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과 문화 : 유기천 교수의 형법철학을 예로 하여

        양천수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0

        The issue of how law and culture are related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legal philosophy and sociology etc. However, researches on how the two are related to each other have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the meantime. In this situ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Professor Paul K. Ryu, who laid the foundation of Korean criminal law,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culture and criminal law in the doctoral dissertation of Yale University Law School in 1958.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deals with how law and culture interact using Professor Paul K. Ryu’s philosophy of criminal law as an example. First,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es that have been done on the topic of the correlation between law and culture (II). In this section, this article examines what culture is, and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culture matters. Next, this article examines the philosophy of criminal law proposed by Professor Paul K. Ryu (III).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depth psychological human image’ and the ‘symbolische Strafrechtslehre’ emphasized by Professor Paul K. Ryu. The depth psychological human image was quite noted at that time. However, it is a pith that the ‘symbolische Strafrechtslehre’ has not been properly illuminated by Korean criminal law since then.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ymbolische Strafrechtslehre’ and its philosophical basis in particular. In addition,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what kind of criminal law methodology was used by Professor Paul K. Ryu. Based upon those discussions, this article analyzes how Professor Paul K. Ryu argues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culture and criminal law (IV). First, the author looks at how he understands the concept of culture. According to this article, Professor Paul K. Ryu defines culture as ‘value pattern’ and ‘symbol’. Second, the author examines what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re, according to Professor Paul K. Ryu. According to this, ‘shamanism’ and ‘impersonality’ can be mentioned a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communal norm’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culture. Third, the author examines how Korean culture and criminal law inter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Professor Paul K. Ryu. He says that Korean culture and criminal law interact at two points. The first is ‘legislation’. In this process, ‘Rechtsgut’ plays an important role. The second is ‘interpretation’. Culture is involved in interpreting criminal law. Finally, this article comments on Professor Paul K. Ryu’s attempt as the end of the discussion (V). The author gives two meanings to his philosophy of criminal law. First, Professor Paul K. Ryu is a pioneer who accepted modern philosophy of language. Second, he is a criminal law professor who accepted the way of thinking of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However, the author evaluates the opin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suggested by Professor Paul K. Ryu as being no longer persuasive today. 법과 문화가 어떤 관계를 맺는가 하는 문제는 법철학과 법사회학 등에서 중요한 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렇지만 양자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서로 관련을 맺는가에 관해서는 그 동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편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형법학의 초석을 놓은 유기천 교수는 이미 1958년에 제출한 예일대학교 로스쿨 박사학위 논문에서 한국 문화와 형법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글은 유기천 교수의 형법철학을 예로 하여 법과 문화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다룬다. 먼저 법과 문화의 상호연관성에 관해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개관한다(II). 여기에서는 문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어떤 지점에서 법과 문화의 상호연관성이 문제되는지 개관한다. 다음으로 유기천 교수가 제시한 형법철학을 살펴본다(III). 여기서는 특히 유기천 교수가 강조한 ‘심층심리학적 인간상’과 ‘상징주의 형법이론’을 논의의 중심으로 한다. 심층심리학적 인간상은 그 당시에도 꽤 주목을 받았지만, 상징주의 형법이론은 이후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근거에서 이 글은 상징주의 형법이론이 무엇인지, 이것의 철학적 기초가 무엇인지를 다룬다. 이외에도 유기천 교수가 어떤 형법학 방법론을 원용했는지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유기천 교수가 어떻게 한국 문화와 형법의 상호연관성을 규명하였는지 분석한다(IV). 첫째, 유기천 교수가 문화를 어떻게 파악하는지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유기천 교수는 문화를 ‘가치형’(value pattern)으로, ‘상징’(symbol)으로 파악한다. 둘째, 유기천 교수에 따르면 한국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서 ‘샤머니즘’과 ‘비개별성’(impersonality)을 언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 문화에서는 ‘공동체 규범’(communal norm)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언급할 수 있다. 셋째, 유기천 교수에 따르면 한국 문화와 형법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본다. 유기천 교수는 한국 문화와 형법은 두 지점에서 상호작용을 한다고 말한다. 첫째는 ‘입법’이다. 이 과정에서는 ‘법익’(Rechtsgut)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는 ‘해석’이다. 문화가 형법을 해석하는 데 개입한다는 것이다. 논의의 마지막으로서 유기천 교수의 시도를 논평한다(V). 이 글은 유기천 교수의 형법철학에 두 가지 의미를 부여한다. 첫째, 유기천 교수는 현대 언어철학을 수용한 선구적인 형법학자라는 점이다. 둘째,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의 사유방식을 수용한 형법학자라는 점이다. 다만 유기천 교수가 제시한 한국 문화의 특성은 오늘날 더 이상 설득력을 얻을 수 없다고 진단한다.

