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령전기 유아의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 낱자지식, 자소-음소 대응지식, 연령과 작업기억과의 관련성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1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tter-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ge, and working memory on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3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r and seven. Step-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tter-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ge, and working memory on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3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r and seve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letter-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ge, and working memory on phonological aware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letter knowledge had the greatest variance on syllable awareness, while age had the greatest variance on phoneme awareness. Letter knowledg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numbering and deletion tasks, while the central executive of working memory had the greatest effect on discrimination, blending, and substitution tas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종용,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49-64, 2002

      3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 안성우,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89-312, 2011

      5 김현자, "학령 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14 (14): 115-137, 2001

      6 윤혜경,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글 자소-음소 대응능력의 발달과 글자읽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145-172, 2005

      7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8 이태화, "정신지체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9 안성우, "작업기억의 발달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음운기억과 중앙집행기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69-85, 2011

      10 최나야, "자모 지식, 음운론적 인식 및 처리능력이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 송종용,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49-64, 2002

      3 홍성인, "한국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 안성우,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89-312, 2011

      5 김현자, "학령 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14 (14): 115-137, 2001

      6 윤혜경,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글 자소-음소 대응능력의 발달과 글자읽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145-172, 2005

      7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8 이태화, "정신지체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9 안성우, "작업기억의 발달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음운기억과 중앙집행기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69-85, 2011

      10 최나야, "자모 지식, 음운론적 인식 및 처리능력이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1 백수진, "읽기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비교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265-300, 2007

      12 이원령, "음운인식훈련을 통한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 변화와 읽기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401-424, 2003

      13 김선옥,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23-147, 2006

      14 김선옥,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23-147, 2006

      15 이차숙, "유아의 음운 인식과 단어읽기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6, 2008

      16 박향아,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21 (21): 35-44, 2000

      17 신영주, "아동의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음운인식 특성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91-113, 2006

      18 안성우,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17, 2009

      19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20 김애화, "국내 음운인식 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79-105, 2007

      21 김애화, "국내 음운인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선행 검사도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39-167, 2007

      22 Gathercole, S. E.,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93 : 265-281, 2006

      23 Baddeley, A. D.,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n overview" 36 : 189-208, 2003

      24 Justice, L. M., "Use of storybook reading to increase print awareness in at-risk children" 11 : 17-29, 2004

      25 Treiman, R., "The role of letter names in children' learning of phoneme-grapheme relations" 15 : 97-122, 1998

      26 Hecht, S. A., "The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nd emerg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athematical" 79 : 192-227, 2001

      27 Dixon, L. Q.,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English reading skills among bilingual Singaporean kindergartners" 13 (13): 723-738, 2010

      28 Plaza, M., "The contribution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attention in early reading and spelling" 13 (13): 67-76, 2007

      29 김영숙, "The Contribution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Letter-Name Knowledge to Letter-Sound Acquisition-A Cross-Classified Multilevel Model Approac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 (102): 313-326, 201005

      30 Bourassa, D., "Spelling development and disability: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factors" 32 : 172-181, 2001

      31 McDowell, K. D., "Relation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predictors of phonological awareness" 50 (50): 1079-1092, 2007

      32 Kimberly D. M., "Relation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predictors of phonological awareness" 50 : 278-291, 2007

      33 Paris, S. G., "Reinterpreting the development of reading skills" 40 : 184-202, 2005

      34 Rvache, S., "Reflections o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A reply to Hartman" 51 : 1219-1226, 2008

      35 Babayiğit, S., "Preliterate phonological awareness and early literacy skills in Turkish" 30 (30): 394-413, 2007

      36 Betourne, L. 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oral language abilities in fourth-grade poor readers" 36 : 507-527, 2003

      37 Mann, V. A., "Phonological awareness, speech development, and letter knowledge in preschool children" 53 : 149-173, 2006

      38 Hartman, E.,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ers with spoken language impairment: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causal relationships and effective intervention. A constructive comment on Rvachew and Grawburg's (2006)study" 51 : 1215-1218, 2008

      39 Nagar, R., "Effect of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wareness on reading comprehension in Hebrew-speaking adolesc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61 (61): 44-63, 2011

      40 Blachman, B. A., "Early literacy acquisition: The rol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in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 Merrill 253-274, 1994

      41 Smith, L. S., "Disabled readers’ performance on tasks of phonological processing, rapid naming and letter knowledge before and after kindergarten" 23 : 113-124, 2008

      42 Rvache, S., "Correlates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ers with speech sound disorder" 49 : 74-87, 2006

      43 Wagner, R. K., "Changing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nd word-level reading as children develop from beginning to skilled readers: A 5-year longitudinal study" 33 (33): 468-479, 1997

      44 Foy, J. G., "Changes in letter sound knowledge ar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29 (29): 143-161, 2006

      45 Nevo, 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components at 6 years of age as predictors of reading achievements a year later" 109 : 73-90, 2011

      46 안성우, "4세~7세 유아의 음운인식능력발달 특성에 대한 대(규모) 집단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121-141, 2011

      47 안성우,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67-287, 2011

      48 안성우, "4세-7세 유아들의 낱자 지식과 음운인식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3, 2011

      49 백은아, "3-6세의 상위음운능력 발달 연구" 8 (8): 225-23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