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동주의 탄식시 연구

        김정신(Kim, Jeong-Shin)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3

        본고는 윤동주 문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중에서도 탄식시의 개념을 빌려와 시에 나타난 탄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탄식시는 개인 탄식시와 공동체 탄식시로 나눠볼 수 있다. 개인 탄식시의 특징으로는 ① 건넴말과 처음 구조요청 ② 하나님을 향한 탄식 내지는 고발, 일인칭 탄식, 그리고 적에 대한 탄식 ③ 신뢰고백 ④ 간구 ⑤ 찬양서원을 들 수 있다. 시편 22편에는 이 다섯 가지 요소가 모두 나타나 있다. 그런데 윤동주의 「무서운時間」과 「悲哀」, 「八福」, 「슬픈 族屬」에는 ② 하나님을 향한 탄식 내지는 고발, 또는 일인칭 탄식, 그리고 적에 대한 탄식만이 남아 있다. 이는 윤동주 시인이 그의 시에서 어휘, 소재, 모티프의 차원을 넘어서서 신과의 독대(獨對), 즉 신을 부르고 신의 응답을 듣는 것에서 온통 내밀하게 기독교적인 개념에 충만했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필자는 그 탄식을 그의 행동을 촉구하는 데 있어서 처절하게 하나님 앞에서 결단을 내려야 하는 ‘무서운時間’이라고 보았고, 또 ‘슬퍼 하는자’를 식민지 하에서 가슴이 찢어지도록 우는 시인의 애끓는 심정으로 보았다. This paper has borrowed the concept of a “lament poem” from Christian literatur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amentations in the poems of Korean poet Yun Dong-Ju. Lament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lament and communal lament.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al lament include ① connotation and first request for rescue, ② lament or accusation toward God, lament of hardship, and lament about an enemy, ③ confession of trust, ④ earnest request, and ⑤ vow of praise. These five elements are all included in Psalm 22. However, ② lament or accusation toward God, lament of hardship, and lament about an enemy remains in the poems “Fearful Time,” “Sorrow,” “The Beatitudes,” and “Sorrowful Race” by Yun. This shows that Yun was fully and secretly committed to the Christian concept in his private encounter with God, i.e. calling for God and hearing His answer, beyond the dimensions of vocabulary, subjest matter, and motif in his poetry. Therfore, regarding urging his action, the author saw the lament as a “fearful time” in which a decision has to be made desperately in front of God, and a “sorrowful 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astated poet, who cried his heart out under colonial rule.

      • 욥기의 탄식시에 나타난 이스라엘 지혜 그룹의 특징

        손영진 호서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AI와 인간사회 Vol.3 No.2

        The following study focuses on the lament of Job. Verses of laments can usually be found in the book of Psalms. However, Job's laments have different theological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from typical lam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 of these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e laments found in Psalms and Job have been compared in order to point out the differences that can be seen in the Wisdom literature of Job. This paper also aims to make clear the activities of ancient Israeli wise men during the process of preserving and transforming this tradition. This study views the wisdom group, which customarily existed in Israel, as being the agent which allowed for the survival of the nation of Israel by transforming the literary motifs that can be found in the laments of Job and Psalms.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on whether there were traditional wisdom groups in Israel. However, most scholars agree that there was private wisdom in Israeli clans and families and that the beginning of the monarchy was the time when wisdom became more organized. It can also be said that wisdom groups acted to change the literary motifs found in laments in order to help the nation survive during times of crisis. The wisdom group placed an emphasis on God the Creator and concentrated on God’s power over the history of the world in order to show that the present disaster was in the hands of God. It also placed a value on the new understanding of God that came from personal experience and not only from tradition.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group can be said to have affected the Old Testament canon which then affected the nation of Israel and help it to become a firmly established community of faith. Within the Israel wisdom group there was a balanced sense of tradition transformation and preservation. Therefore, the group did not only strive to overcome the pains of reality by erasing the past and pursuing new things but strived to help the nation of Israel form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living God and use present experiences and the past traditions to develop a new relationship with Him.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 용서상담에서 피해자의 분노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구속사적 관점에서 저주시를 중심으로