      • KCI등재

        형법과 민법의 관계에 대한 소고(小考) - 개념, 규범 면에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제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8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law and civil law. It is impossible to draw consistent conclu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stinct legal domains.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insist only on the unity of legal order, or to maintain only the identity of criminal law. Nevertheless, the minimum standard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cas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law and civil law is necessary. The case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law and civil law is problematic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As a first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used in the criminal law and the concept used in the civil law is examined. As a second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 of the criminal law and the ‘norm' of the civil law is examined. It is confirmed that cases in which the relationship of norms is problematic are subdivided into cases that reveal differences in effect, which are the premise of judgment, and cases that reveal differences in judgment in terms of illegality.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law and civil law is largely a problem in three types of compositions. On the premise of this typology, I analyze the actual cases of the Supreme Court,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judgment in terms of norms, and examine the tendency of judgment. In addition, the way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law and civil law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ty of legal order and identity of criminal law. There is no absolutely prioritized value, and there will inevitably be differences in judgment while seeking specific validity for each individual case. However, general standard can be established. Differences in judgment on concepts should be accepted. In terms of norms, it is reasonable that criminal case follow the effect recognized in civil law. On the other hand, it is reasonable that criminal case shows a difference in judgment on illegality. This is in line with the attitude that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shown in the case of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Questions may arise on whether the typology set by the author is appropriate and on whether the analysis of the precedents is appropriate. Criticism of excessive simplification can also be raised. Despite all these limitations,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framework for analysis, which could help more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gal domains. 이 글은 형법과 민법의 관계를 검토한다. 상이한 두 법 영역의 관계에 대해 일관된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법질서의 통일성만을 내세울 수도, 형법의 독자성만을 관철할 수도 없다. 그럼에도 형법과 민법의 관계가 드러나는 사안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최소한의 준거가 필요하다. 형법과 민법의 관계가 문제되는 사안은 크게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유형으로 형법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민법에서 사용하는 개념의 관계가 문제되는 사안을 검토한다. 제2유형으로 형법의 ‘규범’과 민법의 ‘규범’ 간의 관계가 문제되는 사안을 검토한다. 그 과정에서 규범의 관계가 문제가 되는 사안이 세부적으로는 판단의 전제가 되는 효력 면에서의 차이가 드러나는 사안과 위법성 면에서의 판단 차이가 드러나는 사안으로 세분됨을 확인한다. 결국 형법과 민법의 관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구도에서 문제가 되는데, 이러한 유형론을 전제로 하여 필자는 특히 규범 면에서의 판단 차이를 중심으로 실제 판례 사안을 분석하고 그 흐름에 대해 고찰해본다. 그리고 법질서의 통일성과 형법의 독자성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형법과 민법 간의 관계 설정 방안을 고민해본다. 절대적으로 우선시되는 가치는 없으며, 개별 사안별로 구체적 타당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판단의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일응의 기준은 설정할 수 있다. 개념에서의 판단 차이는 긍정되어야 한다. 규범 면에서, 형사 판결은 민사 법리에서 인정되는 효력을 따르는 것이 타당하지만 위법성 판단은 민사 판결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횡령죄와 배임죄에 있어서 최근 대법원이 취하는 태도이기도 하다. 필자가 설정한 유형론이 적절한지, 그리고 검토한 판례들에 대한 분석이 적합한지에 대해서 이론이 있을 수 있다. 유형론이 지나친 단순화라는 비판도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한계에도 불구하고 두 법 영역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는데 이 글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부산신항 도선사고에 대한 도선사의 형사책임

