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근대주의의 목회상담과 상호적 관계 지향에 관한 연구

        정푸름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이 시대의 목회상담의 역할은 자아가 확장되는 상호성을 지향해야 한다. 교회 또는 임상현장을 위한 목회상담은 상호적 관계의 내용을 담아내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에는 자아확장성과 상호성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았다. 자아의 확장만 강조되던지 아니면 자아확장성은 보장되지 않는 채 관계자체, 상부조직, 공동체만을 위한 관계가 존재해야 하는 형태였다. 그 속에서 개인과 그 맥락은 무시되었으며 더 큰 대의를 위해 희생되어 온 측면이 있다. 신학은 때때로 개인이 무시되고 자신의 목소리를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을 합리화하는데 잘못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계는 자아가 확장되지 않는 관계다. 자아가 확장된 관계는 상호적일 때 가능하다. 상호성이란, 서로의 주체성과 주관성을 존중하며 관계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다. 누구의 희생을 담보로 형성되는 관계가 아닌, 상대를 존중하며 각자의 고유성이 관계를 더 확장시키는 요소라고 인식하는 관계가 상호적 관계다. 상대의 주체성과 독특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자아의 확장도 함께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탈근대적 관점에서 자아확장과 상호적인 관계가 함께 존재할 때, 그 안에서 개인의 성장, 관계의 성장, 다양성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탈근대적인 관점만이 목회상담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목회상담에는 성서적 전통, 그 위에 서있는 교회의 풍성한 의례들, 신학적 이해와 인문사회과학의 이해 등등, 모두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람들의 삶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목회상담은 지배담론에서 벗어나 상황적 이해, 사회문화정치적인 이해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들이 포괄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자아와 관계의 상호성이 요구되어 진다. 이를 체계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본론에서 우선적으로는 목회상담을 간략히 정의하고 설명하고 목회상담의 기준이 되는 관점들을 정리한다. 그 이후에는 목회상담에 대두된 탈근대적인 관점을 논의하며 비판적 상관관계방법과 Carrie Doehring의 삼중초점 렌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며, 상황과 권력의 주 개념들을 강조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여성주의상담의 상호성, 목회상담의 상호성 그리고 Martin Buber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상호성에 관한 논의를 펼친다. The role of pastoral counseling in this era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mutuality in which the self expands. Pastoral counseling for the church or clinical field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the mutual relationship and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Pre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of the self and mutuality was unclear. In relationships, only the self was emphasized. Or to an extreme, self was not even guaranteed a place, because relationship itself, community, and the system was superior to the self.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have been neglected, and sacrifices have been made for greater causes. Sometimes theology has been misused to rationalize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s are neglected and unable to represent their own voices. This relationship is one in which the self is not expanded. Expansion of self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hip is mutual. Mutuality means being relationship-cent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s subjectivity. Rather than a relationship based on someone’s sacrifice, mutual relationship respects the other person and recognizes each other in their own uniqueness and realizes that this is a factor that further expands the relationship. Recognizing the other's subjectivity and uniqueness is different from unilateral acceptance. It means the self is experiencing expansion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ity.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when self-expansion and mutual relationship exist together, individual growth, relationship growth, and diversity expansion can occur. A post-modern perspective is not a requirement only for pastoral counseling. Biblical tradition, the rich rituals of the church,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tc., are all required for pastoral counseling. However, pastoral counseling, which is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e needs of people's lives, must move beyond the dominant discourse and include contextual and socio-political understandings. In order for these understandings to work comprehensively, the reciprocity of self and relationship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make this claim, this paper will first of all briefly define and explain pastoral counseling and summarize the perspectives that are the basis for pastoral counseling. Subsequently, the paper will discuss post-modern perspectives presented in pastoral counseling, using critical correlation methods and Carrie Doehring's trifocal lenses as examples and emphasizing the main concepts of situation and power.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the mutuality of feminist counseling, the mutuality of pastoral counseling, and Martin Buber’s concept of relationship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게재논문 분석(2001~2016)

