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협업하는 개인들의 기본소득 운동 : BIYN(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을 중심으로

        김주온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25

        본 연구는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Basic Income Youth Network, 이하 BIYN) 약 10년의 역사와 기록, 부침을 연구 자료로 삼아, 청년을 호명하면서도 세대론에 갇히지 않는 운동적 지향을 가진 개인들의 느슨한 연대를 해석한다. 이 조직의 진화과정에서 기본소득은 참여자들을 결속시키고, 일을 도모하며, 위계를 거부하도록 하는 높은 층위의 가치로서, 특히 '개인'들의 운동을 촉진하고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개별화된 소비 주체로 '개인'을 바라보는 부정적 인식과 다르게, 운동의 의제가 '기본소득'을 의제로 하는 운동에서 '개인성'이 다르게 이해되며 나아가 개인을 새로운 운동적 주체로 호명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기본소득은 대부분의 소득 보전 정책과 달리 가구가 아닌 개인을 기준으로 주어지므로 '개별성'은 기본소득의 개념을 구성할 때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개인에 대한 다른 인식을 제공하는 기본소득을 매개로하여, 운동의 주체로서 개인을 전면화한 사례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개인과 운동의 공존 가능성을 탐구하며 '청년'들을 조직화해온 사례로 BIYN 구성원들의 경험에 주목한다. '나'는 BIYN이 만들어진 2012년 말 회원으로 가입한 후 약 8년 간 단체의 주요 멤버로 활동해왔다. 나는 본 연구의 현지(field)인 BIYN에서 활동 경험을 체화한 주체로서 '활동가-연구자(activist-researcher)'라는 위치성을 활용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를 작성했다. 동시에 공동의 지식생산을 가능케 할 방법으로서 연구참여자들과의 문화기술지적 세미나를 활용했다.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협업하는 개인들의 기본소득 운동에 대해 밝힌 바는 아래와 같다. 첫째, BIYN의 기본소득 운동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가치관과 생활세계를 분석함으로써 기본소득이라는 의제에 집중하는 청년들이 어떻게 등장하였는지 살펴보았다. BIYN 구성원들은 문화자본 및 교육자본을 바탕으로 개인의 취향과 신념을 중시하는 개인주의적 주체로 성장했다. 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에 십대의 성장기를 거치면서 신자유주의적 무한 경쟁을 체화하라는 압박으로부터 어긋남을 느꼈다. 이들은 사회에 기여하는 성찰적 개인이 되고자 했으나 일체감과 사명감, 집단주의적 정서가 지배적이던 기존 사회운동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던 중 '개인성'을 강조하는 BIYN의 기본소득 운동에 매력을 느끼고, 기본소득 개념을 통해 대안적 삶과 사회를 상상하는 활동에 합류하게 된다. 이들은 BIYN에서 활동과 학습을 함께할 동료 관계를 모색하며, 이질적인 활동 배경 및 참여 동기를 아울러 자율적이고 평등한 사회참여의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둘째, 본 연구는 2010년대의 '청년당사자운동'이 청년을 '사회적 약자'로 재현해온 전략을 청년운동 장의 내부자 관점으로 돌아보았다. BIYN은 "88만원 세대" 담론의 등장 이후 정치적 범주로 호명된 "청년"이 특정한 문제만을 안고 있는 범주로 대상화되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 해왔다. 이들은 청년세대만의 문제로 특수화되어버린 사회구조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을 개개인의 온전성이 소거된 단일한 세대적 표상으로서 바라보는 대신에 청년인 개인들이 '시민'으로서 공적인 장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BIYN은 섣불리 "청년"을 앞세운 정책화 전략에 의구심을 품으며, 기본소득 운동에서 또한 제도화를 넘어선 목표가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그 결과 "기본소득 말하기"라는 수행적 행위를 통해 개개인이 자기조직화하고 임파워 됨으로써 기본소득 운동의 주체로 거듭나는 전략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욕망을 성찰 없이 강조함으로써 운동의 사회비판적 성격을 탈각시킬 위험을 내포했다. 셋째, BIYN이 개인들의 조직화와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탐색해왔는지 분석했다. 특히 사회적으로 기본소득 의제가 급부상하며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협업을 제안 받고, "청년"으로서 기본소득에 대해 발화해달라는 요청들이 증가하던 가운데 주요 구성원들이 소진된 시기에 중점을 두었다. 이들은 개인적으로도 조직적으로 안정적인 경제자본이 부재한 상황에서 '겸업'의 방식으로 무리해서 활동을 지속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소규모라도 '조직화된 운동'의 필요성에 공감하였기에, 다시금 자신 안에서 운동에의 참여 동기를 재발견하며 조직을 해산하기보다 개편하는 쪽을 택했다. 그 결과 2018년 초 BIYN은 "자유로운 개인들의 기본소득 운동"이라는 슬로건을 중심으로, 이전보다 참여자의 범위는 넓히되 그만큼 책임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전환됐다. 조직개편 이후 더욱 느슨해진 연합체 안에서 '운동'에 대한 상이한 입장들을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운동의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한 목표 설정과 전략 수립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발견한 '협업으로서의 활동'은 개인들의 자율적 조직화에 기반으로 한 자치공동체를 함께 구성하고, 공동 학습과 공동 작업 속에서 개인주의적 윤리에 기반을 두고 새로운 동료감각을 얻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개개인에게 지급하는 동시에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기본소득의 정치성을 함께 탐구하고 기록하고 발신하여, 기본소득이라는 아이디어에 담은 구성원들의 열망들을 살아있게 하는 실천이다. BIYN은 이러한 의미의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 공간에서 기본소득은 개인들이 새로운 운동적 실천을 탐색하기 위한 사상적 자원으로서 협업을 위한 행위자성을 추동한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 욕구가 있는 유동하는 개인들이 중심이 된 느슨하고, 위계적이지 않은 조직화의 사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최근 증가하는 자기정의적이고 느슨한 소규모 사회운동 조직들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loose network of young individuals involved in Basic Income Youth Network (BIYN) by looking into their history, records and vicissitudes of the past decade. The particularity of their characteristics is found in that they address themselves as youth but do not limit their activism in the issues of a specific generation. Basic income, as a paramount value of the organization, plays a role in justifying and promoting the movement at an individual 󰡐 󰡑 level and another in uniting these individuals, bolstering their work, and rejecting hierarchal customs of Korean progressive movements. The research of this thesis finds that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often viewed with disapproval due to the rise of individualized, consumptive subjectivity in the neo-liberal era, is understood differently in a movement whose primary agenda is focused on basic income, and further identifies individuals as the new subjects of activism. Individuality is one of the crucial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very idea of basic income as the beneficiary of the payment is not a household, as is generally the case in many welfare attempts to preserve household income, but an individual. Basic income recognizes individuals as the key constituents of distributive politics, bearers of universal rights, and subjects who can potentially restructure the male-breadwinner family redistribution model the existing welfare state discourse was founded on. This thesis reveals