        최석윤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2

        This study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Procedure Law and Analogy Prohibition", and a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which is related to "Settlement of Guilty Decision and Forfeiture of Bail Money"(Criminal Procedure Law § 103). The core ideas of this study are that the interpretation of criminal law has to conform to "ordinary words common use" of the words in the law due to the principle of "nulla poena[nullum, crimen] sine lege", and that "the principle of analogy prohibition" has to apply not only to Criminal Law but also to Criminal Procedure Law in order to agree with the idea of human rights guarantee of constitution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determinations on Annulment of Bail and Forfeiture of Bail Money need not to be simultaneously fixed. The reasons of this conclusion are that Criminal Procedure Law § 102 ② following the interpretation to conform to "ordinary words common use" of the words in the law doesn't prohibit to seize bail money after the annulment of bail, and that the bail money has to cover the custody after the annulment of bail from the viewpoint of the functions of bail money. Second, The interpretat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 103 conforming to the intent of Criminal Procedure Law § 102 ② comes under prohibited analogy. Because in order to agree with the idea of human rights guarantee of constitutionalism, the principle of analogy prohibition has to apply not only to Criminal Law but also to Criminal Procedure Law.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weak points in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Because the Supreme Court doesn't properly prove the decision, and maintains undesirable authoritative attitud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procedure law and analogy prohibition.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hat the Supreme Court has a progressive and developmental point of 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procedure law and analogy prohibition. 밀라노 브리지호의 부산신항부두 접촉사고와 관련하여 도선사의 업무상 과실치상죄 성립여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서 결론을 맺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상 과실치상죄의 구성요건해당성 차원에서 도선사의 경우 과실이 인정될 수 있는지조차 의문스럽지만,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과실행위와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 내지 객관적 귀속이 인정될 수 없다. 왜냐하면 더 큰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작은 위험을 감수한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업무상 과실치상죄의 구성요건해당성이 인정된다고 손치더라도 더 큰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작은 위험을 감수한 도선사의 행위는 정당화적 긴급피난에 해당하기 때문에 위법성이 조각되어 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셋째, 백보를 양보하여 업무상 과실치상죄의 구성요건해당성과 위법성인 인정된다고 가정하더라도 더 큰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작은 위험을 감수한 도선사의 행위는 다른 적법한 행위에 대한 기대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책임이 조각되어 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도선사는 무죄이다. 죄 없는 국민을 범죄 혐의자로 만들어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고통을 가하고 경제적 피해를 강요하는 것은 민주국가의 형사사법기관이 할 짓이 아니다. 그것은 국가권력에 의한 범죄다.