        장미혜 ( Jang Mi Hye ),정연득 ( Jeong Youn Deuk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7 목회와 상담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목회상담학의 잠재적인 연구영역을 발견하여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목회상담학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공헌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목회상담학회가 발행하는「목회와 상담」에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25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각 논문내용을 제목, 초록,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접근방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250편의 논문을 17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했다.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연구주제는“목회상담”과“정신역동”이었다. 두 주제는 전체 논문에서 42.8%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목회상담”,“ 신앙공동체”,“ 신앙자원”이었고, 전체논문에서48.0%를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연구에 사용된 연구접근방법을 분석하였는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접근 방법은 전체 논문의 40%를 차지한 심리학적 접근방법이었다. 그 다음 순위가 17.2%를 차지한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이었다. 특별히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에서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이론이 강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목회와 상담」에 여성 목회상담학자들의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상관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본 연구는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학자들의 이름을 조사하고, 심리학, 신학 및 철학, 목회상담 및 종교심리학의 세 분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목회상담 연구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목회상담의 패러다임의 확대는 목회상담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주제에도 확장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가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며, 지역교회와의 소통을 위해 보다 적극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목회상담연구는 삶의 정황에서 출발하는 연구로서, 구체적 사례를 일반화 해 나가는 방향성을 지양하고 국소적으로 작은 것이 가진 의미를 발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목회상담의 연구대상은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적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의 연구접근 방법이 이론 연구 외에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d examines potential research areas as well as neglected areas in the field. Therefore, we expect that it will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s of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e trends were identified by an intensive review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KJPCC) from 2001 to 2016. Overall, 250 research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ontent categories: research topic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approach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250 identified articles were coded into 17 categories. The most popular topics were “Pastoral Counseling” and “Psychodynamics.” These two topics accounted for 42.8%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KJPCC. The study also found that “Pastoral Counseling,” “Faith Community,” and “Spiritual Resources” were the frequently preferred research objectives. These three objectives accounted for 48.0% of the articles published. Moreover, this study collected a list of scholars` names cited in the published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into three areas that include Psychology, Theology & Philosophy, and Pastoral Counseling & Religious Psychology.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a paradigm shift in Korean Pastoral Theology and identify a pot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KJPCC. This study outlined that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must consider pursuing cultural diversity, communicating with local congregations, and focusing more on unique outcomes discovered from specific cases that includes the reality of life rather than general cases. For that, this study suggests that framework broader range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be used in the research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KCI등재