cases of 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which brought individuals to the forefront as the key actors by using the concept of basic income as a medium that offers a varying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It, in particula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individuality and collective activism and investigates into the experiences of BIYN members who have organized young Korean activists for this movement. This thesis uses auto-ethnography as a methodology, and examines and includes my own experience of 8 years since the end of 2012, shortly after BIYN was established, as one of the key members of BIYN. The research for this thesis was conducted utilizing my position as an activist-researcher who has had the first-hand involvement in BIYN, the field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collaborative activist-individuals in the South Korean basic income movement. An analysis into the perspectives and life-worlds of those involved in BIYN revealed how they emerge as activist-individuals focused on basic income agendas. Many of the BIYN members have reached adulthood as individualistic subjects whose cultural and educational capital led them to place high values on having a unique preference and belief as an individual. They reached their adolescence in the post-1997 financial crisis Korean society which compelled them to embody the spirit of free-for-all competition, which in turn led to their estrangement to the existing structure. Their attempts to become a self-reflective person who contributes to one s society, 󰡑 however, were frustrated by the all-uniting ethos of the existing social movement that demanded conforming to a sense of duty and collectivity. BIYN󰡑s activism, on the contrary, appreciated individuality and its actions focused on envisioning an alternative lifestyle and society via basic income appealed to them. Soon after, they joined BIYN, searched for like-minded others to study and act with, and created a space for a spontaneous, egalitarian, social participation that embraces various movements, backgrounds, and motivations. This thesis also finds a different interpretation these young activist-individuals have on strategic representation of 󰡐social minority󰡑 used by many youth-led social movements in the 2010s. BIYN has continuously addressed the fallacy of identifying 󰡐youth󰡑 as a population that is objectified as holding a problem particular to the generation - a political categorization that emerged after the 󰡒 880,000 won generation󰡓 (a discourse created by a widely read publication). Its members advocate that, to provide measures for the structural issues specified as being those of the young generation, individual originality should not be erased from this generation and they should be recognized as the rightful citizens of the public realm. BIYN challenges this form of 󰡐youth-specified󰡑 policy strategies and has identified the need for a goal that transcends the mer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income policies. As a result, individual BIYN members have performed 󰡒 talking about basic income to self-organize and be 󰡓 empowered, becoming a subject of activism; but, this, nonetheless, could remove the element of social criticism from the movement by rashly accentuating its work on individual desires. Lastly, this thesis analyzes BIYN‘s attempt to explore its sustainability and organize its movement with individualistic actors. This endeavor has been well demonstrated during a period when basic incom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and public agenda, inviting varying ranges of organizations to call on BIYN for collaboration and demand it to speak up for “youth basic income”. Many of its key actors, in lack of bo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conomic capacity, exhibited signs of exhaustion. They later opposed furthering their movement in such a structure. Yet they still acknowledged the need to maintain an 󰡐organized movement󰡑, let it be of a smaller scale, and hence agreed to reform, rather than to dissolve, BIYN and rediscover individual self-motivation to carry on. The efforts transformed the structure in 2018, with a new slogan 󰡒Basic Income Movement for All Free Individuals󰡓. The issues of how to build a space for differing voices in a loose network and how to establish goals and strategies for make an effective voice remain a challenge. The 󰡒collaborative activism󰡓 introduced in this thesis demonstrates a process a group of individuals encounter in organizing a spontaneous self-determining movement, and in building a new form of comradery based on individualistic ethics amidst collec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work. It is also a practice that realized the desires its members have incorporated into the idea of basic income by collectively exploring, archiving and transmitting its politics of provision to all individuals without discrimination. BIYN functions as a public space for such collaboration while basic income is an idealistic resource that helps envision a new form of social movement that drives the agency for cooperation. This thesis examines a loose, non-hierarchic organization whose key actors are fluid and are inclined to engage in social agendas to demonstrate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e growing number of self-identifying and individually organized social movements emerging in this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