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선도의 지감·조식·금촉 수행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제천수행 = SunGyo’s Heaven Ritual Discipline Viewed from Korean SunDo’s JiGam·JoShik·GeumChok Discipline Tra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8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선도는 모든 존재의 시작을 ‘기(氣)’로 보았고, 기의 움직임에 의하여 현상계가 만들어졌다는 기학적세계관을 가졌다. 기학적세계관은 기를 느낄 수 있어야 했기에 한국선도는 기를 ...

      한국선도는 모든 존재의 시작을 ‘기(氣)’로 보았고, 기의 움직임에 의하여 현상계가 만들어졌다는 기학적세계관을 가졌다. 기학적세계관은 기를 느낄 수 있어야 했기에 한국선도는 기를 느낄 수 있는 수행이 사상에 우선하였고, 매우 중시되었다. 그래서 한국선도의 수행은 ‘기수행’이라 하며, 한국선도 문화는 기수행을 근간으로 한다. 한국선도의 기수행은 근원의 생명력을 회복하고자 하는 수행자의 간절한 마음(중단전)이 우주에 편만히 존재하는 존재 본질의 기를 인체로 불러들여 수행자 내기의 순도변화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한국선도 수행에 대하여 선도 경전 『삼일신고』에서는 ‘지감·조식·금촉’으로 정리하고 있다.
      한국선도 수행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제천의례로, 최근 중국 요서 지역에서 발굴된 홍산문화기 유물과 유적을 통해 그 신격과 성격이 밝혀지고 있다. 한국선도 제천의 신격은 모든 존재를 있게 한 원리이자 법칙인 기로 바라볼 수 있으며, 제천의례의 성격 역시 존재 본질의 기를 만나기 위한 수행으로 정리된다. 따라서 제천의례는 의례의 형식을 가졌으나 본질은 수행임을 뜻하며, 큰 범주 안에서 존재 본질의 기, 근원의 생명력과 합일이 되기 위한 수행은 모두 제천이다.
      선교의 창교주이자 도전인 만월 손정은은 선교의 신은 인격신이 아니며, 모든 생명의 근원인 ‘기’로, ‘나’라는 개체는 여기에서 나왔기에 양자는 연결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선도수행을 통해 느끼고 만나는 것을 신인합일이라 하였다. 만월은 선교 수행의 방법을 지감ㆍ조식ㆍ금촉으로 정리하였는데, 개별적이고 별도의 작용이 아니라 종합적이고 합일적인 작용임을 밝혔다.
      선교 수행은 ‘천제’라고 불려지는 제천의례를 그 대표로 둔다. ‘천제’의 신격과 그 성격을 살펴보면, 신격은 ‘불광하느님’으로 불광신명ㆍ불광신불ㆍ불광선인의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존재의 본질을 이루는 기, 그 기가 사람 속에 내재 되어있는 신성, 수행을 통해 양자가 합일된 역사 속의 선인을 말한다. 그중 개체의 생명력을 뜻하는 신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선교 천제가 신인합일을 위한 수행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선교의 제천의례인 ‘천제’는 수행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수행자 내면의 근원의 생명력을 깨우기 위한 모든 수행을 천제라 보아 선교수행의 제천일원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격은 그 구체적인 수행법들에서도 나타난다. 구체적인 수행법인 절수행, 불광활법 수행, 불광성언 수행 모두 존재 근원의 생명력이 백회혈을 통하여 인체로 들어와서 신성과 만나는 신인합일의 기수행이었다. 이상의 내용으로 보아 선교의 수행은 한국선도 수행의 현대적 계승형태에 다름 아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unDo regarded the beginning of all the existences as ‘Ki’. And it had the world view that this phenomenal world had been made by movement of ‘Ki’. In order to have the world view of ‘Ki’, we have to be able to feel ‘Ki’, So in ...

      Korean SunDo regarded the beginning of all the existences as ‘Ki’. And it had the world view that this phenomenal world had been made by movement of ‘Ki’. In order to have the world view of ‘Ki’, we have to be able to feel ‘Ki’, So in Korean SunDo, the discipline to feel ‘Ki’ was prior to the thought and valued very much. Therefore Korean SunDo’s discipline is called ‘Ki discipline’, on which Korean SunDo culture is based. SunDo scripture _SamIlShinGo_arranged Korean SunDo discipline as ‘JiGam·JoShik·GeumChok’. The most representative discipline of Korean SunDo is the heaven ritual. Lately the fact that the godhead of heaven ritual had been ‘Ki’ and its character had been discipline was revealed by relics and remains of HungShan Culture in Liaoxi area of China.
      SunGyo, a national religion also has the same world view with Korean SunDo, counting discipline a lot. The discipline of SunGyo is also ‘Ki’ discipline, and it follows JiGamㆍJoShikㆍGeumChok discipline of Korean SunDo tradition. Its representative discipline is the heaven ritual called ‘ChunJe(天祭)’, of which the godhead is ‘BulGwangHaNeuNim’. ‘BulGwangHaNeuNim’ manifests itself in 3 figures-BulGwangShinMyungㆍ BulGwangShinBulㆍBulGwangSunIn which respectively mean ‘Ki’ the real substance of being, the divinity that ‘Ki’ exists within humans and historical persons SunIn(仙人, SunDo master) who united the one and the other through discipline. That the divinity meaning an individual’s vitality is included shows the heaven ritual of SunGyo is the discipline for divine-human unity. Thus the character of ‘ChunJe(天祭)’ is discipline. The concrete discipline methods of SunGyo such as JeolSuHaeng(bowing discipline), BulGwangHwalBub, BulGwangSungEon are all ‘Ki’ disciplines for divine-human unity. So far the discipline of SunGyo can be accounted as that of modernized type of Korean SunDo inher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희, "홍산문화 女神廟에 나타난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과 ‘마고 제천’" 비교민속학회 (60) : 109-157, 2016