        트라우마 집단상담을 위한 목회상담적 제안

        이희철 ( Lee¸ Hee Cheol ) 한국목회상담학회 2021 목회와 상담 Vol.37 No.-

        이 논문은 트라우마생존자를 위한 목회상담을 실행하기 위한 네 가지 과정을 제시한다. 이 과정은 트라우마 목회신학에 기초한 목회상담의 실천이다. 죽음과 삶이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는 트라우마 생존자에게서 시작된 목회 신학적 기초에서 만들어진 네 가지 목회상담 과정을 제시하였다. 첫째 과정은“속 박에서 소속으로”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이 과정은 개인의 정체성과 심리적 상태는 속박이 되거나 소속감을 느끼는 공동체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전제로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이 과정은 목회 신학적이면서 동시에 사회 심리적 기초에 근거하였다. 둘째 과정은“기억하라 남이 잊어버려도”라는 제목으로 구성된 과정이다. 이 두 번째 과정은 목회 신학적이며 신경과학적인 토대에 근거한다. 이 과정에서는 기억은 인지적일 뿐 아니라 신체적이고 공동체적이라고 논하였기 때문이다. 성례전 같은 몸으로 기억을 하는 기독교적 행위를 통해 공동체가 기억의 책임을 실행할 수 있고 기억이라는 공동체적 행위를 통해 트라우마생존자의 고통과 삶에 동참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과정은“이야기하라 반복해서”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트라우마 생존자를 돌보는데 이야기치료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동시에 이야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면서 트라우마 생존자에게 이야기하는 기회를 주면서 목회상담사가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과정은“온몸으로 움직여라”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대화 중심적인 상담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면서 트라우마 생존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생리학적 관점과 목회 신학적 관점에서 트라우마 생존자를 이해하고 몸의 동작을 통한 치료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기독교신앙은 세상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실존적 삶을 이해하려는 노력이어야 한다. 트라우마는 사회 안에서 발생하는 실존적 고통이고 사회적 현실이다. ‘살아있는 관계망’이라 불릴 수 있는 사회적 현실에서 발생하는 트라우마를 겪어내는‘살아있는 인간문서’인 인간을 이해하고 돌보려는 노력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목회상담의 실천적 행위이다. 2014년에 있었던 세월호 참사 전에도 트라우마 연구는 간헐적으로 있었지만 이 참사사건 이후 한동안 급격히 많은 연구결과물들이 생겼다. 세월호 참사희생자들 중에는 기독교인이 많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트라우마 생존자를 돌보는 목회적 돌봄의 방안은 여전히 부족했다.1) 오히려 교회는 일반 상담에 기대어서 기독교 신앙과 상관없이 치료적 행위를 비평 없이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트라우마 생존자를 돌보기 위한 목회상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되는 방안은 트라우마가 발생하는 사회적 현실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실존에 관심을 둔 목회 신학적 관점에 기초한다. 그래서 필자는 목회자 또는 목회상담사가 트라우마생존자를 돌보기 위한 목회 신학적이며 전략적인 목회적 돌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돌봄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전제는 다음과 같다. 트라우마생존자는 예기치 않은 트라우마 경험으로 생존을 위한 근본적 자원을 빼앗기고 생존권을 박탈당했다. 생존권은 살아가는 권리로서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권리,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할 권리, 자기소유를 주장할 권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권리가 박탈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권리를 회복시키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제시하는 과정은 트라우마생존자의 권리를 회복시키는 목회상담적 과정이다. 이 과정은 네 가지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과정은“속박에서 소속으로” 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둘째 과정은“기억하라 남이 잊어버려도”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셋째 과정은“이야기하라 반복해서”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넷째 과정은“온몸으로 움직여라”라는 제목의 과정이다. 이 네 가지 과정은 살아있는 관계망으로서 사회 공동체와 살아있는 인간문서로서 인간의 상호연관성을 인지하고 활용하는 목회상담적 과정들이다. 위의 네 가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대중매체를 통해 공개된 사례를 제시한다. 사례를 분석하면서 위의 네 가지 과정을 설명하겠다. 이 네 가지 과정은 집단 상담으로 진행하여도 효과적이다. 네 가지 과정은 순서가 정해지지 않았다. 참여하는 트라우마생존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four pastoral counseling processes for trauma survivors. These four pastoral counseling processes are drawn from a pastoral theology of trauma that acknowledges the life of trauma survivors in which life and death co-exist. The first process is called “from bondage to affiliation.” This process is deeply rooted in the hypothesis that both personal id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are inter-related within a community with which one is either affiliated or enslaved. Therefore, this first process is drawn from both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and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second process is titled “Remember though others forget!” This process is created from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s and neuroscience because it claims that human memory is not only cognitive but also communal and physiological. It argues that Christian community may respond to the responsibility of remembrance by performing Christian rituals such as communion and baptism and participate in survivors’ real life by remembrance. The third process is titled, “Tell your stories over and over again.” This process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narrative therapy but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This third process suggests precautions for pastoral counselors when they orient survivors to storytelling. The fourth process is called “Be in motion with all your body.” This process suggests a somatic approach for survivors from a physiological and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enhance a dialogue oriented counseling that is limited into cognition.

      • KCI등재

        슈퍼비전을 통한 목회상담자의 정체성 발달과 성장과정

        강은영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비전이 목회상담자의 정체성 발달과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담자의 성장에 필요한 슈퍼비전의 기능과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존 연구를 고찰한 후, 본 필자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0년 동안 목회상담 슈퍼비전과 일반상담 슈퍼비전을 받으면서 작성한 반성적 사고 기록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목회상담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로 인해 목회상담자가 일반 상담자와 다른 특성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의 치료적 동맹, 지지적이고 안아주는 환경, 수평적이고 상호작용적 관계, 하나님의 관계에 대한 구속적인 통찰이 이루어진 슈퍼비전을 재고하였다. 더불어 권위적인 슈퍼비전에서 벗어나 상호존중의 목회상담 슈퍼비전이 되기 위해서는 슈퍼바이저의 수용적인 태도와 상담자의 목회신학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필자의 실제적 경험보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목회상담자가 효과적인 상담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 경험이 중요하고, 슈퍼비전을 통해 신학적 성찰과 자기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목회상담자 수련과정에서 이루어진 신학적 성찰이 목회상담자 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일반상담과 차별된 목회상담 슈퍼비전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use my own experience to explore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a pastoral counselor’s identity development and growth process. After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th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role of supervisors for the counselor’s growth, I explore my own journey as a pastoral counselor by reviewing the personal self-reflection papers I have written after each 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ing and general counseling sessions for 10 years, from 2007 to 2018. This demonstrates general distinctions of pastoral counseling supervision including the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a supervisor and a supervisee, supportive and holding environment, horizontal and interactive relationships, and salvific insight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Also, I use my personal experience to document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or’s accepting attitude and the pastoral theological role of the counselor in order to create a supervisory relationship that is mutually respectful but not authoritative. Further, my analysis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for the pastoral counselor to experience positive relationships in order to offer effective counseling services, which can be assisted by supervision that encourages theological reflection and self-understan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s the impact of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pastoral supervision on the supervisee’s identity formation as a pastoral counselor, and in doing so it implies the future orientation of pastoral supervision as distinguished from general supervision.