      • KCI우수등재

        일본의 형사법 학술지의 현황 및 역할

        이동희 한국형사법학회 2018 刑事法硏究 Vol.30 No.4

        The year 2018 i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of Criminal Law」, published by the Korean Criminal Law Association (KCLA). I think it is very meaningful to held an academic conference to commemo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of Criminal Law, on the subject of the current status and roles of the criminal law journals in each coun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Japan as a comparative object based on this background and to grasp the current status and role of the criminal law journals in the relevant countrie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the publication of our journa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ase of Japan.  As we all know, Korea and Japan are very similar and closely related in the historical aspect of criminal law. However,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such as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much difference between them.  Based on the above purpose and awareness, I will first examine the organization, main activities and roles of the Criminal Law Society of Japan (CLSJ), and then show how the journals published in this society and the academic conferences supporting them. I have also studied the Journal of Criminal Law, which are the core of the journals dealing with criminal law in Japan. In the case of Japan, the journals in the criminal law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academic journal by CLSJ, (2) commercial academic journals, and (3) university journals. It also has a sales network of academic journals and a textbook payment system based on it. In the case of Korean journals,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he article author pays the publication fee even when the article is submitted to the journals. In Korea, we must find ways to promote the contribution of the academy's senior-level scholars. And Korea has an academic book entry system manag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In Japan, there is no certification system or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se journals.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academic autonomy an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journal into a purpose-oriented journa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inal Justice Society, rather than a journal adhering to government standards. 금년 2018년은 한국형사법학회의 학회지인 『형사법연구』가 발간 3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학회 학술지 발간 30주년을 기념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해보자는 의도에서 한국형사법학회에서 각 국에서의 형사법 학술지의 현황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교대상으로 일본을 설정하여 해당국에서의 형사법 학술지의 현황과 역할을 파악해보는데 그 일차적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일본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 학술지의 발간에 있어 참고가 되는 시사점을 얻어 보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와 일본은 법계수사나 법해석학의 연혁적 측면에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동일한 동아시아권이라는 지리적 인접성과 교류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비교연구의 필요성이나 연구결과의 실효성은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일본형법학회’는 형사실체법, 형사절차법, 형사정책을 아우르는 종합학회로서 우리의 형사법학회에 상응하는 학회 조직이지만, 학회 학술지의 발간이나 이를 위한 학술행사의 개최방식 등의 세부 운영의 측면을 보면, 서로 적지 않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과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이하에서 우선 일본형법학회의 조직, 주요활동과 역할을 살펴보고, 이어서 동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와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학술대회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최,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형사법학 분야를 다루는 학술지의 중핵을 차지하고 있는 법학분야 일반학술지와 형사법분야의 전문학술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 형사법분야 학술지는 대별하여 ①학회기관지, ②일반학술지, ③대학별 학술지의 3가지로 구분되고, 각각 그 역할에 일정한 차이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학술지의 판매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원고료 지급 체계를 갖추고 있다. 상업출판사가 발행하는 유가의 법학분야 일반학술지는 물론 학회기관지에 투고한 때에도 논문저자가 원고료를 지급받는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학회지의 경우에는 반대로 통상 투고자가 게재료를 납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학계의 원로급이나 중견학자들의 투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한국연구재단에서 관장하는 학술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제도가 있는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이러한 학술지에 대한 별도의 인증제도나 등급분류제도가 없다. 학문적 자율성과 다양성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 당국의 기준이나 틀에 끼워 맞추는 학술지가 아니라 형사법 학회 나름의 특성이 반영되고 목적지향적인 학술지로 변화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법 개정의 올바른 방향 -형법총칙을 중심으로-

        허일태 ( Il Tae Hoh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비교형사법연구 Vol.14 No.2

