 발화 등 횟수는 AAC 도구의 사용과 함께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중도의 지적장애아동들이 선호하는 스크립트 활동을 통하여 최근 개발되는 하이테크 AAC 의 사용을 배울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며 향후 이러한 아동들을 위한 AAC 적용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2 최희승, "장애학생의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위한 국내 보완 ․ 대체의사소통 활용 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43-57, 2012

      3 윤선아,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자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중재요소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6 (6): 105-127, 2007

      4 백경란,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을 이용한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5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51-72, 2012

      6 Kim, K. Y.,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6 (6): 331-354, 2001

      7 Kang, Y. J., "The effects of language-intervention through script activity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anguk University 2010

      8 Cho, S. H., "Th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communicative mean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Daegu university 2005

      9 You, H. J., "The effect of script contexts i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with autistic children" 15 : 1-22, 1998

      10 Han, S. K.,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on aspects of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 Ewha womans university 2012

      1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2 최희승, "장애학생의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위한 국내 보완 ․ 대체의사소통 활용 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43-57, 2012

      3 윤선아,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자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중재요소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6 (6): 105-127, 2007

      4 백경란,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을 이용한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5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51-72, 2012

      6 Kim, K. Y.,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6 (6): 331-354, 2001

      7 Kang, Y. J., "The effects of language-intervention through script activity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anguk University 2010

      8 Cho, S. H., "Th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communicative mean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Daegu university 2005

      9 You, H. J., "The effect of script contexts i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with autistic children" 15 : 1-22, 1998

      10 Han, S. K.,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on aspects of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 Ewha womans university 2012

      11 Cho, S. Y.,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based on script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hosun university 2013

      12 Cho, S. Y.,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based on script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2 (2): 23-47, 2014

      13 NCSOFT Cultural Foundation, "My AAC"

      14 Jeon, K, H., "Intervention using AAC for a preschool child with communication disorder : A case study" 3 (3): 153-167, 2015

      15 Shin, Y. B., "Effects of AAC training through scripts on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nonverbal mental retardation" 6 (6): 355-373, 2001

      16 Furman, L. N., "Effect of script knowledge on preschool children’s communicative interactions" 26 (26): 227-233, 1990

      17 Park, E. H., "Education for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kjisa 2010

      18 Iacono, Y., "Comparison of sig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early language intervention : Case study" 11 (11): 249-259, 1995

      19 Falvey, M. A., "Community-based curriculum" Paul H. Brookes 1989

      20 Park, E. 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trategy for Early Communicators with Severs Disabilities" 29 : 91-112, 1999

      21 Kim, Y. T.,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Hakjisa 2014

      22 Park, E. H.,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rom 1985 to 1991" 1 (1): 177-191,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