      • 목회상담과 목회분석에 대한 개혁주의적 조망

        김성환 ( Seong Hwan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4 성경과 상담 Vol.4 No.-

        갈수록 다원화 되어가는 후기 현대사회에서 신학과 심리학이라는 두개의 학문적 흐름을 기본적 배경으로 하여 발전하여 해 온 목회상담은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해되고 시행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정신의학이나 세속 심리학에서 말하는 상담과는 구별되는 목회상담만이 가지는 독특한 의미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일반 심리학에서 말하는 치유의 개념이 목회상담에서 말하는 치유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목회적 돌봄과 관련된 총체적인 그리고 목회적인 맥락속에서 목회상담의 독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목회상담의 필수 요소인 목회분석에 있어서 인간의 제반문제에 대한 신학적, 현상학적 환원의 문제극복을 위한 해결 방안의 모색을 통해 목회상담 안에서 목회분석이 가지는 의의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자 하였다. 뿐 만 아니라 현대적 의미의 목회상담 이론과 기법이 다양한 형태의 목회분석과 함께 어떻게 형성되고 역사적으로 발전 되어져 왔는가를 몇 몇 주요한 목회상담학자나 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이 팽배한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개혁 신학적 입장에서 목회상담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확보하고 목회상담분야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의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Pastoral counseling, developed and derived mainly from the background of stream of both theology and psychology, has been understood and carried out in various perspectives. Accordingly, to begin with,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uniqu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psychiatry and psychology. In order to fulfill this aim, we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healing (or cure) between pastoral counseling and psychology, as well as the unique implication of pastoral counseling within the holistic pastoral context, especially regarding pastoral care. Additionally, in terms of the issue of pastoral diagnosis, as a necessary element in the process of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s to reflect the significance of pastoral diagnosis within the pastoral counseling, through seeking a solution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ological reduction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for all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human beings. Furthermore, we trac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pastoral counseling, regarding its modern significance, as well as pastoral diagnosis, through survey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some representative scholars or activists of pastoral counseling. Ultimately, from a view point of reformed theology, this study aims to make contribution to secure the uniqu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he pluralistic society, in which postmodernism is prevailing.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ore balanced perspective for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n order to integrate theology and psychology more relevantly.

      • 성경적 상담과 상담목회의 실천

        정정숙 ( Chungsook Chung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6 성경과 상담 Vol.15 No.-