        Criminal law that was enacted in 1953, the middle of the war, has been amended about the small part. But the essential revision isn`t still accomplished. Criminal law in 1953 gave top priority the stability of nation and society order maintenance which are not suitable for the today`s society. Korea in 1950 was based on the agricultural economy and the rural community was majority. But today, korea turn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national life and cultural level developed to the high level which is essentially different in 1950.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there was a request about the basic revision of criminal law in 1980`s already and the revision work has been performed for 7 years under Ministry of Justice`s support and Criminal law amendment was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in 1992. But the passage of National Assembly about criminal law amendment didn`t accomplished because people opposed strongly the abolition of adultery that is a part of criminal law amendment in 1992. The strong request about the revision of criminal law in 2005 makes ministry of justice to comprise law advisory committee about revision of criminal law.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24 members, promoted revision of criminal law from June 2007. The partial criminal law amendment including the criminal law general rules and etc. was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at April 15th, in 2010. But as the session of the 18 national assembly ended May 1992, criminal law amendment fell into disuse by the automatic. Nevertheless, the revision work was still going on and it came to a finish not only criminal law general rules but also criminal law particulars rules. Through these process, the committee tried to make criminal law amendment to the ideal criminal law that is matched for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rule of law and responsibility principles and meet the demand of modern criminal theory and criminal policy. but it is not easy to find out big change in the criminal law amendment excluding the actualization of fine, severity of some crime such as robbery resulting in injury which is not inappropriate. There is still problems as follows, the reten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detention, the change of terms about probation, the partial restriction of discretionary mitigation by judge, the aggravation for sexual offence, the abolition of crime subject to complaint and some special criminal law`s inclusion in the criminal law general rules. The retention of the death penalty is contradictory to the ethics of nation. Discretionary mitigation by judge has to be restrictive admitted. The limit of imprisonment has to be 20 years as a rule. Total fine system has to be turned to day fine system. The accommodation for probation has to be abolished. The abolition of criminal law general rules about preparation and plot has to be abolished and preparation and plot is admitted restrictedly on serious crime. All regulations about offense aggravated by consequence has to be abolished.

      • KCI등재

        일본의 형법 개정의 연혁과 주요쟁점

        이동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1 No.4

        Current criminal Act of South Korea was enacted in 1953. A partial revision of the Criminal Act has been made to accommodate the changes of the times. Several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revise the Criminal Act on a full scale. It is important to look objectively at the Criminal Act in our country, and to gauge the need or direction of future law revisions. Looking at the evolution of criminal law in major countries or the recent trend of revision will be useful in terms of comparative law. This study focuses on Japan Criminal Law, which is deeply related to Korean Criminal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volution of the Japanese criminal law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law, major issues, and recent trends. This is referred to as a comparative law for us, who have long discussed sweeping revisions of the criminal law, and who should continue to push for partial revision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section firstly looks at the old-Criminal Act of 1880 enacted by Japan's first modern criminal law. It then looks at the circumstances, contents and major issues of the revision of Japan's current Criminal Act, which was enacted in 1907. It is examining these separately by dividing them before the World War II (Chapter Ⅲ) and after the World War Ⅱ(Chapter IV & Chapter Ⅴ). 우리나라의 현행형법은 1953년 제정 이래 그간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크고 작은 일부개정이 단행되어 왔었고, 전면개정의 시도 또한 이어져왔다. 우리나라 형법의 현재를 객관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법률 개정의 필요성이나 방향성 등을 가늠함에 있어서 주요 국가의 형법의 개정의 연혁이나 최근의 개정 동향을 살펴보는 일은 비교법학의 측면에서 유용한 작업이 될 것이라 본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일본의 경우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해 프랑스형법전(1810년)을 모법으로 하여 1880년에 최초의 근대적 형법전인 구형법(정식명칭은 ‘형법’)이 제정되었고, 이후 입헌군주제인 프로이센 독일의 형법전(1871년)을 모방하여 신파이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현행형법이 1907년에 제정되었다. 일본의 현행형법은 제정된 지 110년이 넘어선 법률인바, 이를 형법개정의 측면에서 보면 1945년의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이 극적인 분기점이 된다. 패전 이전의 군국주의 하의 전시상황 등에서 이루어졌던 개정과 패전 이후 연합국군총사령부의 점령 하에서 국민주권, 평등주의 자유주의 등을 표방한 신헌법(1946년) 하의 개정으로 그 성격이 대비되기 때문이다. 한편, 패전 이후의 형법개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자면, ①패전 직후 신헌법(1946년) 하에서 단행되었던 1947년의 일부개정부터 ‘형사입법의 동면기’로 불리던 198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 ②컴퓨터범죄에 대응한 개정이 이루어졌던 1987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로 양분해볼 수 있다. 후자는 특히 2000년 이후부터는 형법개정이 빈번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입법의 활성화’ 시기로 정의되고도 있다. 한편, 위 ①의 시기에는 1961년의 「형법개정준비초안」과 1974년의 「형법개정초안」으로 대표되는 형법 전면개정의 시도가 있었지만, 패전 이전에 성안되었던 「개정형법가안」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한 것으로 치안우선의 국가주의적 색채가 농후하다는 비판에 부딪혀 결국 입법화에 이르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형법과 법계수사적 측면에서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 일본의 형법에 초점을 맞추어 그 연혁과 형법개정의 내용, 주요쟁점, 그리고 최근 동향 등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 형법의 연혁과 일부개정의 경과와 쟁점, 그리고 형법 전면개정의 시도와 이를 둘러싸고 진행되었던 논의상황 등은 형법의 전면적인 개정을 오랫동안 논의해왔고, 일부개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우리에게 비교법적으로 참고 되는 부분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우선 일본의 최초의 근대적인 형법인 1880년 제정의 구형법(舊刑法)의 제정 및 폐지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 후(본고Ⅱ), 이어서 1907년에 제정된 일본 현행형법의 개정의 경위와 내용, 주요쟁점을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전(본고Ⅲ)과 패전 이후(본고Ⅳ·본고Ⅴ)로 구분하여 각각 검토하고 있다.

