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왜 미군 위안부는 잊혀져야 했는가? – 기지촌의 로컬리티와 기억의 정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1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에 있어 사회적인 합의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는 미군기지촌이 가장 성행했던 파주 용주골을 사례로 기지촌이 가진 공간적 특성과 로컬리티가 미군 위안부에 대...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에 있어 사회적인 합의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는 미군기지촌이 가장 성행했던 파주 용주골을 사례로 기지촌이 가진 공간적 특성과 로컬리티가 미군 위안부에 대한 기억을 정형화하고 의도적으로 삭제하는 것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파주 용주골이라는 공간 속에서, 미군과 그를 둘러싼 관련 행위자들은 미군 위안부들을 공간적으로 억압하는 방식을 통해 착취와 폭력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상의 공간에서도 미군 위안부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전략을 취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배경으로 인하여 기지촌의 로컬리티는 기억의 정치가 시도되기 쉽지 않은 구조로 고착화되었고 미군 위안부 역시 여전히 잊혀진 존재로 남겨져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US troop camptown have influenced the formalization and intentional deletion of the memories of the US military comfort women, as the case of the Paju Yongjugol. The U.S.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US troop camptown have influenced the formalization and intentional deletion of the memories of the US military comfort women, as the case of the Paju Yongjugol. The U.S. military and the related actors around comfort women not only performed exploitation and violence through the spatial limitation, but also took a strategy to monitor and control the comfort women in everyday space. The locality of camptown has been fixed into a structure that is not easy to remember, the comfort women of the US military are still forgotten. In order for the politics of memory-recognition-representation to be realized, it is important to forget the unnecessary feelings given to US military comfort women and to accurately recall their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기억되지 못 하는 그녀들, 미군 위안부
      • 2. 미군 위안부, 기억과 공간의 정치
      • 3. 용주골의 공간과 잊혀진 사람들: 통제의 공간 클럽과 숙소
      • 4. 용주골의 거리와 시간의 혼재: 일상과 욕망이 뒤섞인 공간
      • 국문초록
      • 1. 기억되지 못 하는 그녀들, 미군 위안부
      • 2. 미군 위안부, 기억과 공간의 정치
      • 3. 용주골의 공간과 잊혀진 사람들: 통제의 공간 클럽과 숙소
      • 4. 용주골의 거리와 시간의 혼재: 일상과 욕망이 뒤섞인 공간
      • 5. 잊혀지는 것들을 제대로 기억하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7-48, 2006

      2 태혜숙, "한국인 군위안부 기억의 ‘역사화’를 위하여" 40 : 2004

      3 오미일, "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 인천의 집단기억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3) : 45-81, 2009

      4 윤지환,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형성된 위안부 기억의 경관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54 (54): 51-69, 2019

      5 송진원,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나타난 시각 문화의 상징성과 사회적 기억의 확산"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239-250, 2019

      6 황영주, "파편화된 기억과 완충지대로서의 식민지화 된 여성의 몸: 미군기지의 양공주 다시보기" 5 : 1999

      7 이나영,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읽기: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성별화된 민족주의, 재현의 정치학" 한국여성학회 24 (24): 77-109, 2008

      8 한지은,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43-61, 2008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구난희, "캐나다의 어두운 과거사 기억하기 - 인디안 기숙학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54) : 191-234, 2020

      1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7-48, 2006

      2 태혜숙, "한국인 군위안부 기억의 ‘역사화’를 위하여" 40 : 2004

      3 오미일, "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 인천의 집단기억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3) : 45-81, 2009

      4 윤지환,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형성된 위안부 기억의 경관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54 (54): 51-69, 2019

      5 송진원,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나타난 시각 문화의 상징성과 사회적 기억의 확산"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239-250, 2019

      6 황영주, "파편화된 기억과 완충지대로서의 식민지화 된 여성의 몸: 미군기지의 양공주 다시보기" 5 : 1999

      7 이나영,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읽기: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성별화된 민족주의, 재현의 정치학" 한국여성학회 24 (24): 77-109, 2008

      8 한지은,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43-61, 2008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구난희, "캐나다의 어두운 과거사 기억하기 - 인디안 기숙학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54) : 191-234, 2020

      11 정충실, "춘천, 기지촌 - 1960, 70년대 캠프페이지와의 관계 속에 형성된 주민의 삶과 문화" 한국학연구소 (68) : 261-295, 2019

      12 권은선,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영화연구소 12 (12): 7-32, 2019

      13 김란기, "일제의 주거유산과 미군정기 주택사정 고찰 (1)" 14 (14): 1987

      14 김명희, "일본군‘위안부’운동과 시인(recognition)의 정치 : 한국의 사회적 기억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4 (34): 113-146, 2018

      15 서승희, "일본군 ‘위안부’의 기억과 재현의 정치 - 소설 『날아라 금빛 날개를 타고』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 (20): 225-247, 2016

      16 이나영, "일본군 ‘위안부’ 운동 다시 보기— 문화적 트라우마 극복과 공감된 청중의 확산" 한국사회사학회 (115) : 65-103, 2017

      17 김주희,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성을 넘어서는 방법: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 2>의 탈정치성 비판" 한국여성연구원 34 (34): 39-70, 2017

      18 이상환, "인정의 정치와 사회 정의" 대한철학회 107 : 27-50, 2008

      19 차미령, "여성 서사 속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기억과 재현 -강신재․박완서․강석경 소설과 김정자 증언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8) : 7-43, 2019

