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해도 안악 출신 북한이탈주민 발화의 음운론적 특징 = A Phonological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ak in the Hwanghae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ely spoken langu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ak, Hwanghae province using the Hwanghae-do dialect, and identify its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formants of this study acquired the languag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ely spoken langu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ak, Hwanghae province using the Hwanghae-do dialect, and identify its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formants of this study acquired the language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wanghae-do dialect well. This data identified a total of 19 consonants. This is generally similar to the central dialect, but it is characteristic that /c/(ㅈ) is realized as alveolar. Eight simple vowels were also identified, but most of /ӧ/(ㅚ) suggested in the existing Hwanghae-do dialect research was realized as [e] in this data. /ə/(ㅓ) > /ɨ/(ㅡ) high vowelization appeared in the word-initial and intervocalic, in the short vowels and long vowels, and in the lexical morphemes and grammatical morphemes. /e/(ㅔ) > /i/(ㅣ) has been identified limitedly in some words. Also, /o/(ㅗ) > /u/(ㅜ) appears in some parts of the lexical morphemes, and is overwhelmingly identified in the grammatical morphemes. Front-vowelization has a wider realization environment than Han Young-soon (1967). And in Kim Young-bae (1981), Anak is reported as a non-realized area of front-vowelization. However, in the speaker s speech, it appeared in a limited capacity. Umlaut was only partially identified within the morpheme and in derived words. The vowel harmony wa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monosyllabic stems, the pattern was similar to the preceding Hwanghae-do dialect stud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lysyllabic stems, numerous cases were found to differ from these stud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rregular stems, the pattern was similar to the Pyeongan-do dialect. The t-palatalization showed the same pattern as its general appearance in normal Korean. h-palatalization was confirmed only in ‘simdeulda’ (himdeulda, ‘to be hard’), and k-palatalization did not appear at all. Finally, The environment of h-deletion was ‘root + -hada(verb-derived suffix) and ‘noun + hago(case marker) . Even if the coda consonant in the root (or noun) is obstruent, ‘h is usually deleted. The items covered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which appears in both dialects. This is high vowelization, umlaut, and h-deletion. The second is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This includes the list of consonants,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c/(ㅈ), and the t-palatation. This has long been the decisiv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Hwanghae-do dialect from the Pyeongan-do dialect. Because of this, Hwanghae-do dialect speakers could not easily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do dialect.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ronounce /c/(ㅈ) as a phoneme in the Pyeongan-do dialect, it can be interpreted that speakers of the Hwanghae-do dialect did not accept the old form. Finally, there are certain aspects of the language that were influenced by the dialect of Pyeongan province. This includes a simple vowel list,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h-palatalization, and k-palatalization. Unlike Hwang Dae-hwa (2007), these items appear in a very limited amount in this research. The speakers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se dialects,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acceptance of the Pyeongan-do dial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음운 목록 3. 음운 현상 5. 결론
      • 1. 서론 2. 음운 목록 3. 음운 현상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배,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11 : 1-36, 1981

      2 장승익, "황해도 방언의 변이 양상 연구 : ‘전북 완주군 정농 마을’ 자료를 중심으로" 전북대 2018

      3 장승익,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방언학회 (30) : 93-118, 2019

      4 황대화, "황해도 방언 연구" 한국문화사 2007

      5 정원수, "황해도 방언 어휘의 몇 가지 특성"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9 (29): 47-79, 2002

      6 곽충구,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0 : 309-332, 1995

      7 강순경, "황해 방언의 모음체계" 한국언어학회 24 (24): 335-356, 1999

      8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9 장성일, "평양방언과 무순방언의 음운특징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19) : 5-30, 2009

      10 김정태, "천안 방언 '어→으'의 모음상승에 대하여" 한글학회 (266) : 49-75, 2004

      1 김영배,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11 : 1-36, 1981

      2 장승익, "황해도 방언의 변이 양상 연구 : ‘전북 완주군 정농 마을’ 자료를 중심으로" 전북대 2018

      3 장승익,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방언학회 (30) : 93-118, 2019

      4 황대화, "황해도 방언 연구" 한국문화사 2007

      5 정원수, "황해도 방언 어휘의 몇 가지 특성"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9 (29): 47-79, 2002

      6 곽충구,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0 : 309-332, 1995

      7 강순경, "황해 방언의 모음체계" 한국언어학회 24 (24): 335-356, 1999

      8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9 장성일, "평양방언과 무순방언의 음운특징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19) : 5-30, 2009

      10 김정태, "천안 방언 '어→으'의 모음상승에 대하여" 한글학회 (266) : 49-75, 2004

      11 한영순, "조선어 방언학"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67

      12 김성근, "조선어 방언학" 사회과학출판사 2005

      13 고동호, "정농마을의 언어와 문화"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14 정의향, "서북방언의 어미 ‘-아/어(Y)’교체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 -철산지역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7) : 153-179, 2008

      15 강순경, "북한어 모음체계의 실험 음성학적 연구" 한국문화사 2001

      16 이진병, "북한어 구어 자료 수집을 위한 방안 연구 ―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구술 조사 방법론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43) : 85-113, 2020

      17 곽충구, "방언학사전" 태학사 409-414, 2001

      18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19 리근용, "문화어 보급침투에 의한 평안도방언의 소극화과정에 대한 연구" 2005

      20 곽충구, "남북한의 방언연구" 경운출판사 309-328, 1992

      21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22 강희숙, "고모음화의 실현과 방언 분화 - 전남방언과 서울말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33 : 1-32, 2005

      23 김영황, "개정 조선어 방언학" 태학사 2013

      24 CUI XIAOJUAN, "黃海道 安岳 地域語의 母音調和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6 (46): 139-161, 2018

      25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岩波書店 1944

      26 小倉進平, "京城帝國大學敎學術調査冊子 2" 京城帝大法文學部 1930

      27 신우봉,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민족어문학회 (76) : 233-261, 2016

      28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9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20

      29 백두현, "19세기 국어의 음운사적 고찰-모음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 : 1-47, 1997

      30 김영배, "(증보)평안방언연구" 태학사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