        현대 목회는 위기 상황에 있다. 가치관의 혼란에서 오는 시대적 상황이 목회를 어렵게 한다. 목회를 위한 접근 모델은 은사적 모델, 전통적 모델, 개혁 주의적 모델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평신도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그 초점이 있다. 연구자는 여러 모델들 가운데서 개혁주의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성경적 상담목회`를 그 원리로 제시하고자 한다. 성경적 상담은 성경을 상담의 원리와 방법으로 삼고 성경의 가르침대로 하는 상담이다. 그러므로 성경적 상담의 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을 정립하여야 한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상담목회를 실천해야 하는데 현대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정신적, 육체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단순한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와 감정과 행동과 성품을 성령과 말씀을 통해 변화시키고 재훈련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하는 것이 성경적 상담이 지향해 가는 목적이다. 따라서 상담목회는 단순한 열정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을 바탕으로 한 바른 신학, 성경적 상담에 대한 교육과 훈련, 성경적 상담목회의 실천이라는 단계를 밟아 나가야 한다. 이 사역을 위해 본고에서는 목회적 대안모델로서의 성경적 상담의 실천방안과 상담목회의 전략과 확산에 대해서 고찰한다. Contemporary ministry is at a time of crisis. Confusion of moral values brought on by the societal upheaval makes ministering difficult. In order to help the lay church members cope with these confounding changes,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 models, including mentor model, traditional model and reformed model, to the ministry. This article takes the reformed model as the foundation and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as the principle of contemporary ministry. Biblical counseling is a method of counseling that takes the bible as the basis of all counseling principles and methods. Therefore, in order for a proper practice of biblical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nd articulate the principles of biblical counseling. Such principles must be the basis of counseling ministry, which must aim to not only resolve the spirit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faced by lay Christian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fundamentally transform their lives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he bible. The ultimate purpose of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is to help Christians live their lives for the glory of God. Counseling ministry, therefore, cannot be carried out only through one`s passion or compassion, and it requires a systematic training in the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methods of biblical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such ministry, this article offers biblical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model of contemporary Christian ministry and examines practice methods and ways of expanding and spreading biblical counseling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한국인의 종교심리와 목회상담-유교와 목회상담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 목회상담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유옥 한국목회상담학회 2007 목회와 상담 Vol.9 No.-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목회자가 상담자 역할을 병행하는 경우 사회의 이류(二流)시민으로 살아온 자만이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여성 목회자로서의 상담자는 남성과는 질적으로 다르게 여성만이 지닐 수 있는 고유한 본성인 섬세함을 발견하게 되고, 그 섬세한 내적 경험의 소중함은 큰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 기독교가 전해진지 120여년이 흘렀지만 한국인의 신앙관 밑바탕에는 무속적인 신앙과 유교적인 문화가 흐르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현상이다. 특히 여성들은 남존여비의 엄격한 유교 전통에 억눌려 비참하리만큼 차별대우를 받았고 기독교의 복음이 전해진 이후에도 순종을 강조하는 목사님들의 설교에서조차 여성들은 어쩔 수 없는 가부장적 유교 윤리의 희생자 일수 밖에 없었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에서의 가정이나 교육, 직장, 교회에 까지 만연해 있는 제도화된 성차별주의가 여성에게 있어서 문제의 주원인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류 평등주의적 상담관계에서 내담자와 상담자가 비위계적이며 협동적이 되어 상담목표도 함께 설정하고, 상담과정과 기법에 대한 정보도 내담자에게 제공하며, 내담자에게 많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함으로써 내담자가 치유적 변화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유교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무지와 가난으로 억압당하던 여성들에게 기독교 복음이 전해짐으로써 자주적인 한 인간으로 설 수 있도록 한 것은 참으로 놀라운 변화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의 주변에는 유교적 풍토에 젖어서 여성 목회가 별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여성목회자를 세우셨고 목회상담을 하도록 허락하셨다. 그런데 과연 여성목회상담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목회상담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에 대한 모색

        정연득(Youn Deuk, Jeong)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안톤 보이슨에 의해서 제시된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연구’는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된 목회상담운동을 이끌어 오던 슬로건이었다. 하지만 목회상담운동이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상담실에서만 개인을 돌보는 것의 한계에 대한 문제제기가 본격화되었고, 개인과 그를 둘러싼 사회 환경은 결코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이 증대되었다. 그 결과 등장한 새로운 슬로건이 바니 밀러-맥리모어가 제시한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이었다. 새로운 슬로건이 이끌어 가는 목회돌봄과 상담은 개인에 대한 초점을 넘어서 공적 영역에 대한 돌봄으로까지 목회상담운동의 관점을 확대시켰다.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동안 신학계에서도 신학의 공적 역할을 강조한 공공신학이 발전하고 있었다. 미국 공공신학의 중심지였던 시카고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던 단 브라우닝과 밀러-맥리모어등이 이미 주장한 것처럼, 목회상담의 실천을 통해서 신학함을 추구하는 목회신학은 본질상 공공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필자는 개인과 사회를 회복시키고 치유하는 데 관심을 가진 목회신학과 목회상담은 해방적 공공신학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해방적 공공신학으로의 목회상담이 그 공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의 장으로 사회적 협동조합을 제시한다. 정부의 인가를 받은 법인체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은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인 지역사회를 보다 건강하게 가꾸기 위해 다른 협동조합과 협동하며 지역의 민간 및 공공기관과 협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산책정과 입법을 위한 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으로서의 목회돌봄과 상담이 추구하는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에 매우 적절하게 부합하는 실천 모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pursues a possible way of the practice of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The study of living human documents” has been a leading slogan for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beginning from early 20<SUP>th</SUP> century.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critical reflections on the limit of pastoral counseling mostly provided in the counseling room were emerged within the movement. Incorporating these critical reflections, a new slogan was suggested by Bonnie Miller-McLemore, “the study of the living human web.” This new slogan expanded the scope of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to the extent that it includes the care of public sphere. While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became the main topic in the movement, the public role of theology also became a significant topic of many theologians in the filed of theology in general. As Don Browning and Miller-McLemore already insisted, pastoral theology as a field of doing theology through 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essentially public theology. I think pastoral theology whose main concern is to heal person and society pursues emancipatory public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as emancipatory public theology needs appropriate public spheres in which pastoral counselors can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society. I suggest the social cooperative as a model for the practice of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The cooperative can be a good meeting place for the cooperations with other cooperatives,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Furthermore, as corporate body approved by government, social cooperatives can contribute much to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community by participating in legislation and budgetary processes. First of all, the provision of democratic and recipient-friendly social services can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e social cooperative.