      20 김연자,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분 전까지 악을 쓰다" 삼인 2005

      21 유장근, "식민지 위생시설에서 다기능의 생활공간으로 - 마산지역 목욕탕의 1백년 역사" 27 : 2015

      22 김희식, "송탄 기지촌의 공간변화: 1952년-2018년" 부산경남사학회 (109) : 309-348, 2018

      23 백일순, "성장 연합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변화와 이데올로기의 조응 - 파주 용주골을 사례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2 (32): 95-115, 2020

      24 이현재, "성노동자들의 인정투쟁과 윤리적 지평의 확장: 민주성노동자연대의 거주생존권/ 노동권 주장에 대한 인정 이론적 담론화" 한국여성학회 25 (25): 73-98, 2009

      25 유혜진, "서울올림픽기념관이 재현하는 서울올림픽 공식기억" 이화사회과학원 1 (1): 151-183, 2014

      26 안창모, "서구건축문화의 이식통로 - 원조프로그램과 한국건축계 재편" 7 : 2006

      27 김미덕,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국제지역연구원 21 (21): 251-290, 2014

      28 김정자, "미군 위안부 기지촌의 숨겨진 진실(미군위안부 기지촌여성의 최초의 증언록)" 한울아카데미 2013

      29 정민아, "미군 기지촌을 다루는 독립 다큐멘터리의 담론 변화"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899-1914, 2020

      30 강수영, "미군 기지촌, 용주골의 역사적 변화: 사회경제적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5 (55): 143-160, 2020

      31 한운희, "마을 공동체 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목욕탕 공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9

      32 장세룡,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폴란드 에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대구사학회 98 : 243-281, 2010

      33 오유석, "동대문 밖 유곽 - ‘청량리 588’ 공간 구성의 역사와 변화" 서울학연구소 (36) : 101-135, 2009

      34 권예슬, "도시화와 서울 목욕문화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8

      35 전종한, "도시 뒷골목의‘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4 (44): 779-796, 2009

      36 김윤지, "도구화된 타자, 기지촌 여성과 한국영화-한국전쟁 이후 기지촌 여성을 다룬영화를 중심으로" 15 : 2013

      37 김은선, "대중목욕시설공간의 시대적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20

      38 김희식, "대전 매춘공간의 형성과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93) : 201-234, 2014

      39 한성훈, "기념물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집단 정체성- 거창사건의 위령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8) : 35-64, 2008

      40 이나영, "글/로컬 젠더질서와 한반도 여성의 몸: 일본군 ‘위안부’와 미군 기지촌 ‘양공주’" 국학연구원 (161) : 3-38, 2013

      41 김상희, "군산 구도심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42 김대범, "구술로 본 강원도 원주의 도시기억― 군사문화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82 : 117-155, 2020

      43 윤충로, "관주도 기념의 정치와 새마을운동기념관 —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26) : 159-201, 2020

      44 Colombino, A., "Turin and Lingotto: resilience, forgetting and the reinvention of place" 25 (25): 2017

      45 Papadakis, Y., "The politics of memory and forgetting in Cyprus" 3 (3): 1993

      46 Fernandes, L., "The politics of forgetting: Class politics, state power an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in India" 41 (41): 2004

      47 Ramos, A. M., "The good memory of this land’: Reflections on the processes of memory and forgetting" 3 (3): 2010

      48 Moon, K. H., "Sex among allies: Military prostitution in US-Korea relation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49 Legg, S., "Reviewing geographies of memory/forgetting" 39 (39): 2007

      50 De Jorio, R., "Politics of remembering and forgetting: the struggle over colonial monuments in Mali"

      51 Schwabe, S., "Paradoxes of Erasure: Palestinian Memory and the Politics of Forgetting in Post-Dictatorship Chile" 20 (20): 2018

      52 Hohn, M., "Over there: Living with the US military empire from World War Two to the present" Duke University Press 2010

      53 Erll, A., "Memory in culture" Palgrave Macmillan 2011

      54 Nagar, R., "Locating globalization:feminist (re) readings of the subjects and spaces of globalization" 78 (78): 2002

      55 Gensburger, S., "Halbwachs’ studies in collective memory: A founding text for contemporary ‘memory studies’?" 16 (16): 2016

      56 Lee, Y. S., "Globalisation and the Politics of Forgetting" Psychology Press 2006

      57 Sibley, D., "Geographies of exclusion: Society and difference in the West" Psychology Press 1995

      58 Pitcher, M. A., "Forgetting from above and memory from below: Strategies of legitimation and struggle in postsocialist Mozambique" 2006

      59 Meyer, E.,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173-180, 2008

      60 Esposito, E.,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181-190, 2008

      61 Olick, J. K., "Collective memory’: A memoir and prospect" 1 (1): 2008

      62 Nora, P.,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émoire" 26 : 1989

      63 오창은, "1970년대 초 한국소설의 미군기지(촌) 재현 양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207-234, 2019

      64 이평전, "1970년대 소설의 ‘생체정치’와 ‘재생산된’ 신체 연구" 한국어문학회 (140) : 217-237, 2018

      65 정재림, "1950–60년대 소설의 ‘양공주–누이’ 표상과 오염의 상상력" 한국비평문학회 (46) : 457-47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