      2 곽대순, "홍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3 "해외명상단 한법"

      4 "한법"

      5 국학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6

      6 조미옥, "한국선도의 ‘복본’사상과 ‘스승’ 전통" 1 : 2019

      7 정경희, "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국학연구원 12 : 95-141, 2012

      8 이재헌, "한국 신종교의 현재와 미래" 한국종교학회 (68) : 115-139, 2012

      9 윤관동, "한국 근현대 선도제천의례연구-대종교와 선불교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10 윤승용, "한국 근대종교의 성립과 전개" 52 : 1997

      1 정경희, "홍산문화 女神廟에 나타난 ‘삼원오행’형 ‘마고7여신’과 ‘마고 제천’" 비교민속학회 (60) : 109-157, 2016

      2 곽대순, "홍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3 "해외명상단 한법"

      4 "한법"

      5 국학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6

      6 조미옥, "한국선도의 ‘복본’사상과 ‘스승’ 전통" 1 : 2019

      7 정경희, "한국선도 수행의 실제" 국학연구원 12 : 95-141, 2012

      8 이재헌, "한국 신종교의 현재와 미래" 한국종교학회 (68) : 115-139, 2012

      9 윤관동, "한국 근현대 선도제천의례연구-대종교와 선불교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10 윤승용, "한국 근대종교의 성립과 전개" 52 : 1997

      11 만월 손정은, "천화의 법2" 선교 2015

      12 만월 손정은, "천도의 법" 선교 2017

      13 "주제한법 선도용어 – 지감"

      14 금장태, "제천의례의 역사적 고찰" 25 :

      15 "제주 국조전 신불봉안 의식"

      16 "제4회 축복신불 봉안 의식"

      17 "제3회 수도 국조전 신불봉안 대법회"

      18 "제3회 선교 학술대회 특별강연"

      19 "제217회 신불봉안 의식-2부"

      20 "제1회 축복신불 강화수행"

      21 "제193차 신불봉안 의식"

      22 "제188차 신불봉안 의식"

      23 "제13회 축복신불 및 제201회 신불봉안 의식"

      24 "제122차 신불봉안식 및 대법회"

      25 "이달의 화두-천(天)"

      26 정경희, "요서지역 조보구문화~홍산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변화와 배달국의 ‘마고제천’" 고조선단군학회 36 (36): 205-268, 2017

      27 "수도국조전 개원 1주년 기념 대법회"

      28 "생로병사의 비밀- ‘뇌를 깨우는 108배’, KBS1 TV, 2008년 1월 15일 방영"

      29 "삼일신고"

      30 "불광선인 봉안 17주년 및 국조전 개원 11주년 기념 대법회"

      31 "불광12마당 – 열한번째마당 생사관에 대하여, 2007, 불광12마당 음성CD"

      32 정경희, "백두산 문명과 한민족의 형성" 만권당 2020

      33 "만월의 명상여행 유튜브, 절수행 - 수행의 향기27"

      34 "만월의 명상여행 유튜브, 내면으로 향하는 짧은 명상 – 지감"

      35 "만월 도전님과 함께 하는 온라인 본성법회"

      36 "만월 도전님 초청 한법-정자도원"

      37 "대천개혈 온라인 대법회"

      38 "근원의 메시지5 - 지감, 조식, 금촉"

      39 김석근,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원불교사상연구원 (74) : 149-191, 2017

      40 "개천부 천제(부산울산 교구)"

      41 정경희, "韓國仙道의 修行法과 祭天儀禮" 한국도교문화학회 (21) : 39-80, 2004

      42 張錫萬, "開港期 韓國社會의 “宗敎” 槪念 形成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3 "『후한서』 「동이전」"

      44 "『삼국지』 「위서 동이전」"

      45 곽대순, "『동북문화와 유연문명』상" 동북아역사재단 2008

      46 "5월 화두-신기발동"

      47 "4389돌 단군왕검 오신 날 기념 온라인 대법회"

      48 "2019년 기해년 신년 대법회"

      49 "2018년 관등 축복대법회"

      50 "165차 신불봉안 의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