      • KCI등재

        이슬람 형법과 한국 형법 -비교법적 고찰-

        이기헌 ( Lee Ki-hun ),조희선 ( Cho Hee-su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8 지중해지역연구 Vol.20 No.2

        The Islamic Criminal Law refers to the criminal law based on Shari’ ah, the religious teachings of Islam which governs Muslim life in general. Korea has long been in contact with Muslim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In recent years, the relationship has been expanded to dispatching peacekeeping troops,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increasing cultural exchanges through the Korean Wave. However, we neither have enough understanding about the Islamic culture, nor about the Islamic Law. With regard to the Islamic Criminal Law, though some anecdotes that stimulate our curiosity are known through the media, there is still a lack of full-scale introduction and research about it. This paper aims to get rid of possible misunderstandings and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Islamic Criminal Law by systematically introducing the Islamic Criminal Law and comparing it with Korean Criminal Law. In order to do this, 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slamic Criminal Law, compared its sources and legal structure with those of the Korean Criminal Law, and presented several features of the Islamic Criminal Law. Then I divided the crimes in the Islamic Criminal Law into Hadd, Qisas, Ta’zir, described substantial and procedural features of each crime, and added brief comments and comparative legal reviews wherever necessary. Finally, I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the Islamic Criminal Law as seen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aw (in terms of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nhumane punishments,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ity, freedom of religion and expression, and low criminal responsibility age)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plan to resolve them.

