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 본 가족의 성숙과 변화 = Changes and Growth amo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Rearing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1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의 장애아 가족에 대한 연구들 가운데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부모의 어려움에 집중한 나머지 장애아 가족의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정서와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는 ...

      지금까지의 장애아 가족에 대한 연구들 가운데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부모의 어려움에 집중한 나머지 장애아 가족의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정서와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는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장애아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이었던 경험과 그 의미를 끌어내어 장애아 부모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하는데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 부모들이 그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은 경험 중에서 긍정적인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그러한 경험들이 가족들의 삶을 어떻게 성숙시키고 변화시켰는지, 그리고 부모들 자신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는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하였다. 장애가 있는 자녀를 포함하여 최소한 둘 이상의 자녀를 10년 이상 양육하고 있는 세 쌍의 부부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3회기에 걸친 이들과의 일대일 면대면 면담(1회기에 60-90분 소요)은 Seidman(2006)의 심층면담 방식에 의해 진행되었다. 면담 녹음자료에서 전사된 자료, 필드노트, 치료사들과의 부모상담기록 자료를 van Manen(1997, 2006)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여 장애아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끌어내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가 있는 3쌍의 부모들을 통해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부모들은 장애아를 양육하는 동안 가슴 아프거나 슬프고 답답한 순간들도 많았지만 자녀의 성장과 변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욕심을 버리게 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모들이 욕심을 버리고 장애를 수용하고 나서 자녀를 바라보기 시작했을 때 비로소 생각지도 못한 행복과 기쁨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 부모들이 그들이 겪는 고통이나 슬픔의 먹구름 사이사이에 환하게 비취는 햇살과 같은 행복과 기쁨을 누리도록 격려하는, 그리고 낙관적인 시각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방안에 대하여 장애아 관련 전문가들이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researches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ir difficulties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chronic sorrow. However, many researchers began to focus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

      Most researches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ir difficulties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chronic sorrow. However, many researchers began to focus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s well as children`s positive contribution to fam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to understand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positively framed question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ories of three couples about their child-rearing experiences with emphasis on their positive experiences, how these experiences made them grow and change, and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family liv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ree parent pairs of mother and father with two children including one child with disabilities and one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all of participants had at least 10 years of parenting both children. The researchers were interested in different perspectives of mothers and fathers about their parenting experiences of rearing both a child with disabilities and a typically developing child. Similarities and difference were found through three pairs of participating parents. They shared the hurtful feelings and sufferings throughout the years of their children`s growth. But as time went by, their perspectives began to change slowly. They came to appreciate small achievement and found unexpected happiness and pleas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positive and optimistic viewpoints toward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학지사 2009

      2 최외선, "중복장애아 어머니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4 (4): 79-92, 1997

      3 김동연,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가족 스트레스 연구" 14 (14): 63-81, 1993

      4 이미애, "장점중심중재가 장애유아의 통합학급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5 한성희, "장점 중심 특수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239-267, 2009

      6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추교숙, "장애아동 어머니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K-MBSR 프로그램 효과" 9 (9): 113-128, 2009

      8 박중규,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비교"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829-850, 2004

      9 신현정, "아동상담에서 아동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 치료놀이(Theraplay)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323-347, 2008

      10 심미경, "소아암 환아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력요인" 아동간호학회 10 (10): 383-394, 2004

      1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학지사 2009

      2 최외선, "중복장애아 어머니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4 (4): 79-92, 1997

      3 김동연,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가족 스트레스 연구" 14 (14): 63-81, 1993

      4 이미애, "장점중심중재가 장애유아의 통합학급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5 한성희, "장점 중심 특수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239-267, 2009

      6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추교숙, "장애아동 어머니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K-MBSR 프로그램 효과" 9 (9): 113-128, 2009

      8 박중규,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비교"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829-850, 2004

      9 신현정, "아동상담에서 아동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 치료놀이(Theraplay)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323-347, 2008

      10 심미경, "소아암 환아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력요인" 아동간호학회 10 (10): 383-394, 2004

      11 김성수,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이 방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257-275, 2010

      12 이한우,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327-349, 2002

      13 김상용,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53-71, 2007

      14 박혜준, "내 아이가 나를 키워준다: 장애아 어머니들의 자녀양육과 가족에 대한 이야기" 한국가족학회 22 (22): 1-30, 2010

      15 최희정,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75-194, 2009

      16 홍정애, "가족치료놀이를 적용한 가족탄력성 증진프로그램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7 Alison, T., "가족문제해결 핸드북" 시그마프레스 2007

      18 조윤경, "가족 기능강화 프로그램이 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79-104, 2005

      19 van Manen, M., "Writing qualitatively or the demands of writing" 16 (16): 713-722, 2006

      20 Gallagher, P. A., "Working with families: Rethinking denial" 5 (5): 11-17, 2002

      21 Wilson, G. R., "Training parents as behavior change agents: An examination of the benefits of targeting knowing about or knowing how to implement operant principles" University of Nevada 2005

      22 Yucel, G.,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me offered through distance education about Independent Autistic Children Education Centre(IACEC)" 8 (8): 23-32, 2007

      23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2nd ed.)" The Althouse Press 1997

      24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0

      25 Folkman, S., "Positive affect and the other side of coping" 55 (55): 647-654, 2000

      26 Lincoln, Y. S.,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1-215, 2005

      27 Jacobson, N. S.,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Brunner/Mazel 1979

      28 Singer, G. H. S., "Helping families adapt positively to disability: overcoming demoralization through community supports. in: Families, disability, and empowerment: Active cop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family interventions" Brookes 67-84, 1993

      29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30 Snyer, C. R.,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1 McCubbin, M., "Family coping with health crise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Families, health, and illness" Mosby 3-63, 1993

      32 Turnbull, A.,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Collaborating for empowerment" Merrill 2001

      33 Wilker, L, "Chronic stress of familie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30 : 281-288, 1983

      34 Kearney, P. M., "Between joy and sorrow: Being a par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34 (34): 582-592, 2001

      35 Malik,S, "Application of attachment theory for training foster parents: A model program" University of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05

      36 Cook, R. E., "Adapting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rentice Hall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