      • KCI등재

        한국목회상담의 변화와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

        여한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의 변화하는 상담 환경에서 목회상담의 변화에 관한 적응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이다. 상담의 공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상담사의 국가자격 추진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변화하는 상담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 상담의 발전에 핵심 역할을 해온 목회상담의 위상과 가치, 그리고 미래를 위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회상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온 한국목회상담협회 40년을 돌아보면서 목회상담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현재 한국 교회와 목회상담의 변화에 따른 당면 과제에 대응하고 본질과 가치를 탐색하여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이다. 연구는 목회상담의 변화와 목회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변화, 그리고 당면 과제인 국가 자격 추진에 따른 목회상담의 전문성 변화를 중심으로 제언한다. 이에 한국 목회상담을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과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변화에 대응하는 구조적이고 기술적인 접근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 역량을 위한 목회상담의 변화 필요성을 목회상담의 용어 개념, 상담사의 자격, 그리고 변화 과제로 제시한다. 목회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변화로 법인 설립, 목회상담과 조직역량 강화, 그리고 관련 조직의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중심으로 변화와 미래의 가치를 탐색한다. 본 연구의 결과 목회상담의 변화와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방적 정체성을 정립할 것을 제안하며, 공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법인을 구성하여 구조적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과 국가자격 추진 논의로 촉발된 상담 환경의 변화에 대한 목회상담의 전문성 강화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형태로 세분된 목회상담의 세부 영역을 통합하여 급변하는 상담 환경의 변화에서 목회상담의 가치를 세우고 미래를 전망하고 발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ways for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to adapt to the changes and enhance its capacity. To this end, this study looks back at the 40-year history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astoral Counseling and examines the changes in its identity. Further, this study suggests addressing challenges caused by changes in current Korean churches and pastoral counseling, adapting to change by exploring the essence and value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e suggestions are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organizational changes to strengthen capability, and changes in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national qualifications. A structural and techn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Korean pastoral counseling is advised to respond to change and discuss its future outlook and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an open-minded identity and a legal entity for public roles to strengthen both the capability and structural capa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Furthermore, the results propose strengthening pastoral counseling professionalism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counseling environment triggered by the debate on national qualifications. With an approach that views the subdivided areas of pastoral counseling as a “whole,” the study sets up the value of pastoral counseling in a rapidly changing counseling environment, looks to the future, and looks forward to active and diverse discussions about further improvement.

      • 특집 : 목사와 상담목회

        장원철 ( Won Chul Ja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9 성경과 상담 Vol.9 No.-

        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새로운 목회유형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상담목회에 대해서, 먼저는 그 시대적 배경과 상담목회의 개념적 의의를 말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상담목회의 구조와 그 틀을 통하여 상담목회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담목회와 목회상담을 구별 짓기를, 목회상담이 상담을 목회적으로 하자는 것인데 반하여, 상담목회는 목회를 상담적으로 하는 것이라 하였다. 필자는 상담목회는 목회의 어떤 기술을 말하는 개념이 아니라 목회의 본질적 가치의 개념으로 이해함으로부터 상담목회가 이해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상담목회의 적용을 설교, 예배, 심방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결국 상담목회는 목회의 본질과 교회의 존재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unseling ministry,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type of the ministry. This paper`s purpose is to seek for directions of counseling ministry by checking its construction and frame. I clearly discriminates between counseling ministry and pastoral counseling. According to my opinion, counseling ministry suggests ministry through counsel, while pastoral counseling suggests counsel through ministry. I highlights that counseling ministry has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essential value, not as a concept of pastoral technique. I explains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ministry through preach, worship, and visit. Overall, counseling ministry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essence of ministry and the purpose of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