      • KCI우수등재

        이재상의 생애와 형법학

        안경옥 한국형사법학회 2019 刑事法硏究 Vol.31 No.3

        Since this paper is the first work to remember Prof. Lee'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impact on criminal law academic community, I tried to faithfully organize and provide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to start point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his life and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activities of Professor Lee. Therefore, in this paper, Lee's life and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activities are first reviewed, and the criminal law theory and academic interests of his are reviewed too. And this paper attempted to consider the criminal justice, penal justice and think the issue which impact on the criminal scholar to improve criminal law. Professor Lee's criminal law theory was examined in order of physical act theory, criminal theory, illegality theory and liability theory, and attempted criminal and accomplice theory. Professor Lee's criminal theory can be organized as a harmonious, practicalist criminal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Professor Lee who was a practitioner and scholar, insisted on criminal ideas to interpret the law for fitting Korean situation, rather than theoretical debate.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interest in the general theory of criminal law, he also showed his affection for the study of penal theory such as probation and rehabilitative theory and Penal law. He also demonstrated his practical criminal theory through the formation of case study groups, study activities where he studied legal systems in other countries to compare law. It was a difficult but rewarding time to find, read, and organize Professor Lee's life, academic activities, and the results of his writings for writing this article. I had no choice but to have a respectful heart. Prof. Jae Sang Lee presented the challenges of criminal law to be solved over the long term in the 21st century. First,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our own unique criminal law; Second, strengthening case studies; Third, secure of case textbooks and sufficient criminal law scholars. we will need to check whether the succeeding scholars are doing their job. 이 글이 이재상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우리 학계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첫 작업이므로, 가능한 한 충실하게 관련 자료를 빠짐없이 정리하고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고자 하였다. 이재상 교수의 형법이론은 형법총론의 행위론, 범죄론, 위법성과 책임론, 미수론 및 공범론 순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재상 교수의 형법관은 1. 주관주의와 객관주의의 대립이 아닌 조화, 2. 실천주의적 형법관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그것은 실무가이면서 학자였던 이재상 교수가 이론적인 논쟁이 아니라 우리 법 제도에 맞는 법해석을 위한 형법이론을 주장하고, 형법총론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외에도 보안처분론을 비롯한 형벌론, 형법각칙 연구에 대한 애정, 판례 연구활동, 다른 나라의 법제도를 연구하고자 했던 비교법적 연구 활동 등을 통해 이러한 ‘실용주의적’ 연구나 활동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이재상 교수의 생애와 학문적 활동, 그리고 그 결과물을 다시금 찾아 읽고 정리하는 과정은 힘들지만 보람 있는 시간이었으며, 우리 형법학계에 소중한 자산인 이재상 교수의 저서들을 읽으면서 그의 학문적 탁월함뿐만 아니라 성실함에 존경의 마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재상 교수가 21세기에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형사법학의 과제로, 독자적인 우리 형사법학의 정립, 발전과 판례연구의 강화와 판례교재의 확보 및 충분한 형사학자의 확보를 제시하고 있는데, 우리 후속 학자들이 이러한 과제를 충실히 해결해 가고 있는지 점검해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발표논문 : 한국 형법의 제,개정 경과와 발전과제

        이기수 ( Ki Soo L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8 No.3

        The criminal law of Korea was proclaimed on September 18th 1953 and enforced on October 3rd 1953. This study, after 60 years since the revision of criminal law was made, will examine the progress and content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criminal law revised over 11 times and propose the development challenges to be pursued by the criminal law of Korea.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criminal law, although it was enacted during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extreme confusion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t has tried to reflect the global legislative trend and overall review of legislation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e faithful on the ideals of constitutionalism and human rights to be held by the criminal law. Since the enactment, there were a total of 11 criminal law revisions made but unfortunately, although it needed a total revision only a handful of revisions were made and there remains an insufficient aspect to the revisions. In this article, 5 types of development challeng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vision process of criminal law up to now and its contents. That is ① include the multiple criminal special law into the criminal law and establish the status of basic criminal law of all criminal law, ② reconsider the trend of sever penalization having many problems and reasonably readjust the extremely high sentence, ③ improve various problems held by pecuniary punishment system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daily fines, and derive with unified regulations related to forfeiture and collection, ④ reexamine the policy of zero tolerance and hostile attention related to sexual offenses, promote the balanced criminal politic legislation such as rehabilitation through the treatment of offenders, ⑤ and the improvement methods related to patricide having the debate of violation of the equal rights, the abolition of infanticide sin and concurrent offenders based on the particulars of criminal law. At any age and for any criminal law, it is requested that the principles of criminal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legality,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should be respected reflecting the conditions obtained at the time, and the effectiveness or functionality required by the criminal law should be maintained. The awareness of law of the citizens, reflection of judicial environment, new criminal provisions and decriminalization work will all be such contents. Therefore, the future criminal law shall reflec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in a timely manner and afterwards, it should continually revise and develop the necessary contents. And that can be called the permanent improvement challenge to be bear by the criminal law.