        송경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59 No.-

        용서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참된 용서는 성급한 용서가 아니라 피해자가 그 피해를 더욱 정확히 직면하고, 자신이 받은 상처로 인한 분노와 같은 부정 감정을 한동안 정직하게 수용해야만 가능하다. 그러나 기독교 상담에서 예수님으로 인한 용서를 적용한다는 명목으로 내담자의 피해와 그로 인한 분노를 충분히 다루지 않고, 내담자를 말씀으로 압박하여 용서를 성급하게 하도록 재촉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하여 구약의 저주시는 기독교인 피해자가 신적용서를 닮은 사랑의 용서로 나아가기 전에 하나님의 정의에 근거하여 자신의 분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직면 및 수용해야 할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증거 한다. 본 논문은 저주시의 피해자를 구속사를 통해 발전된 용서에 대한 성경 계시와 직접 연결하여 구속사적 관점으로 보기를 제안한다. 구속사적 관점으로부터 신약의 빛 아래에서 구약의 저주시를 본다면, 저주시의 존재는 피해자의 분노가 참된 용서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토대가 되는 준비 단계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구속사적 관점에서 보면, 신약에서 강조되는 인간 용서에 대한 가르침(마 18:22, 35; 골 3:13; 엡 4:32)은 구약의 오랜 가르침인 하나님의 정의를 토대로 그 위에 완성되기 때문에, 정경의 수혜자인 기독교인들 또한 정의로부터 용서로 이동하는 정경의 변화와 동일한 순서를 따라야 함을 함축한다. 즉 기독교인에게 요구되는 원수를 용서하는 사랑은 그 원수의 죄에 대하여 신원하시는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의 토대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정의에 근거한 피해자의 분노가 크면 클수록 그 피해자는 같은 크기의 큰 용서를 원수에게 선물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받은 피해에 대한 피해자의 인식이 작을수록, 그의 용서는 작은 용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저주시의 존재는 하나님의 정의에 근거한 내담자의 분노가 참된 용서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 단계라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다. Empirical studies of forgiveness have shown that true forgiveness is possible only when the victim faces and accepts the offence and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others’ sins honestly for a while. However, Christian care-givers tend to urge clients to rush to forgive the offender and attempt to alter the victims’ view and emotions of the damage fast to make the victims feel better. Christian counselors may show messages to Christian client that anger as a negative emotion is not proper to a life of faith. On the contrary, the imprecatory psalms in the Old Testament prove that Christian victims must have enough time to confront and accept their unforgiving feelings such as anger based on God’s justice, before proceeding to the forgiveness of love reflecting Godlike forgiveness in the Christ. The fact that imprecatory psalms are in the bible denote that God wants to hear His people's honest expression of negative feelings for the psychological healing. This paper proposes to look the victim in the imprecatory psalms from the redemptive historical view. Looked from the redemptive historical view, the existence of the imprecatory psalms shows that the victim’s anger is an essential preparatory stage for the process of true forgiveness.

      • KCI등재

        『십이야』에서 에코의 목소리를 듣기: 주종관계에서의 바이올라의 창조적인 모방

        전자영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23 중세근세영문학 Vol.33 No.3

        This essay traces Shakespeare’s evocation of Echo in Twelfth Night (c.1600-1). Echo features in Viola’s lines where she imagines a lover’s song resounded by "the babbling gossip of the air" (1.5.227). This phrase, closely imitating Arthur Golding’s 1567 translation of Ovid’s Echo and Narcissus from Metamorphoses, comes to identify Viola with Echo, suggesting imitation and repetition as key factors in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his page boy. In his later comedy, Shakespeare revises and expands on the motif of the transvestite page boy’s mediating role and explores more fully Viola’s enactment of the multiple roles that she must play for Orsino: the reader, mediator, and actor of his courtship text. Recognizing the literary value of Shakespeare’s classical debts, I argue that Echo, derived especially from Ovid’s version and plac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female-voiced complaint, offers an implicit but crucial model for Viola’s service as a messenger. Although Echo is only obliquely invoked in the play, the figure’s characteristic imitation suggests a version of collaborative authorship which is not attributable to a single individual speaker or writer and calls for an extensively femininized space for the articulation of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