      • KCI등재

        중국 제9차 수정형법의 주요 특징과 내용에 대한 고찰

        정재준(Chung JaeJoon) 한국형사법학회 2016 刑事法硏究 Vol.28 No.2

        최근 우리나라 형법학계에서는 한국비교형사법학회가 중심이 되어 한⋅중 국제학술대회를 활발히 개최하고 있다. 그 동안 일본이나 독일에 치우쳐 있던 학술교류가 이제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맞물려 좀 더 긴밀히 연결되는 느낌이고 한⋅중 FTA가 발효되면서 경제적⋅문화적⋅인적 교류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2015년 10월에는 중국법학회 주체로(산동대학교 법학원에서 개최) 제1회 한⋅중⋅일 국제법학학술대회 가 열려 한⋅중⋅일 삼국의 모든 법학 분야의 학술교류를 정례화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역대 학술대회의 면면을 살펴보면, 자국의 형사법 최근 동향을 소개하는 것으로 일방적인 법학이론 전달의 느낌이 강하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사실 제대로 상대국의 형사법을 이해하려면 발표하는 학자들이 자국이 아닌 상대국 형사법을 연구한 주제로 발표하는 것을 장려하여야 한다. 당사국 학자들의 반대질문과 토론이 결합되어야 진정한 상호 형사법 이해와 발전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형법학 계의 경우, 상대 국가의 형법 개정의 역사만 잘 연구⋅파악해도 여기에는 형법의 특징뿐 아니라 중국 사회의 지향점도 엿볼 수 있다. 제9차 수정형법은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필자는 위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중국 형사법 이론의 가장 근 본적 토대인 중국 형법의 제정역사와 변천 그리고 특징을 이 논문에 사실 그대로 담고자 하였다. 특히 중국 형법의 전근대적 요소 혹은 완곡히 표현하여 중국 형법의 특색이라 할 수 있는 형법의 정치적 성격, 다수 조항에 편재한 사형죄 규정의 엄벌 주의, 구성요건에 보이는 불명확한 용어의 사용과 사법해석지침의 보충 등 중국 형 법학자가 유쾌하게 발표하기 꺼리는 내용들을 ‘제9차 수정형법의 내용과 특징’이라는 주제를 빌어 담아보고자 한 것이다. 중국 형법의 이해는 중국 형법 제정과 개정의 정확한 특징을 이해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런 이유로 이 논문이 한⋅중 형사법의 상호 이해에 기본적 토대가 되는 바람이다. 다만, 중국 원문과 한글 의역 사이에서 몇몇 번역의 낯설음에 대하여 머리 숙여 이해와 용서를 구한다. The Korea Criminal Law Association has recently held the active Korean-Chinese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response to the Chinese economic growth. The interchange of people, economy, and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will intensify more and more per the promulgation of the two countries' FTA. Prior to this phenomenon, Korean academic exchange typically focused on Japan and Germany. The China Law Society held the first international legal conference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at Shandong University in October 2015 and this conference will be periodically held the conference by turns. Looking at the conference's contents, scholars introduce their own countries' trends or theories. This act unilaterally transfers their academic theories to other countries. As a matter of fact, to understand other countries criminal law theories, scholars should research other countries' criminal law history and present. Directly involved scholars should ask opposing questions and hold debates. This kind of method can help to reciprocally understand and develop criminal law. Research on the history of amendments to criminal law enable us to understand what judges and prosecutors' thought as well as Chinese society's directing points. The 9th amendment reflects well on this point. That is precisely why I intend to research the subject (history of amendments to criminal law). Particularly, I want to examine old-fashioned issues such as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criminal law, many death penalty stipulations and tough punishments, unclear meanings and contents of the criminal code, indispensable to legal interpretations. Chinese scholars are reluctant to reveal this information to the public at conferences.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se subjects in light of the 9th amendment of criminal law. If one wishes to understand exactly Chinese criminal law, he/she should study the history of amendments to criminal law first. For this reason, I hope this thesis will be a foundation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nese crimina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